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책, 트랜스젠더 책, 글쓰기 연습

퀴어 이슈나 트랜스젠더 이슈에 관심이 없을 법한 사람이 내가 만약 고양이 관련 책을 쓴다면 살 의향이 있다고 말한 적 있다. 한 명은 아니고 몇 명인가 그랬다. 그렇다고 또 많은 수는 아니고. 아무려나 나는 이 말을 들으며 재밌다고 느꼈지만 당연하겠다 싶기도 했다. 고양이 책 독자와 트랜스젠더 책 독자는 다르다. 매우 다르다. 그리고 고양이 책 독자가 훨씬 폭넓지만 또 상당히 까다롭고 까탈스럽다. 그러니 고양이 책을 쓴다는 것은 트랜스젠더 이슈로 글을 쓰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운 일이다.
트랜스젠더 이슈로 글을 쓴다면, 사실 대충 각은 나온다. 물론 그게 무척 진부한 형태라서 그 각으로 글을 쓸 수는 없다. 재밌게 쓰려면 근본적으로 흔들어야 하지만 대충 흐름과 꼴은 잡힌다. 그리고 어차피 안 팔릴 책인데 내가 하고 싶은 말 마구마구 쏟아내면서 쓰겠지.
고양이 이슈로 글을 쓴다면, 각이 안 나온다. 고양이 안내서만 수십 권이고 고양이 관련해선 유명한 저자도 여럿이다. 트랜스젠더 이슈라면 그동안 떠든 역사가 있으니 새로운 일이 아니지만 고양이 이슈론 흔한 블로깅 뿐이니 내가 책을 쓴다면 뭔가 이상한 일이다. 더군다나 고양이 책을 쓴 많은 저자는 이미 유명 블로거였다. 블로그에 고양이 관련 글을 올렸고 그것이 인기를 끌었고 책을 냈고 더 큰 인기를 끌었다. 나는? 흔히 말하는 흔해 빠진 집사. 그저 흔한 집사. 더군다나 내가 고양이와 관련해서 특별히 무슨 새로운 이야기를 더 할 수 있겠는가. 이미 많은 사람이 하고 있는데.
그러니 고양이 이슈로 글을 쓴다는 것은 트랜스젠더 이슈로 글을 쓰는 것보다 백배는 더 공이 드는 작업이고 어려운 작업이다. 사실 트랜스젠더 이슈로 글을 쓰겠다면 기존의 참고문헌부터 새로운 참고문헌까지 많은 것을 읽어야 하니 상당한 시간이 든다. 그런데 고양이 책을  쓴다면 상상만으로도 막막하다. 아마 더 많은 공이 들겠지. 막연히 이 상상 뿐이다.
근데 생각해보면 지금 내게 필요한 건, 문장 연습과 글쓰기 훈련이다. …!!! ㅠㅠㅠ
진심으로 하는 얘긴데, ㅎㄱㄹ문화센터 같은 곳에서 열리는 글쓰기 강좌에 수강해서 글쓰기 기초부터 배우고 싶다. 내년 즈음 어차피 날 아는 사람은 없을 테지만 그럼에도 루인이 아니라 전혀 다른 이름으로, 그리하여 다른 자아로 글을 쓰는 법을 배우고 싶고 훈련하고 싶다. 일단 글쓰기 연습이 먼저구나. 으흑… ㅠㅠㅠ
+
이러다가.. 글쓰기 관련 책을 쓰더라고요.. ;;;;;;;;;;;;;;;;;;;
죄송합니다. 그럴 일은 없을 거예요. 아마도.

트랜스젠더를 쉽게 설명하기

-3쪽에 걸쳐 트랜스젠더를 정말 쉽게 설명하는 글을 썼었다. 과거형인 이유는 이 글을 공들여 썼지만 폐기하기로 결정해서다. 하지만 그냥 버리긴 또 아쉬운 게 사람의 마음. 그래서 그 글을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하고 있다. 백과사전에 사용하기엔 그 설명이 너무 쉬워서 곤란하다. 그렇다고 다른 데 추가하기에도 애매하다. 블로그에 포스팅하게엔 너무 길다. 😛 그래서 고민, 고민.
-그냥 폐기하진 않겠지만 글을 읽고 논평을 준 사람의 공통 반응은 정말 쉽다였다. 기쁘다. 쉽게, 더 쉽게 쓰면서도 내가 지향하는 정치학을 포기하지 않으려 하는데, 일단 쉽다는 점엔 성공했다. 아, 물론 쉽다고 논평을 준 사람이 트랜스젠더에 어느 정도 감이 있는 사람이고 퀴어 이슈를 공부하는 사람이란 게 함정. 흐흐흐. ㅠㅠㅠ 그래도 이제까지 쓴 글 중에서 가장 쉽다는 평을 들어서 기뻤다.
-그 글을 쓸 때 내가 독자로 상정한 사람이 있다. 이태원 연구를 하며 만난, 이태원의 트랜스젠더 업소에서 일하고 있는 트랜스젠더다. 그 당시 나는 내가 공부하는 지식을 공유하지 못 했다. 공유하지 못 했을 뿐만 아니라 설명하는 것 자체를 어려워했다. 그래서 나는 매우 자주 그때 만난 트랜스젠더를 떠올리며 그들을 독자로 상정하고 싶어 한다. 물론 이제 시간이 많이 지났다. 그때 만난 그들은 나의 환상에나 존재하지 실존이 아니다. 그러니 솔직하게 말해서 내가 독자로 삼는 사람이 누군지 조금 헷갈리기도 한다. 그럼에도…
-쉽게 쓰기 위해서 내가 주로 사용하는 언어도 다 버렸다. 내 글에선 거의 반드시 사용하는 핵심 용어가 있기 마련이데 그것을 단 하나도 안 썼다. 우후후. 잘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실험할 가치는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어느 중간 지점을 찾으면 되니까.
-그리고 쉽게 쓰는 작업이 어렵지만 동시에 재밌다. 문제는 다시 학술적 글쓰기를 잊으면 안 되는데… 이 부분이 걱정이다. 끄응.

글쓰기, 더디지만 조금씩 좋아진다면

바쁜 일정에 원고를 쓰다보니 이틀 만에, 그것도 알바 끝나고 수업 없는 짬을 이용해서 촉박하게 쓰다보니 날림 원고를 보냈다. ㅠㅠㅠ (마감이 아직 몇 주 더 남은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이 착각엔 약간의 사연이 있지만 이런 건 생략하고.) 아, 아쉬워라. 정말 며칠 더 묵혀서 다듬어야 하는 글인데.. 끄응. 분명 이번엔 많은 사람, 특히 몇 사람에게 틀림없이 욕을 먹을 것이다. 다음주에 나올 글을 읽으신다면, 무슨 뜻인지 아실 겁니다. 흑흑
그래도 글을 쓴다는 건 즐겁다. 여전히 신난다. 그래서 좋다. 글을 잘 쓰는 것은 아니지만 그 과정이 즐거운 건 좋다. 다행이다.
내 글은 분명 2년 전에 쓴 것보다는 지금 것이 좋을 것이다. 아마도 그럴 것이다(2년 혹은 그 전에 쓴 문장이 더 좋다면, 이제부터 할 얘기는 넘어가주세요 ㅠㅠㅠ). 만약 지금 글이 읽을 수 있는 수준은 갖추었다면 그 이유는 분명하다. 내게 글쓰기의 타고난 재능이 있어서가 아니다. 그냥 매일, 하루도 빠지지 않고 글을 쓰기 때문이다. 그냥 매일 글을 쓰다보니 더디지만 조금씩 좋아지고 있는 듯하다. 물론 여전히 많이 부족하다. 굳이 누군가와 비교하지 않아도, 내 글은 여전히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안다. 괜찮다. 글을 처음 쓸 때부터 천재적 재능을 발휘해야 할 필요가 내겐 없으니까. 그냥 조금씩 좋아지기만 한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앞으로도 계속 글을 쓸 수 있길 바라지만, 그렇다고 천재가 될 필요는 없으니까. 그냥 내 고민을 사람들과 소통할 수만 있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물론 이것이 가장 어렵습니다. 벨 훅스 언니, 존경해요.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