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입력해 줬으면 좋겠어요

내용은 어떻게 입력할까요?

무언가를 쓰려고 새글쓰기를 클릭했는데, 문득 할 말이 없다는 걸 깨달았죠. 무엇을 쓰고 싶었던 걸까요? 무언가를 쓰려고 나스타샤를 켰는데, 갑자기 할 말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의 막막함, 먹먹함. 그 어떤 상실감.

무엇을 써야 할까요? 태터툴즈 클래식 버전을 기억하시나요? 태터툴즈 클래식 버전의 글쓰기엔, “내용을 입력해 주세요”라는 글자가 기본적으로 들어 있어요. 하지만 “내용을 입력해 주세요”라는 글자로 이미 내용은 채워져 있기도 해요. 아니에요, 이런 말을 하려고 한 건 아니에요.

지지난 일요일, 개별연구수업을 준비하며, 논문의 키워드와 각각의 아이디어들은 있는데 그 아이디어와 키워드를 어떻게 연결시킬지 몰라 한참을 고민하다 문득, “지식인”이 떠올랐어요. 웃겼어요. 네이버라면 메일(주로 사용하는 메일은 gmail이지만 메일계정은 10개 정도 있는 듯;;;)과 카페로만 사용할 뿐이고, 검색은 엠파스와 구글을 사용하거든요. 지식인은 믿지 않는 정보 중 하나죠. 하지만, 각각의 연결고리를 잡지 못했을 때 떠오른 건, 지식인에 키워드와 아이디어를 적고 “이 키워드와 아이디어로 논문 목차를 구성해주세요. 급합니다. 내공 100 드릴게요.” 라는 글을 쓰고 싶다고 느꼈어요. 웃겼어요. 지식인이라곤 어쩌다 걸리는 웹페이지에 지나지 않는데도 어느 순간 이런 식의 말들에 익숙해져 있다는 사실에.

물론 이런 상상은 단지 당시의 몸상태를 표현하는 방식일 뿐, 누군가가 이렇게 주제를 구성하고 이런 목차로 글을 쓰거라, 고 한다면 “싫어!”라고 말하며 거절하겠죠. 그저 막막했었죠. 하지만 이런 막막함을 견디며 어떤 상황을 모색하는 것을 좋아해요. 불안을 견디듯 견디는 막막함.

정말이지 키워드만 있고 주제를 명확하게 잡지 못하는 상황에선, 누군가가 주제를 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품기도 했어요. 그러면 글은 어떻게라도 열심히 할 텐데, 라고 중얼거리면서. 하지만 이렇게 막막함을 견디다, 지난 일요일 갑자기 목차를 짜기 시작했고, 그렇게 현재의 목차가 나왔어요. 사실 목차를 짜기 직전까지는 목차를 짤 엄두도 못 냈어요. 그런데 목차를 짜야겠다고 책상에 앉아 이면지를 꺼냈을 때, 어떻게, 어떻게 목차가 구성되고 있더군요.

물론 이 목차를 또 언제 어떻게 바꿀지는 알 수 없죠. 아무래도 상관없어요. 그래도 현재로선 현재의 목차대로 진행할 거예요. 아니, 현재의 목차대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하려고 계획한 방식으로 목차를 구성했네요. 하고 싶은 건 있어요. 그걸 목차로, 어떤 한두 줄로 설명할 주제로 잡지 못하고 있을 뿐이죠. 사실 지금도 한두 줄로는 설명을 못 해요. 아니 여전히 주제는 불명확해요. 두 가지인지, 한 가지인데 두 가지라고 착각하는 건지, 따로 다뤄야 하는데 하나에 구겨 넣고 있는 건지, 아직은 명확하지 않아요. 그래서 목차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가장 엉성하게 남아 있는 건지도 몰라요. 정확하게 어떤 지점을 말 하려는 지를 명확하게 할 때 목차도 조금은 덜 엉성한 형태로 구성되겠죠.

이번 학기가 끝나면 좀 달라져 있을까요? 아무렴 어때요. 그저, 이 막막함을 견디며 지내겠어요. 이 막막함을 묵묵히 견디고 나면 무언가를 느낄 수 있을 거라는 기대 하나만 놓치지 않겠어요. 그러다 무엇도 느낄 수 없으면 또 어때요. 어쨌거나 막막함을 견딘 시간은 몸이 기억할 테니까요. 이런 시간들을 몸이 기억한다면, 이번 학기 내내 고민했던 내용들을 모두 엎고 새로운 주제를 정하고 목차를 처음부터 새로 짠다고 해도, 어떻게든 할 수 있을 테니까요. 반복한다고 해서 익숙해지거나 능숙해지는 건 아니지만, 아주 낯설지는 않겠죠. 어렴풋한 흔적만은 남아 있겠죠.

논문목차짜기

어제부터 조금은 분주했다. 오늘 개별연구수업이 있는 날인데, 그 준비도 준비려니와 그보다 중요한 논문목차를 구성해야 했기 때문이다.

원래라면 논문목차가 아니라 논문의 서론 초고를 써가기로 했지만, 서론 초고를 쓰기 위해선 목차가 우선 나와야 했고, 그래서 목차를 구성했다. 하지만 쉬운 일이 아니었다. 어쨌거나 석사논문은 처음 쓰는 거니까. 흐흐. 논문의 목차가 나와야 서론의 초고를 쓰건 어떻게 될 텐데 그게 또 그렇게 간단한 일은 아니었다. 정확하게 무엇을 하고 싶은지가 명확할 듯 하면서도 모호한 상황이었고, 더 큰 고민은 이 주제를 “석사논문” 주제로 해도 괜찮나 하는 걱정을 하기도 했다. 왠지 원고지 80~100매 정도의 논문으로 쓰면 될 걸 A4 100매 분량으로 쓰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도 있(었)다.

서론이야 관습적으로 “1.연구배경, 2.문제제기, 3.연구내용, 4.연구방법”이라고 쓰고 본론을 적었는데, 막막. (물론 이것도 개별연구수업을 통해 어느 정도 수정했음.)

고민은 현상학적 분석과 담론적 분석을 연결하고 우울증적 젠더정체성 형성(이렇게 뭔가 단어들을 나열하고 있지만 사실 잘 모르는 말들이라는 거… 이제 공부해야 한다는 거… ;;;;;;;;;;)을 트랜스젠더 정치학을 통해 재구성하는 것인데, 이들 사이의 접점을 명확하게 잡기가 힘들었다. 그러다보니 딴짓하기 바빴다(?!?!?!?!?!?!) 오늘이 개별연구수업인데 어제야 목차를 짜겠다고 작정을 한 것도, 이들 사이의 접점을 좀처럼 잡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직관적으론 명확한 듯 하면서도 그것을 목차로 구성하기엔 어려웠다고 할까. 그러면서도 요즘 읽고 있는 글들이 있고, 이번 학기 개별연구를 통해 읽고자 하는 글들이 있기에 그 책과 논문들을 중심으로 목차를 짜기 시작했다. 그렇게 어떤 골격을 만들었다.

그렇게 만들고 든 느낌. 본론을 4개의 장으로 구성한다면 1장과 2장은 그런대로 틀을 갖춘 느낌인데 정작 루인의 아이디어와 논의가 가장 많이 들어갈 3장과 4장은 부실하기 그지없었다. 하고 싶은 얘기가 있지만, 그런 얘기들을 논문에서 했다간 자칫 붕 뜨는 내용이 되기 쉽고 그래서 전체적인 맥락에서 겉돌 수가 있었다. 그렇다고 그 내용을 뺄 수도 없었는데, 어쨌거나 논의를 위해선 그 내용들이 필요했다. 그래서 우선은 조금은 겉도는 내용을 둔 체 개별연구에 들어갔다.

물론, 개별연구에선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트러블Gender Trouble]도 같이 해야 했지만, 논문 목차를 통해 버틀러 얘기를 상당 부분 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제 준비는 상당히 부실하게 했다;;;

아무튼, 이렇게 목차를 짜서 서둘러 수업에 들어갔다. 그렇게 두어 시간이 지났을 때 목차는 좀더 골격을 갖출 수 있었다. 전체적인 틀은 많이 안 바뀌었고, 다만 각각의 챕터들을 어떻게 연결할 것이냐를 더 고민해야 한다는 말씀을 하셨다. 자칫 각각의 챕터들이 겉돌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얘기들도 많았고 곧 정리해야 할 내용들이다.

잘하면 내년 1월 초, 좀 더 걸리면 내년 7월 초 즈음이면 나오겠지. 우선은 내년 1월을 예상하고 있다.

천천히 가는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