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 도살, 폭력성, 페미니즘, 계급

생명을 죽이는 행동이, 동물을 죽이는 행동이 어떤 폭력성의 발현이라는 논리는 정당한 것일까? 이것은 타당한 논리일까? 육식을 하면 사람이 더 폭력적이고 채식을 하면 사람이 선하다는 식의 언설이 있다. 믿는 사람은 별로 없는데 이런 언설은 꽤나 만연하다. 만약 생명을 죽이는 행동이 폭력적 행동이라면 가사노동은 폭력적 실천이란 이상한 논리가 가능해진다. 음식을 만드는 여성 젠더 역할은 폭력적 행위라는 논리도 가능하다. 이런 식의 논리가 가능하다면 채식주의와 페미니즘은 충돌하는 정치학인가? 하지만 적잖은 페미니스트가 생명 윤리를 이유로 채식을 고민하고 채식주의를 얘기한다.
여성이 생선이나 어류를 구매하고 죽이는 일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게 강제된 성역할이지 여성의 폭력성을 표현하는 행동은 아니다’라고 반박할 수도 있겠다. 여성이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게 아니라 억지로 하는 행동이란 뜻이다. 이런 해석은 정말 여러 가지로 문제다. 여성 중 생선이나 어패류를 좋아해서 직접 요리하는 일은 없다는 걸까? 대행업무라고 해서 책임감이 없다고 단정해도 되는 것일까?
남성성과 폭력성을, 육식 행위와 폭력성을, 생명 살해 행위과 폭력성을 단순하게 등치시켜선 안 되는 찰나다. ‘모순’이나 ‘아이러니’는 등치해선 안 되고 전제가 잘못 된 것을 문제 삼지 않으면서 발생한다. 그리고 육식 행위는 폭력적이고 채식을 여성성/여성적 사유로 연결하는 행위는 이원 젠더 규범을 재생산하고 강화할 뿐이다.
도살 행위 역시 마찬가지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도살 행위는 특정 계급의 역할이다. 조선시대엔 정말 천한 일이고 지금도 도살행위가 우대받거나 사회적으로 권장받는 직업은 아니다. 도살을, 생명을 죽이는 행위를 폭력성과 붙인다면, 특정 계급에 대한 혐오, 예를 들어 노동계급은 폭력적이다라는 식의 인식과 곧장 결합되면서 계급 혐오/계급 편견를 재생산한다. 즉 채식 행위에 어떤 윤리, 비폭력성을 붙이거나 육식 행위에 비윤리적이거나 폭력적 속성을 붙이는 행위는 결국 특정 계급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 논리에 가깝다. 거대 목축업을 하는 건 거대 자본의 일이긴 하지만, 직접적 도살이 상층 계급의 일은 아니란 점에서 도살, 생명 살해 행위를 폭력적 실천으로 재현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다른 말로 채식을 윤리, 폭력성 등과 연결해서 논하는 행위는 여성 혐오, 계급 혐오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순간을 만든다. 그러니 누가, 어떤 인식론적 위치에 있는 사람이 채식에 윤리와 비폭력성을 붙이려 드는지 되물어야 한다. 이런 논리가 어떤 지배 질서, 지배 규범을 재생산하려고 하는지 탐문해야 한다.
#나중에 출판할 글의 일부입니다.

채식 단상: 생명과 윤리 이슈 – 질문만 던지기

얼마 전, 가슴 아픈 일이 있었다. 자세히는 언급하지 않으리라. 동거묘가 있는 입장에선, 행여라도 냥이가 외출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야겠다고 중얼거렸다. 물론 동거묘가 잠깐 외출한 사이에 사건이 발생하는 일은 빈번하니 이번 일이 특별한 건 아니다. 이번 일로 유난스레 조심해야겠다고 다짐하지도 않았다. 그저 이와 같은 사건이 특별할 게 없음을 새삼스레 깨달았을 뿐이다. 그래서 더 조심해야겠다고 다짐했을 뿐이다.
 
다른 많은 사건처럼 그 사건도 여성혐오를 동반했다. 많은 이들이 가해자로 가정하는 이를 비난했다. 이런 비난의 언설이 불편하여, 그 사건을 외면했다. 아울러 그렇게 비난하는 이들의 불안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그렇게 비난하는 행위를 통해 얻고자/보상받고자 하는 것이 무엇(윤리? 권력? 규범적 지위? 욕설 자체?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했다.
 
일각에선 채식-육식 논쟁이 벌어졌다. 모두가 예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야기가 흘러갔다. 동물학대와 육식행위가 별로 다르지 않다는 논쟁은 어김없이 그럼 식물을 먹는 행위는 정당하냐는 질문으로 이어졌다. 동물학대와 육식의 연관성을 지적하는 언설에, 그럼 식물은 생명이 아니냐는 반론은 잊히지 않고 등장한다. 이 반론은 채식이 정치적 행위로 이해되기 시작한 그때부터, 음식을 먹는 행위가 더 이상 정치적이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리라(즉,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듯).
 
비록 이런 반론의 일부는 혐오발화에 가깝지만, 나 역시 가끔은 묻고 싶다. 동물학대와 육식행위가 무관하지는 않겠지만 둘을 동일시해도 괜찮은걸까? 둘은 정말 대응관계에 있는 걸까? 채식하는 사람도 동물을 학대한다는 식으로 말하려는 게 아니다. 동물학대와 육식행위를 동일시할 때 놓치는 부분, 동물학대와 육식행위를 동일시하며 그 대안으로 채식을 얘기할 때 놓치는 부분이 있다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왜 채식이 대안이어야 할까? 난 잘 모르겠다.)
 
채식을 하는 이들 중 일부는 채식이 윤리적으로 정당하다고 얘기하며 채식행위와 육식행위에 윤리적인 위계(이른바 생명윤리)를 부여한다. 채식이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것. (최근에 와선 이런 주장을 자중하는 분위기지만..) 하지만 이런 윤리는 늘 동물이라고 불리는 범주의 생명과 식물이라고 불리는 범주의 생명을 구분하고, 둘 사이에 우열관계를 만든다. 이 우열관계에서 죽어도 괜찮은 생명과 죽으면 안 되는 생명이 정해진다. 하지만 누가 이 둘의 위계관계를 정할 수 있는 걸까? 누구의 편의일까? 나를 비롯한 모든 판단은 결국 인간이 기준이라는 점에서 인간중심이라고 비판하는 게 아니다. 인간중심이 아닌 것이 어디있으랴. 그저 채식에 윤리적 우위를 부여하는 이들에게 육식이 문제인 것처럼, 동물-식물의 생명위계를 가정하는 언설 역시 논쟁적이라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그리고 이렇게 위계를 설정하겠다면, 생명윤리에서 식물의 생명을 하위에 둘 수 있는 근거를 ‘설득력’있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설득력이란 게 매우 논쟁적인 영역이라, 실현할 수 없는 영역이긴 하지만, 그래도 이런 요청을 하고 싶다.
 
그리고 남은 질문에 나는 언젠가 어떤 모색을 하고 싶다. 지금은 나도 잘 모르겠다. 그저 동물학대-육식행위-채식행위의 관계를 좀 다른 방식으로 고민 해야한다는 고민만 있을 뿐. 뭐, 누군가 울림을 주는 그런 글을 쓰거나 이미 관련 글이 있어 추천해준다면 너무 고맙고!

+
이 글은 콩단백이란 글과 같은 날 썼다. 그런데 이제야 공개하는 건, 내용이 부담스러워서가 아니라 까먹고 있었다… ;;;;;;;;;;;;;;;;;;;;;

콩단백 혹은 콩고기로 불리는 어떤 식품에 관한 단상.

콩단백 혹은 콩고기는 육류 혹은 고기를 모방한 음식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아울러 어떤 이들은 콩단백/콩고기를 먹는 채식(주의)자를 불쌍히 여기기도 한다. 그렇게 먹을 바에야 그냥 고기를 먹지 왜 채식을 하냐며. 나 역시 얼마전까지 이렇게 이해했다. 콩고기를 처음 먹었을 땐 그 질감에 뜨악하며 다시는 못 먹을 음식으로 분류했고. 요즘은? 그냥 먹는다.

콩단백/콩고기를 이해하는 방식이 변했기때문이다. 육식 혹은 육류를 기준으로 하면 콩단백/콩고기는 육류를 모방한 제품이다. 어떻게든 고기와 비슷한 질감, 고기와 비슷한 모양을 갖추려고 노력하는 제품이다. 그리하여 고기를 먹고 싶지만 먹지 못 하는 이들의 대체제다. 하지만 콩단백/콩고기는 그냥 콩으로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 중 하나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두부를 상상하면 편하다. 겉모습만 봤을 때 콩과 두부는 닮지 않았다. 두부의 출처가 콩이라고 상상하기도 어렵다. 콩단백/콩고기 역시 마찬가지. 그냥 콩과 여타의 채식 재료를 섞어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음식 중 하나일 뿐이다.
 
기준을 바꾸면 간단한 일이다. 콩단백/콩고기를 이해하는 방식은 다양하겠지만, 그 기준이 여전히 육식과 육류/고기라면 상당히 불편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