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불연속성을 인식한다면

삶이 어쨌거나 이어진 흐름이라면, 불연속과 연속의 퀼트라고 해도 어쨌거나 이어져 있다고 이해한다면 인사는 ‘안녕하세요, 오늘 어때요?’가 아니라 ‘그래서’로 시작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다른 말로 ‘그래서’라고 인사하지 않고 ‘안녕하세요, 오늘 어때요?’라고 인사한다는 것은 지난 밤의 안녕을 묻는 것이기도 하지만, 시간과 관계를 조금 다르게 체화한다는 뜻은 아닐까? 즉, 흔히 시간은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해하는 태도가 상당히 널리 퍼져있지만, 시간과 관계를 단절적으로 이해하거나 체화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어제 혹은 과거 언젠가 마지막 인사를 나눈 이후 지금 다시 만나는 상대방을, 과거의 그때와 지금 이어진 존재로 이해하기보다는 시간의 단절, 혹은 공백으로 남아 있는 시간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 말은 어제의 상대와 오늘의 상대방이 동일한 존재가 아닐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은 태도일 수도 있다. 어디까지나 이것은 나의 망상이지만,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그래서 만약 관계를 맺고 있는 다양한 사람이 언제든 다른 사람으로 변할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면(이것을 의식할 수도 있고 못 할 수도 있지만) 어째서 과거 특정 시점의 ㄱ과 지금 다시 만나는 ㄱ을 일치시키려고 애쓰는 것일까? 그냥 모르는 사람을 만나듯, 생전 처음 만나는 사람을 대하듯 조심해서 대하는 것은 어려운 걸까? 혹은 어제의 ㄱ과 오늘의 ㄱ과 내일의 ㄱ이 다른 사람일 수 있음을 분명하게 의식하며 관계를 엮는 건 힘든 일일까? 그냥 온갖 망상이 떠오르는 4월의 비오는 날이다.
고민의 발아점: http://goo.gl/kUddiZ

죽음으로 관계를 이야기하기: 나와 리카 고양이

어떤 생명이 죽어가는 과정을 겪는다는 건, 내가 이 생명과 혹은 이 존재와 무엇을 함께 할 수 있는지, 이제까지 무엇을 함께 하겠다고 하면서도 미뤘는지, 우리의 관계가 어떤 의미였는지를 확인하는 일이다. 동시에 이 사회에서 우리의 관계가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인식되거나 명명되는지를 깨닫는 시간이다. 특히 특정 국가의 구성원으로 살아야 한다는 점에서(해당 국가의 구성원으로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는다고 해도) 제도가 특정 관계에 규정한 어떤 제약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행복할 때, 소위 건강하다고 말할 땐 알 수 없다. 아플 때 그리고 죽음을 겪을 때 비로소 우리가 어떤 관계인지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나는 그랬다.
어떤 생명이 죽어가는 과정을 겪는다는 건, 애정의 고단함을 확인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함께 무언가를 적극 나눌 수 있을 땐 상대가 아파도 뭐든 다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나는 상대와 어딘가를 함께 가고 싶은데 상대는 그럴 수 없을 때… 그리고 상대가 언제 죽을지 알 수 없는 긴장감, 그런데도 어떻게든 살았으면 좋겠다는 바람과 그저 이 시간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죄책감 사이에서 괴로울 수밖에 없다. 피곤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어떤 존재를 돌볼 수 있다는 건 내가 어떤 경제적 상황인지도 고민해야 한다. 병원비건 간병비건 뭘 해도 돈이 든다. 모든 게 돈이다. 사랑하니까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아니다. 사랑해도 감당하기 힘든 문제다. 그런데 돈이 있다고 해결되는 문제도 아니다. 돈이 있어도 앞서 말한 괴로움과 피곤함은 남는다. 바로 이 순간 내가 상대와 어떤 삶을 나눴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나와 상대는 어떤 관계였는지 알 수 있다.
눈치챘겠지만 나의 고양이 리카 이야기다. 리카가 조금씩 삶의 끈을 놓는 시간, 나는 참 멀리 있었다. 마지막 시간을 함께 하지 못 했다는 사실은,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해도 내가 납득이 안 된다. 이게 문제다. 그때 상황을 내가 납득해야 하는데 나는 그 당시 내 행동을 납득할 수 없다. 그래서 나는 그때 있던 일을 반복해서 떠올린다. 그때 꼭 그래야 했을까, 그때 나는 좀 다르게 행동할 수 없을까? 그때 나는 도망치는 것 말고 다른 행동을 할 순 없었을까? 그런데 지금이라면 도망치지 않을 자신이 있을까?
사랑한다고 믿지만 나는 정말 리카를 사랑했을까? 우리는 아니 내게 리카는 어떤 존재였을까? 우리는 어떤 관계였을까?
그래서 관계와 관련한 얘기는, 죽어가는 생명을 두고서 ‘이렇게 살려둬도 괜찮은지, 안락사를 시도함이 옳은 건 아닐까’를 갈등하는 찰나에서 출발해야 하는지도 모른다. 삶을 나눌 땐 뭐든 좋을 수 있다. 죽어가는 시간, 아픈 시간은 관계의 맨얼굴을 드러낸다. 여기에 이 사회에서 사람과 고양이가 맺는 관계의 의미도 드러난다. 너무도 멀었던 화장장부터(고양이 화장장이라 멀었다기보다 죽음 자체가 삶의 영역에서 너무 먼곳에 위치한다), 사람이 죽었다면 며칠 알바를 쉴 수 있었겠지만 고양이여서 그러지 못 했던 상황까지. 삶의 곳곳에 배치된 죽음의 위계를 확인할 수 있다. 죽음의 위계는 관계의 위계며 생명의 위계다.
결국 모든 이야기는 죽음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만나서 죽어가는 시간이 아니라 죽음에서 만남의 시간으로 기록될 수밖에 없다.
+
이것은 어떤 일과 관련한 고민 메모입니다. 혹은 답장은 아니지만 답장과 비슷한 성격의 글이기도 합니다.

관계를 유지하는 감정 형식

아내폭력으로 가족이 깨지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아내폭력으로도 가족이 안 깨지는 것이 문제라고 했다. 가족이란 그런 거다. 무수한 폭력에도 깨지지 않는 견고함. 이것이 가족과 이성애주의를 유지하는 힘이겠지. 그런데 이런 견고함에서 뭔가 다른 걸 고민했다.
당연히 깨질 수 있다고 여기는 관계와 깨지지 않는다고 여기는 관계는 화를 내는 방식부터 다르다는 걸. 관계를 깨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아니라 뭔가 다른 점이 있다는 게 중요하다. 이를테면 애인관계에서 뭔가 틀어지면 “우리 헤어질까”란 발화를 통해 관계는 끝날 수 있다. 우정관계에서도 이런저런 이유로 헤어질 수 있다. 그런데 가족은 다르다. 가족 간의 불화에서 ‘이 관계를 깰까?’란 감정은 쉽사리 개입되지 않는다. 미친 듯이 싸우면서도, 서로에게 무수한 상처를 주면서도 다시 만날 수 있음을, 언젠간 다시 만날 수 있음을 염두에 둔다. 이를테면 난 꽤 오래 전 아버지와 2년 가까이 말도 안 하고 지냈는데, 그럼에도 우리는 종종 만났다. 그리고 결국 어색한 인사를, 다시 그냥 익숙한 관계를 유지했다.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고 있기도 하다. 만약 친구나 애인이라면? 통상 2년 간 말을 하지 않는다면 이미 끝난 사이다. 다시는 안 볼 것이며 상대가 죽는다고 해도 뒤늦게 그 소식을 들을 것이다.
그렇다면 원수같은, 정말 치를 떨고 때때로 상처만 주고받는 사이면서도 관계 자체는 깨지 않겠다는 어떤 암묵적 협의를 가족이 아닌 다른 관계엔 적용할 수 없는 걸까? 깨져야 할 관계를 깨지 않고 유지하자는 게 아니라 ‘그럼에도 유지하고 다시 만날 관계’란 어떤 정서를 원가족에게만 부여하는 것이 아깝지 않느냐는 고민이다.
이것이 좋은 것인지 안 좋은 것인지는 헷갈린다. 하지만 뭔가 다를 것 같기는 하다. 이런 끈기를 다양한 관계에 부여한다면 ‘에잇 수틀려. 이 관계를 끝내야겠다.’와는 다른 어떤 방식과 감정이 생기지 않을까? 법적으로, 관습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관계에 이런 태도가 개입된다면 그 관계는 어떻게 변할까? 물론 깨져야 할 상황에선 깨져야하지만.
이것은 원가족에게 왜 이렇게 관계의 독점적 정서가 부여되느냐는 질문이기도 하다. 다른 관계가 그토록 쉽게 깨지는 관계라면 원가족도 그렇게 쉽게 깨질 수 있어야한다는 고민이기도 하다. 원가족에게 부여된 정서를 다른 관계에도 공평하게 적용하자는 것은 아니다. 원가족을 유지하는 폭력적 방식이 “가족 같은 우리 회사”란 언설로 통용되는 상황은 끔찍할 따름이다. 그저 화를 내는 방식, 관계를 유지하는 방식을 좀 다르게 고민할 수 있으면 좋겠다. 원가족에게 배울 몇 안 되는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