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네트워크 열린세미나 “덮은 책도 다시 보자”: 트랜스젠더, 섹슈얼리티 세미나

주제가 흥미롭고 관심있는 분이 많으실 듯하여 올립니다. 🙂
전 젠더 제도와 관련하여 주민등록제도, 의료기술 등과 관련한 내용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제 발표를 한 번이라도 들은 적 있는 분, 제 글 중 어떤 것을 읽은 적 있는 분은 이미 익숙하실 내용입니다. 익숙할 법한 바로 그 내용을 요청받기도 해서요.. 🙂
=========
[열린세미나] 덮은 책도 다시 보자
『전지구적 아시아에서의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남성성(Women’s Sexualities and Masculinities in Global Asia)』가운데 세 개 챕터 꺼내읽기: 한국 상황을 중심으로
▶ 일시 : 2012년 10월 10일, 17일, 24일 매주 수요일, 총 3회
▶ 장소 : 홍대 근처 디자이너스 라운지 [약도보기]
▶ 대상 : 주제에 관심 있는 이라면 누구나!
▶ 신청 : 세미나 공간의 사정상 시간 당 20명의 인원제한이 있어요ㅠ 사전 신청을 부탁드려요~
▶ 프로그램
1차 | 1920-30년대 ‘변태성욕자’와 한국 남장 여인의 ‘비가시성’: 세이토에서 엠버까지 | 자루
2차 | ‘트랜스’의 자기 인식과 ‘젠더 제도’ | 타리, 루인
3차 | 젠더의 눈으로 보는 ‘디’와 ‘팸’ | 케이
신청페이지: http://goo.gl/LUHyT

근황: 세미나, 버틀러, 네이버의 만행

마땅한 제목이 없으면 “근황”이란 제목이 제격이죠;;;

00
잠이 안 온다. 새벽 4시에 잠들어 아침 8시에 일어났는데, 현재 그런대로 멀쩡한 상태다. 혹은 멀쩡하다고 혼자서 착각하고 있는지도..

01
어제인 수요일까지 마감해야 하거나 어느 정도 마감을 해야 하는 글이 네 편이었다. 하지만 월요일 밤까지만 해도 두 편이었는데, 월요일 늦은 밤, 몇 통의 문자를 주고 받다 마감하거나 다시 한 번 퇴고를 해야 하는 원고가 두 편이 더 늘어났다. 그리고 그 모든 마감일이 어제였다 -_-;;; 어쨌든 무사히 끝나고 저녁엔 출판회의를, 밤 9시엔 세미나를 했다;;; 야심한 시간의 세미나라니… 하지만 버틀러_였기에 즐거웠다.

세미나 자리에서, 이웃블로그님의 글과 댓글을 통해 알았던 사실을 살짝 확인했다. 올 가을 즈음, 버틀러와 조안 스캇이 한국에 올지도 모른다고. 현재 초청하려고 연락을 취하고 있는 중이라는 말. 꺄릇♡♡♡ 물론 올지 안 올지는 아직 불확실한 상황이지만, 우후후.

02
야심한 시간의 세미나가 끝나고 새벽 3시 40분 즈음까지 뒷풀이를 했다. 밤 12면 자는 인간인 루인은 살짝 조는 상태로 그 자리에 있었지만 재밌었다. 그렇게 玄牝으로 돌아와 3시간 조금 더 자고 일어났다. 뒷풀이 자리를 파하며, 시간이 참 애매하다고 느꼈다.

만약 엠티 같은 자리여서 아침에 돌아 오는 거라면 그냥 하루 종일 잘 예정이었다. 하지만 玄牝에 돌아온 시간은 새벽 4시 즈음이었고 씻고 정리하다가 잠들어도 종일 잠에서 뒹굴며 나가지 않기엔 애매한 시간이었다. 분명 아무리 늦게까지 잠든다고 해도 10시면 눈을 뜰테고 그렇게 종일 이불 속에서 뒹굴면 좋긴 하지만, 그렇게 몸의 리듬을 깨고 싶진 않았다.

종일 이불 속에서 뒹굴며 나스타샤랑 영화라도 읽으면 좋겠다 싶었지만, 읽고 싶은 글도 있고, 사무실에 나와서 멍한 상태로 꾸벅이다가 일찍 돌아가는 한이 있어도 사무실에 나오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 몸의 리듬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단지 오늘 하루가 아니라 지속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01-1
예전엔 버틀러를 읽을 때에만 _이런 표정을 지었다면, 요즘은 버틀러 이름만 듣거나 읽어도 _이런 표정을 짓고 있다. ♡♡♡

03
며칠 전, 키드님 블로그에서 “어이없는 네이버“란 글을 읽고 섬뜩하고 화나고 분개하고, 그랬다. 특히나 이요님블로그에서 관련 글을 읽고는 분노를 금할 수 없었다. 특히나 화가 났던 부분은, 글을 단순히 비공개로 바꾼 것이 아니라 없애 버린 점. 블로그에 글 한 편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고민과 시간을 들이는지 알기에 분노했고, 그래서 네이버의 블로그 관리자들은 블로그를 사용하는지가 궁금했다. 만약 그들이 블로거였다면 그럴 수 없으리라는 믿음. 아니 적어도 글을 쓴다는 것,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의 의미를 조금이라도 안다면 그럴 수 있을까 싶다.

더군다나 네이버는 검색사이트도 아니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