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

친구가 이사를 한다고 했다. 이삿짐 나르는 일을 도와주러 갔다가 시간이 붕 떴다. 시간 계산에 착오가 있었고, 그리하여 한 시간 반 정도의 시간이 남았다. 다시 사무실로 돌아갈까 했지만, 왔다 갔다 하는 시간이 더 많이 들겠다 싶어, 근처의 지하철역으로 갔다. 지하철역에 가면, 책상과 의자가 있으니까.

루인은 블로그에 쓰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면지에 볼펜으로 글을 쓴다. 이런 얘길 사람들에게 하면 요즘 들어 이런 경우는 드물다며, 모니터 화면을 보지 않으면 글을 쓸 수 없다는 얘기도 자주 듣는다. 지하철역에 가서 책을 읽을까 하다가 어제의 내일인 오늘이 마감인 글을 쓰기로 했다. 이면지는 언제나 몇 장정도 가지고 다니는 편이기에 종이는 넉넉했다. 다만 걱정은 요청한 원고 분량이 원고지 5~6장인데, 펜으로 쓰다보면 그 분량을 가늠할 수 없다는 것. 아무려나 일단 대충 하고 싶은 얘기를 썼다. 그러곤 한 번 수정하고 나서 글자수를 세기 시작했다. -_-;;; 크크크. 대충 이 정도 분량이면 5~6장이겠다 싶은 분량으로 해서 수정과 편집을 거친 후, (분량이 적었기에 반복해서 쓴다고 해서 힘들진 않았다) 일단 초안은 완성. 나중에 사무실에 돌아와 워드작업을 하니, 후후후, 딱 요청 분량. 내용은 만족스럽지 않은데 분량을 맞췄다는 사실에 혼자 좋아했다. ;;;

이제 곧 있을 인권영화제에서 해설책자를 내면서 인권해설이란 글이 들어가는 듯한데, 그곳에 실릴 목적으로 글을 청탁 받았다. 그곳에서 요청한 주제는 “인권해설은 성전화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알기 쉽게 써주시면 됩니다.“였다. 하지만 쓴 글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잡았다. 왜냐면, “우리는 어떤 차별을 받고 있다”는 식의 글을 별로 안 좋아 하기도 하거니와 이와 관련한 내용은 기사검색만 해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좀 다른 접근을 할 필요가 있겠다 싶었다. 적어도 영화제의 성격을 감안한다면 더욱더.

[#M_ 읽기.. | 접기.. |

트랜스젠더 혹은 “나”를 어떻게 얘기할 것인가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나”의 어떤 지점을 어떤 식으로 주장할 것인가란 고민 때문이다. 흔히 트랜스젠더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정신적인 성과 육체적인 성이 불일치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얘기하곤 한다. 물론 자신의 몸이 변하면서(일테면 사춘기를 거치며 가슴이 나오거나 월경을 하는 것, 목소리가 굵어지고 수염이 나는 것) 몸과 갈등을 겪지 않는 건 아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설명은 세상엔 남성과 여성이란 두 가지 성별뿐이며, 태어날 때 할당 받은 성별과 어떤 갈등도 경험하지 않는다는 식의 가정을 은폐한다. 이럴 때 트랜스젠더들이 경험하는 갈등과 긴장은 “그들 개인의 문제”이고 “치료”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성과 육체적인 성이 불일치한다”란 식의 언설은 트랜스젠더들의 경험을 설명하는 여러 방식 중 하나일 수는 있지만, 유일한 설명 방식은 아니다. 만약 이런 식으로만 설명한다면, 현행 호적제도나 신분제도 등으로 인해 경험하는 갈등, 그리하여 끊임없이 호적상의 성별을 변경하고자 하는 요구들을 설명하기 힘들다.

이 글에서는 트랜스젠더들이 얼마나/어떻게 고통 받고 있는지를 쓰지 않는다. “나”를 주장하기 위해 “나”의 고통을 전시하고 “나”의 고통을 증명해야 하는 건 아니며, “내”가 이 만큼 고통 받고 이렇게 힘들게 살아가고 있음을 증명하지 않는다고 해서 “나”를 주장할 수 없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인권운동이 우리는 이 만큼 고통 받고 있으니 이를 해결하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란 범주를 어떻게 만들고, 인권의 의미를 누가 어떤 식으로 해석하는가란 질문과 같이, 해석들이 경합하는 장을 만드는 작업이라면, “나”의 고통을 말하기에 앞서 고통의 전시를 통해서만 나를 주장할 수 있는 맥락들을 얘기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에 질문은 “트랜스젠더가 되는 이유는 무엇이냐”와 같은 형식이 아니라 사회적, 법적, 문화적 제도가 사람들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어떻게 사람들을 “남성” 아니면 “여성”으로 기획하는가로 바뀔 필요가 있다. 동시에 트랜스젠더와 어떻게 소통할지 모르겠다와 같은 말은, 상대방이 트랜스젠더라는 걸 알았다는 것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 오는지와 동시에 고민할 때에야 비로소 의미 있는 언설이다.

_M#]

기본 아이디어는 “Transgender? Transgender!“에 썼던 내용들을 토대로 했다. 팜플렛에 들어갈 내용으로 썼는데 팜플렛이 나왔는지 모르겠고 -_-;;; 아이디어는 비슷하다고 해도 그런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문장 방식은 변했다는 느낌이 있다. 이 느낌을 믿어야지.

[다큐] 레오 N이란 사람

01
예전에 활동정리 글을 쓰면서 인권영화제(자세한 건 여기)에 상영할 영화 한 편과 관련한 일을 할지도 모른다고 적었다. 그땐 전화만 한 통 받았기에 자세히 적을 상황은 아니었는데, 루인도 미처 깨닫기 전에 일은 진행 중이었고, 어느 새 루인이 한다고 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자막 감수와 소개하는 글 쓰기.

지난 월요일인가, 영어 자막을 받았고, 수요일 영화 DVD 사본을 받았고, 어제 한글 번역 자막을 받았다. 아무튼 루인이 담당할 영화는 [레오 N이라는 사람 The Person de Leo N](당연히 제목에 주소 링크했음). 5월 20일 일요일 오후 6시 40분과 5월 23일 수요일 오후 1시, 이렇게 두 번 상영한다고 한다. 홈페이지에서 상영일정표를 확인하면 알 수 있듯, 일요일 상영시간에 감독과의 대화가 있다고 나와 있는데, 감독과의 대화가 아니라, 영화 및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대화”의 시간을 루인이 담당하기로 했다. (시간 괜찮은 분은 많이많이 오세요. 🙂)
※방금 확인한 건데, 입장이 무료라고 한다!!! 당연히 선착순 입장이고;;;

02
자막 감수라고 해봐야, 특별할 것은 없었다. 영어로 얼추 읽었기 때문에, 영어와 한글을 대조하면서 검토하는 작업 정도. 번역하신 분이 꼼꼼하고 맥락을 잘 짚으면서도 가독성 있는 문장으로 쓰셔서, 그저 읽기만 해도 될 정도였다. 그저 몇 가지 단어가 걸려서 수정을 요구한 정도.

사실, 몇 가지 갈등 지점이 없었던 건 아니다. 영어 자막엔 트랜스섹슈얼(transsexual)로 나오는 걸, 한글로는 성전환 혹은 성전환자로 번역한 것. 루인의 입장에선 트랜스섹슈얼과 성전환/성전환자는 상당히 다른 의미라서 이런 식으로 번역하기 힘들다는 입장이지만, 그렇다고 다시 트랜스섹슈얼로 바꿀 수도 없었다. 다큐멘터리 형식의 영화라면, 그래서 두 용어들을 번역어 관계로 사용하기 힘들다는 걸 모든 사람들이 고민하고 있는 건 아니라면, 어느 쪽이 좋을까를 갈등했다. 동시에 성전환/성전환자란 단어는 주로 의학계나 법조계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이고, 트랜스젠더 공동체에선 트랜스섹슈얼이란 용어보다는 트랜스젠더 혹은 TG/티지라는 말을 더 자주 사용한다면,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까?

이런 저런 고민을 하다가, 그냥 성전환자로 가기로 했다. 이유는? 없다. -_-;;; 케케. 이 다큐는 이탈리아에서 찍은 건데, 이탈리아에서의 용어를 둘러싼 논의를 전혀 모른다는 점에서 뭐라고 쉽게 넘겨짚기가 힘들고, 성전환자란 용어를 의학이나 법학에서 사용하는 의미와는 다른 식으로 사용하고픈 고민이 있어서라는 게, 이유라면 이유일 수 있다.

가장 당황했던 단어는 meta-sexuality. 당연히 사전에는 안 나오고, 구글에서도 몇 페이지 검색이 안 되는 단어. 영어자막만 받았을 땐, 어떻게 번역할까 고심하다가, 그냥 메타-섹슈얼리티로 메모했는데, 한글 번역 자막엔 “성초월”로 적혀 있었다. 성초월? meta라는 말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의 문제에서, 성초월이 적절한가로 갈등했지만(성변화, 성너머 등을 고민했는데), “성초월”이 가장 무난할 것 같았다. 그 단어를 읽었을 때, 어쨌거나 의미를 가장 빨리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물론 만족스러운 번역은 아니지만 마땅한 언어가 없는 셈이다.

03
처음 전화를 받았을 때, 담당자는 [레오 N이란 사람]과 [Un/going Home] 두 작품 중에서 고민하다가, 이 작품을 골랐다고 했다. [Un/going Home]의 경우, 작년 퀴어문화축제에서 잠깐 본 적이 있는 그 분인 것 같아, 인디포럼으로 상영하는 일요일에 보러 갈 예정인데, 어쨌거나 두 가지 작품을 모두 볼 수 있어 다행이라면 다행이고 행운이라면 행운이다.

인권영화제 홈페이지엔 이 영화 소개를, 성전환 수술을 한 후 어머니를 찾아간다고만 나와 있는데, 영화를 읽고 나면, 이 정도 소개로는 너무도 부족하다고 중얼거렸다. 뭐, 어차피 볼 사람만 볼 테고, 볼 사람은 볼 테니까 상관없겠지만;;;

다큐를 읽으며 꽤나 흥미롭다고 느꼈던 건, 세 가지 측면에서였다. 우선 데 레오 니콜은 연극배우이기도 하다(연극의 연출자가 “성초월”이란 말을 사용한다). 연극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을 만나는데, 그렇게 만난 누군가가, 젠더를 옷을 골라 입듯이 선택하는 것이라고 얘기한다. 그리고 이 다큐는 성전환을 일종의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는 듯, 계속해서 연극 무대에서 연습하고 옷을 바꿔 입고 가발을 바꿔 쓰는 모습을 보여준다. 만약 이런 식으로만 구성했다면, 재미가 없었을 지도 모른다. 흥미로운 건, 이런 과정을 성전환수술을 준비하고 수술 하는 장면과 교차 편집하고 있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연극을 상연하며 무대 뒤에서 옷을 갈아입는 동안(주인공은 “남성”역과 “여성”역을 모두 담당한다) 성기재구성수술 장면을 보여주는데 이 순간, 젠더를 선택해서 무대 위에서 상연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하는 것에 균열을 일으킨다. 수술을 성공적으로 하는 것과 연극을 성공적으로 끝내는 것이 교차하며, 젠더를 단순히 무대에서 상연하고 선택하는 것이란 식으로 말할 수는 없는 어떤 지점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지레짐작 하고 있다.

가장 좋았던 부분은, 아무래도 성전환수술을 한 후 엄마를 찾아 가는 장면. 전화상으론 항상 싸우고, 엄마는 레오가 찾아오는 걸 두려워 하지만, 정작 찾아 갔을 때의 반응은 다르다. 이 부분의 편집이 꽤나 재미있다. 아, 엄마에게 가는 장면이 “집”으로 돌아가는 것―트랜스젠더의 성전환을 얘기하며 흔히 말하는 이주서사로서의 의미라기보다는 과거와 현재의 자신 및 그 관계들과 소통하는 것으로 다가왔다.

04
하지만, 어제 밤, 이 다큐를 봤을 땐 자막도 없는 영상으로만 봤다는 거-_-;; 내용이야 얼추 다 알고 있으니 그렇다 하더라도, 재생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는 건지, 영어 자막조차 안 나와서, 맥락 따라가는데 상당한 에너지를 쏟았다. 그러니 몇 번 더 봐야 할 듯. 그러고 나면, 정작 “감독과의 대화” 시간엔 이 영화를 비판할 지도 모른다는 거 ;;;; 케케.

아무려나, 많은 비판 지점에도 불구하고 [트랜스아메리카]가 꽤나 괜찮은 영화라면, 이 다큐는 [트랜스아메리카]보다 좀 더 괜찮은 것 같다. 물론 다시 확인해야 하고, 나중에 어떻게 말을 바꿀지 알 수 없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