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드라이브는 클라우드의 캐시 저장소

구글드라이브 용량을 1테라로 업그레이드한 다음, 다운로드한 자료는 모두 드라이브에 업로드하고 있다. 태블릿이나 폰을 사용할 때, 웹에 백업하는 것은 별스럽지 않을 듯하다. 요즘은 워낙 이런 게 흔하기도 하고. 하지만 난 PC에서도 웹에 백업한다. 구매한 영화의 다운로드 파일 등도 모두 드라이브에 업로드한다. 그리고 드라이브에서 자체 재생을 지원하면 스트리밍으로 보고 아니면 다운로드하거나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식이다.
아직은 구글 드라이브에 다 올리진 않았지만 궁극적으로 드라이브에 모두 백업할 예정이다. 업로드 속도가 좀 아쉽지만 국내에 서버가 있는 것도 아니고 괜찮다. 노는 노트북이 있으니, 그걸 종일 켜두면 나쁘지 않다. 백업만 할 수 있다면야.
그리하여 문득 생각하기를 하드 드라이브는 더 이상 의미있는 저장 장치가 아닌지도 모른다. 클라우드에 바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를 임시로 받아두는 곳, 캐시 저장소일 뿐. 하드 드라이브 용량이 1테라건 500기가건 16기가건 마찬가지란 뜻이다. 아, 캐시할 수 있는 용량의 차이는 있다. 하지만 어차피 다시 웹으로 간다. 클라우드(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하지 않으면 불안하고 드라이브에 업로드하지 않은 자료는 언제든 사고로 잃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둔 자료가 된다. 한땐 자료 수집은 다운로드에서 끝났다. 지금은 다운로드를 한 다음 드라이브에 백업하는 것에서 끝난다. 그리고 클라우드에 백업한 자료를 주로 사용하고 클라우드에서 논다.
이런 이유로 폰의 용량이 더 커지길 바라는 글을 읽을 때면 궁금하다. 불안하지 않나? 나라면 쉽게 망하지 않을 세계적 기업의 제품을 사용해서 웹에 백업하겠다고. 나는 내가 실수로 혹은 기기에서 갑작스런 문제가 발생해서 하드 드라이브에 백업한 자료를 잃을 가능성보다 구글에 사고가 발생해서 자료가 날아갈 가능성이 더 적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판단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그래서 하드 드라이브가 편할 수 있다. 아울러 언제든 원할 때 열람할 수 있다면 무척 편하고. 하지만 판단의 문제고 습관의 문제니 가치 판단을 내릴 문제는 아니지.
클라우드가 물리적인 것의 개념을 바꾸고 있다. 알게 모르게 하드 드라이브라는 물리적 저장매체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
구글 드라이브 용량 옵션에 2테라나 5테라가 있으면 참 좋을 텐데 이건 조금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