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퀴어, 트랜스젠더, 번역

최근 몇 년 전부터 일부 구성원 사이에서 스스로를 젠더퀴어로 설명하는 사람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한편으로 반가웠고 한편으로 당황했는데 젠더퀴어가 한국에서 어떤 맥락으로 들어왔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사실 여러 범주 용어를 번역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더 복잡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혹은 더 섬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이것은 좋은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자신을 주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범주를 둘러싼 사회구조적 측면을 같이 이야기해야 하는 것 역시 중요하고. 하지만 용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고민은, 왜 미국의 중산층 백인 무리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가 주로 번역되는가였다. 비백인 하위문화, 하층계급에서 사용하는 범주 용어, 펨퀸, 게이퀸 등은 거의 번역되지 않는 경향이 의심스럽기도 했다. 이런 고민으로 나 자신을 젠더퀴어로 설명할 때가 있음에도 젠더퀴어란 용어를 그리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젠더퀴어란 용어를 더 적극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란 고민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트랜스젠더란 용어는 미국 (학제) 맥락에서처럼 포괄어가 아니다. 미국에선 트랜스젠더에 크로스드레서를 포함하지만 한국에서 트랜스젠더와 크로스드레서는 전혀 다른 범주 용어다. 둘이 매우 많이 겹친다고 해도 전혀 다른 범주며 때론 크로스드레서가 더 포괄적인 범주란 느낌이 들 때도 있다. 트랜스젠더는, 항상 그런 것은 의료적 조치와 매우 밀접하게 유통되고 있다. 하리수 씨의 영향이기도 하겠지만, 트랜스젠더는 성전환수술을 했거나 할 예정인 사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커뮤니티에서도 대체로 이런 느낌으로 사용하고 있고. 아울러 젠더퀴어는,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의료적 조치 경험과는 무관하지만 이원젠더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젠더를 실천하는 이들이 사용하는 느낌도 있다. 어렴풋한 느낌이지만. 미국 맥락에서라면 한국의 젠더퀴어가 미국의 트랜스젠더고, 한국의 트랜스젠더가 미국의 트랜스섹슈얼에 가깝겠지만, 어차피 언어, 용어, 정체성은 번역되고 그 과정에서 지역적 변형을 겪는다. 그리하여 미국의 범주 용어와 한국의 범주 용어는 한국에서 오독되는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용어로 등장한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의료적 조치를 원하지 않거나 의료적 조치를 한다고 해도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 포섭되길 원하지 않는 이들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혹은 이성애-이원젠더 규범에 온전하게 포섭되지는 않지만 한국 사회에서 사용하는 트랜스젠더로 설명할 수 없고 동성애나 양성애/범성애로 설명하기도 힘든 이들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젠더퀴어란 용어를 적극 차용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젠더퀴어를 좀 더 적극 사유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이런 고민을 하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