글쓰기의 감정

어제 기말페이퍼를 마감하며, 영화 [하이힐]의 내용을 분석하다가 울었다. 어떻게 할 수 없게 눈물이 났고 그래서 울면서 장면을 분석했다. 그 장면은 어제 블로깅한 장면이다. 그 장면은 정말로 영화에서 백미와도 같은 순간인데(이토록 못 만든 영화인데도 빼어난 순간이 몇 개 있다는 것도 좀 오묘하지만) 그 장면을 분석하고 있는데 갑자기 눈물이 났다. 울면서 분석하기.

분석적 글쓰기, 분석적 언어는 대체로 감정과 거리가 있다고 이야기한가. 만약 그렇다면 울면서 작품을 분석하고 있을 때 내가 사용한 언어는 어떤 언어일까? 나는 울면서, 울음이 작품을 분석하는 힘이었다. 그럴 때 그 언어는 무슨 언어일까? 울 수밖에 없는 감정으로 작품을 조밀하게 분석하고 있을 때, 나는 이 언어에 눈물이 맺혀있길 바랐다. 그러니까 분석적 용어란 형식을 빌리고 있지만, 그 용어는 지금의 감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이길 바랐다. 문학적 글쓰기, 정동적 글쓰기가 아닌 건조할 것만 같은 글에서 강한 감정이 넘실거리길 바라면서.
그러고 보면 한국어로 쓴 논문 중에서 조밀하고 치밀하게 텍스트를 분석하면서도 정동이 넘실거리는 논문은 지혜 선생님이 “나는 나의 아내다”를 분석한 글이라고 기억한다.  얼추 다섯 번 정도 읽으며 글에 흘러 넘치는 정동으로 계속해서 감정적 울림을 받았다. 그러며 슬쩍 질투하기를, 나도 그런 글을 쓰고 싶다고 중얼거렸다.
분석적 용어와 감정적 용어와 정동적 용어가 별개가 아니란 뜻이다. 어떤 글쓰기에서 매우 건조한 느낌을 주는 글일 때에도 저자에겐 매우 감정적 순간이 깊이 개입했을 수 있다.
그러고 보니… 영어로 글을 읽을 수 있는 분이라면 Gordon이 쓴 Ghostly Matter란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하고 싶다. 최근 수업 교제로 읽었는데 분석적 글쓰기가 완전하게 문학적이고 문학 작품일 수도 있구나를 배웠다. 부러웠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