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아 멈추어라, 그리하여 흘러라: 글을 쓰는 시간

가급적 새로운 글을 쓰려고 했는데 오늘 수업과 뒷풀이로 늦게 귀가하기도 했고, 머리를 잠깐 비우고 싶기도 해서 수업 쪽글입니다. 자신에게 가장 행복한 시간을 주제로 쓴 글입니다. 가장 행복한 시간, 그래서 영원히 변하지 않길 바라는 순간은 시간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찰나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궁금한데 여러분에게 가장 행복한 순간은 언제인가요? 언제 내가 시간적 존재라는 걸 느끼나요?
===
2013.11.12.화. 15:00-18:00
시간아 멈추어라, 그리하여 흘러라: 글을 쓰는 시간
-루인
며칠 전 약속시간을 기다리며 카페에 머물렀다. 비는 시간이 길었기에 책을 읽었다. 한 뼘 남짓의 광활한 페이지 어느 한 문장에서 나는 오랜 시간 갈피를 못 잡고 있던 고민의 실마리를 잡았다. ‘아, 그래, 이거였어.. 그렇지, 그래..’ 이렇게 중얼거리는 순간, 나는 그 찰나에 그대로 멈춘 느낌을 받았다. 고민의 실마리가 풀리는 그 찰나(비단 그날 뿐만 아니라) 나는 시공간에서 붕 떴다고 느꼈다. 이 찰나에 나는 시간이 멈춘 것만 같다고 느끼고, 또 시간이 멈춘 것만 같은 이 상태가 지속되길 바란다. 이대로 시간이 멈춰도 좋겠다고 느끼는 순간에(사실 이런 순간은 매우 잦다) 나는 내가 시간을 사는 존재라는 점을 깨닫는다. “시간아, 멈추어라!” 외마디 비명 같기도 하고, 환희의 순간 같기도 한 이 말은 시간이 흐른다는 사실을 가장 예민하게 인식하는 찰나에서 나온다. 불가능하단 걸 알기에 간절하게 혹은 음미하듯 욕망한다.
항상 그랬던 것은 아니지만 언어와 글쓰기는 내 삶을 구원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이 문장은 두 가지 다른 시제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렇게 쓸 수밖에 없다). 나는 내 삶을 나 자신에게 설명하고자 했고 내가 처한 ‘현재’ 상황을 표현하고자 했다(이 문장은 현재시제로 바꿔 써도 무방하단 점에서 과거시제 형식을 취한 현재시제다). 또한 나는 설명과 해명을 요구 받는 삶을 살고 있다는 점에서 나에 관해, 혹은 나와 결코 같지 않지만 비슷한 점은 있는 이들에 관해 말을 하고 글을 쓴다. 나는 설명과 해명을 요구받지만 그렇다고 써야 하는 글을 쓰지는 않는다. 나는 글을 쓴다. 책을 읽고 고민의 실마리를 잡는 것만큼 혹은 그보다 더, 글쓰기는 내 삶의 행복이다.
내게 글쓰기는 과거의 시간을 ‘현재’ 순간으로 불러들이며 ‘현재’와 과거가 조우하는 찰나를 기록하는 작업이다. 이것은 내게 말하기와 글쓰기의 가장 큰 차이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말하기는 뒤늦게 느끼는 분함, 때늦은 따짐을 용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며칠 전 아무렇지 않게 넘어간 일을 여러 날 지난 뒤 갑자기 화내며 따진다면 그건 대체로 황당한 일로 이해된다. 아니, ‘그때 제대로 따질 걸 왜 그냥 넘어갔을까’, ‘그때 왜 그랬을까?’라며 뒤늦게 분함을 느끼는 나 자신을 자책할 뿐이다. 분함의 대상이 원인을 제공한 상대에게서 나로 전환되는 찰나기도 하다. 하지만 글쓰기는 다르다. 글쓰기에선 언제나 과거 시간을 마치 현재 사건인 것처럼 기술할 수 있다. 아니, 더 정확하게 글쓰기는 거의 언제나 과거 사건을 기술하는 작업이며 매우 가치지향적이다. 그리고 바로 이 특징은 글쓰기를 매우 중요한 저항의 도구로 만든다. 글쓰기의 특징이라고 얘기하는 비동시성은 지배규범이 비규범적 존재를 타자화하고 박제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글쓰기의 이런 특징으로 비규범적 존재, 사회적 타자는 지배 규범에 문제제기하고 ‘역사적’ 잘못을 따질 수 있다. 누군가는 이미 지난 일을 이제 와서 말해 무엇하냐고 말할 수 있지만, 글쓰기는 이미 지난 일을 쓸 수 있고 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글을 쓰는 시간은 내가 가장 행복한 시간이자 과거로 흘러간 시간을 직면할 수 있고 또 직면하도록 하는 순간이다.
과장하지 않고 말해서, 글을 쓰는 시간은 책을 통해 무언가를 깨닫는 시간과 함께 가장 행복한 순간이다. ‘과장’해서 말하면 글을 쓰는 시간은 내가 구원받는 시간이기도 하다. 글을 쓰는 일이 쉽다는 뜻이 아니다. 어떤 날은 글이 도저히 안 풀려서 온 종일 서성거리기만 한다. 그리고 바로 그 어려운 순간 조차 내겐 행복이다. 글을 쓸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참으로 감사한 일이기에, 글을 쓰면서 흘러가는 시간은 내가 행복과 구원으로 흘러가는 시간이다.

긴 시간에 걸쳐 박제(에 실패)한 여성의 시간

수업에 쓴 쪽글입니다… 🙂
===
2013.11.05.화. 15:00- 크리스테바.
긴 시간에 걸쳐 박제(에 실패)한 여성의 시간
-루인
여성에게 혹은 사회적 타자에게 시간은 있는가? 이 질문은 ‘있다’ 혹은 ‘없다’란 답을 염두에 둔 물음이 아니다. 여성 혹은 사회적 타자의 시간은 어떻게 구성되고, 시간(성) 개념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를 탐문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이 질문을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 식으로 변형한다면, 타자는 어떻게 초역사적 존재로 역사화되고(“Stabat Mater”), 페미니즘의 각 물결은 여성의 시간을 어떻게 달리 사유하고 또 구조화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가(“Women’s Time”)로 재구성할 수 있다.
흔히 여성적 글쓰기라고 불리는 형식을 취한 크리스테바의 글 “눈물 흘리는 성모Stabat Mater”를 독해하는 방법은 다양할 테다. 그 중 하나로, 나는 이 글을 모성 혹은 여성성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무역사적/초역사적 성질로 구성되(었)는가를 탐문하는 작업으로 이해(오독)했다. 즉 “눈물 흘리는 성모”는 어떤 의미에서 마리아/여성에게 부여된 사회문화적 의미를 추적하는 계보학이기도 하다. 크리스테바는 마리아의 위상이 역사적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기술한다. 만약 예수가 원죄 없는 신성한 ‘무엇’이라면 예수의 어머니인 마리아 역시 원죄 없는 존재여야 한다. 이것은 마리아의 위상 변화와 예수의 신성화 작업이 밀접한 관계란 점을 암시한다(어떤 점에서 마리아와 예수는 쌍생아다). 이 일련의 과정은 마리아/여성을 박제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성모인 마리아는 인간에게 오염되지 않은 상태, 원죄를 품지 않은 상태, 즉 무염 시태여야 한다. 이것은 마리아가 자신의 어머니를 부정하도록 한다. 혹은 마리아는 어머니 없는 존재여야 한다. 이처럼 역사적, 시대적 정황에서 마리아는 동정녀로, 성모로, 승천한 존재로, 예수의 어머니이자 아내이자 딸로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았다. 그리고 끊임없이 신성화되었다.
마리아의 의미 변화는 당대 사회가 여성에게 기대한/요구한 여성성의 의미를 투사/재현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매 시대마다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과 여성을 통치하는 기술이 마리아에게 투사되었다. 2,000년이라는 긴 시간에 걸친 이 작업은 여성성을 초역사적 성격으로 만드는 작업이다. 기원전에 태어난 존재(적어도 예수보다는 빨리 태어난 존재)인 마리아를 향한 ‘팬질’ 혹은 ‘집착’,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한 여성적 속성은 그 속성이 마치 기원전부터 존재한 여성 고유의 속성이라는 착각을 일으킨다. 지금 시간에 마리아에게 부여된 속성은 마리아에게서 파생한, 마리아에게 내재한 속성이( 된)다. 이렇게 마리아를 무염 시태로 머물게 하는 역사적 작업, 즉 여성성을 구성하는 시간적 작업은 여성에게 존재하는 시간성을 박제하고, 여성을 언제나 고정되고 변하지 않는 존재로 만드는 작업이다. 그리고 정확하게 이 찰나에 시간은 엇갈린다. 지금이라는 시간이 기원전 존재에게 투사되고, 지금 시간은 기원전 시간이 된다. 그리하여 지금 시간은 현재의 시간인 동시에 기원전의 시간이다. 즉 여성, 여성성, 그리고 모성을 규정하고 또 고착시키려는 일련의 작업은 그 의도가 무엇이건 단선적 시간을 비틀어버린다. 물론 이런 시간 개념은 시간을 흐르지 않는 것, 영원히 정박된 것으로 이해하는 관념의 반영일 수도 있다. 구원 혹은 승천 이전의 시간은, 세속적 시간 개념으로 얘기해서 2,000년 전이건 2,000년 후건 ‘그냥 시간’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시간은 흐른다는 인식으로 접근한다면, 마리아와 여성성을 고착하려는 작업은 시간을 직선이 아니라 ‘이상하게 꼬이고’, ‘기묘하게 접붙는다.’
여성을 고착하려는 기획으로 인해 시간과 시간성이 엉키는 상황에서 페미니즘은 여성과 시간을 어떻게 사유할 수 있을까? 크리스테바의 또 다른 글 “여성의 시간Women’s Time”이 갖는 상당한 매력 중 하나는 제1 단계와 제2 단계, 혹은 제1 물결과 제2 물결로 구분할 수 있는 페미니즘의 역사를 설명하고 구별하는 방식이다. 흔히 이 역사는 정치 이데올로기, 정치적 지향성, 운동의 방식 등으로 특징 짓고 구분한다. 크리스테바는 이것에 더해 시간과 시간성을 다르게 사유하는 방식으로 두 시기를 구분한다. 제1 물결/단계가 남성과의 동등, 동질을 주장하며 선형적 시간 관념에서 여성의 자리를 찾는다면, 제2 물결/단계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 및 여성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순환적 시간과 관계 맺는다. 크리스테바에 따르면 이 두 운동은 각각의 문제가 있다. 제1 물결/단계는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력’을 획득할 때, 흔히 말하는 남성적 폭력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제2 물결은 성차를 강조하면서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강하게 부각하면서 다른 다양한 차이를 은폐한다. 여성의 다양성, 복잡성을 강조하는 크리스테바는 제3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또 그것이 진행 중이라고 얘기한다. 크리스테바에게 새로운 가능성은 이항대립을 중재하고, 선형적 시간과 순환적 시간을 대립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동시적 작동으로 해석한다.
크리스테바가 제안하는 제3의 단계/물결은 시간 개념을 나선형 시간(성)으로 바꾸는 작업인지도 모른다. 순환적 시간과 단선적 시간이 반드시 대립이어야 할 이유는 없으며, 단선적 시간이 반드시 직선의 시간일 이유도 없다. 당시 맥락에서 시간/시대/세대를 달리 사유하려는 크리스테바의 작업은 “눈물 흘리는 성모”와 공명한다. 비록 “눈물 흘리는 성모”에서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해도, 크리스테바는 성모의 몸에 복잡한 시간 혹은 나선형 시간이 작동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이 시간성, 혹은 여성의 사회적/상징적 삶은 기존 질서가 사유하고 규정한 틀 내에서 혹은 그 ‘바깥outside’에서 사유될 수 없다. ‘여성’의 삶이 권력의 외부에 존재할 수 없고 배제의 원리에서조차 버려진 것은 아니라면 여성 혹은 타자의 시간을 다른 식으로 사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다른 사유 체계를 상상하면서, 배제의 원리에서도 인식되지 않은 삶과 그 시간성을 사유할 가능성(상상력, 방법, 인식론)을 모색해야 한다.

타자/퀴어의 역사쓰기

지난 주 수업 때 제출한 쪽글입니다. 매주 제출이라 매주 쓰고 있는데 일주일에 하나 씩 공개할지 꿍쳐 뒀다가 새로 블로깅하기 귀찮을 때 할까 고민이지만요.. 으하하. ;;;
암튼.. 고민이 얕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저도 수긍할 수밖에 없고요. 상상력이 얼어버려서 고민을 밀고 나가지 못 했거든요.. 하하 ;;;
===
2013.10.08.화. 15:00-
타자/퀴어의 역사쓰기
-루인
타자가 처해 있는 “예외상태가 상례”(337)라는 건 “야만의 기록이 아닌 문화의 기록이란 결코 없다”(336)는 뜻이기도 할 터다. 타자의 역사, 야만의 기록은 지배 규범적 역사와 별개로 존재하지 않는다. 지배 규범적 역사는 타자(의 역사)를 억압하며, 그럼에도 타자를 그 자신의 토대 삼으며 구성한 시간이다. 문화의 역사는 지배자의 감성으로 구성한 역사이자(336) 타자를 예외 취급하며 구성한 시간이다. 그러니 타자는 별개의 존재 같지만 이 사회 질서에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타자는 이 사회의 규범을 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하지만 마치 예외처럼 취급되어 별도로 인지될 뿐이다.
소위 여성이나 퀴어에겐 종종 “예전에 비하면 지금 많이 좋아지지 않았느냐”는 말을 한다. 예전에 비하면 좋아졌다는 식의 언설은 진화론적, 단선적 시간, 그리하여 열악한 과거, 현재와 단절된 과거를 상정한다. 하지만 이런 시간은 소위 얘기하는 남성에겐 적용되지 않는다. 남성은 늘 예전보다 지금이 ‘열악’하거나(“예전엔 남편의 말이 하늘 같..”) 남성의 현재는 과거의 남성이 아니라 다른 남성의 현재와 비교된다. 소위 여성이나 퀴어의 단절된 과거가 현재보다 열악하다고 가정하지만, 그때가 정말 지금보다 열악했다는 증거는 없다. 이미 기록이/역사가 없(다고 여기)는 존재기에 현재의 재현이 전부다. 그 과거는 구체성 없이 막연한 형태로 존재한다. 혹은 지배적 역사/문화의 기록에 누락된 형태로만 존재한다. 그리하여 그저 지금 이 순간 뿐이라서 “인용할 수 있는 것”도 없는 존재…
물론 타자도 ‘역사’가 있다. 퀴어가 늘 듣는 질문 “넌 언제부터 네가 퀴어란 걸 깨달았니?”는 퀴어의 기원, 개인의 역사를 묻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질문을 비-퀴어는 받지 않는다. 그리고 이 질문의 대답은 대체로 어떤 규정에 따라 평가받는다. 규정된 서사로 구술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존재 자체를 의심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퀴어에게 혹은 타자에게 부여된 역사는 동적이고 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것, 박제된 것이다.
하지만 역사가 지금시간의 구성 대상이고(345), “역사적 인식 주체가 투쟁하는, 억압받는 계급 자신”(343)이라면 역사는 타자의 맥락에서 재구성되어야 하거나 재구성될 수 있다. 비록 현재의 지배 규범으로 유통되는 역사가 지배자의 통치를 돕고 지지하는 역사, 지배하는 자에게 감정이입해서 기술된 역사라지만, 이 역사는 또한 타자의 역사란 점에서 그러하다(336). 그리하여 타자/퀴어의 역사를 인용가능한 것으로 만든다면, 퀴어/타자의 역사를 “성좌구조”(349)에 배치할 수 있다면?
도서관에서 책을 뒤적인다. 1980년대 출판된 책을 지나 1970년대 출판된 책의 목차를 훑는다. 없고, 없고, 없다. 없는 와중에 드물게 있다. 드물게 불쑥 튀어나와 지금의 나와 조우한다. 1970년대에 출판된 퀴어 관련 기록이 2013년의 나와 불쑥 조우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긴 과거가 지금 이 찰나에 ‘현재’로 등장한다. 그리고 나는 ‘나’의 옛시간과 만난다. 나는 내가 태어나지 않은 시간에 존재하고, 내가 태어나기 전의 기록은 지금 이 순간 다시 숨쉰다. 물론 이 기록은 단절 없이 지금과 매끈하게  접합하진 않는다. 하지만 이 기록은 타자의 역사, 혹은 역사를 ‘인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바꿔낸다. ‘구원’되지는 않았다고 해도 그렇게 불쑥 튀어나온 역사의 흔적은 기존의 역사를 다시 인식하도록 하고 다시 쓰도록 한다. 그 한두 구절 속에 역사의 새로운 국면이 움트고 있다. 어쩌면 나는 역사에서, 과거에서 구원 혹은 희망을 찾는 건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