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學文盲. 무학문맹

無學文盲. 무학문맹.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사이트(http://bit.ly/36yLNT)에 따르면 “배우지 못하여 글을 읽지 못함. 또는 그런 사람.”이라고 한다. 하지만 유학(有學)은 “불교의 진리를 인식하였으나 아직 번뇌를 다 끊지 못하여 항상 계(戒), 정(定), 혜(慧)의 삼학(三學)을 닦는 성문(聲聞).” 즉, 유학은 아직도 배울 것이 있는 상태란 뜻이다. 그렇다면 무학문맹은 이제는 배울 것이 없어 자구에 얽매이지 않는 상태를 뜻하는 건지도 모른다. 손가락이 아니라 달을 보라는 어느 선사의 말처럼.

나는 문자에 얽매이지 않고선, 문자를 읽지 않고선 세상과 나 자신을 이해할 수 없어 책을 읽는다. 나는 책을 읽어야 간신히 내 삶을 이어갈 수 있는 사람. 책을 통해서야 비로소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사람. 책이 없으면, 문자에, 자구에 얽매이지 않으면 세상을 이해할 수 없는 종족. 언제나 문자에 갇혀, 문자 이상을 이해할 수 없는 무지의 꼭대기에 머무는 종족. 책을 읽지 않으면 불안해서 언제나 손에 책을 들고 다니며 책 속으로 숨어드는 갯강구. 재빠르게 문자 속으로 숨었다가 인기척이 사라지면 더듬이로 눈치를 살피며 바깥으로 나와 우쭐거린다.

책은 내가 얻은 가장 완벽한 보호막인지도 모른다. 나와 당신의 거리를 더 이상 좁힐 수 없도록 하는 완벽한 벽이기도 하다.

겨울이 왔다. 피아노 소리가 사랑스러운 겨울이 왔다. 책 속으로 숨어들어, 더듬이를 잘라 버리고 지내도 괜찮은 겨울이 왔다.

또, 근황

01
바빴던 한 주가 끝났다. 두 개의 회의와 하나의 학술행사를 준비하면서, 좀 정신이 없었다. 물론 혼자 한 건 아니다. 준비 과정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했고, 덕분에 좀 편하게 준비할 수 있었다. 다만 그 모든 일을 점검하거나 책임져야 하는 위치라 정신이 없었다. 그리고 불안했다. 확실히 난 다른 사람들에게 업무를 분담하고 중간에 조정하는 일보단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을 좋아한다. 총괄보다는 내게 주어진 일만 하면 되는 역할. 절대 앞에 나서지 않는 역할. 이런 성격 때문인지, 자신의 성격과는 상관없이 총괄업무를 담당하는 이들은 대단하다고 느낀다. 그런 역할을 맡을 때마다 최선을 다하고 그래서 좋은 결과를 끌어내는 이들을 때로 존경한다. 그리고 아주 가끔, 고위직에 오르려는 사람들을 접할 때마다 신기하다. 그 엄청난 책임이 부담스럽지 않을까?

02
중간에서 소통을 담당하는 사람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시는 안 볼 관계가 될 수도 있다는 걸 깨달았다. 첨엔 황당하고 화가 났지만, 나중엔 일을 진행하는데 있어 접근하는 방식의 차이가 만든 거라고 수긍하기로 했다. ‘쿨~’하게 “우린 서로 달라”란 식으로 수긍하기로 했다. 이렇게라도 수긍하지 않으면 타격이 너무 클 거 같아서.

혹시나 이와 관련해서 무언가를 짐작하시려는 분은 삼가주시길. 아무 말도 하지 말아 주시길.

03
어제는 퀴어 퍼레이드였는데, 참가할 수 없어 아쉬웠다. 사실, 학술대회 마지막 세션이 반 쯤 진행되었을 무렵에야 ‘지금쯤 퍼레이드가 끝났겠다’, ‘무사히 잘 끝났을까’하는 고민이 떠올랐다. 그전까진 워낙 정신이 없었고, 이것저것 수습한다고 분주했다.

학술대회와 퍼레이드 일정이 겹친 걸 깨닫고, 부모님 팔아서 퍼레이드에 참가할까 란 고민도 아주 잠깐 했다. -_-;; 흐흐. 직장인들이 밤새 술을 마시려고 직장 상사의 부모님 중 한 분이 돌아가셨다는 핑계를 대는 것처럼. 흐흐. 학회 간사를 시작할 때 들었던 말 중에 하나는, 자기 결혼식과 부모님이 돌아가시는 일이 아니면 어떤 경우에도 학회 행사에 빠질 수 없다는 조건이었다. 난 이 조건을 수락하고 일을 시작했다. 그래서 부모님을 팔까 했는데, 행여나 조문을 온다고 할까봐 관뒀다. 더욱이 이런 건 쉬 들키기 마련이라, 나중이 더 힘들다. 내년엔 퍼레이드에 참가할 수 있겠지.

그래도 아침에 받은 문자로 무척 힘이 났다!

04
피곤하지만 어쨌든 긴장은 좀 풀렸다. 이제 다시 행사를 준비하기 전의 몸으로 바꾸는 일이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