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셔츠로 하는 퀴어 실천

책을 보던 E가 이미지를 하나 보여줬다. 아마도 퀴어를 혐오하는 듯한, LGBT를 혐오하는 듯한 가족이 피켓을 들고 있는 장면이었다. 피켓엔 “It’s not Diversity. It’s Perversity.”(다양성이 아니다. [성]도착이다.)라고 적혀 있었다.

E와 나는 둘다 이 문구를 보며 좋아했다. 바로 이거야! 사진 속 비장한 표정의 이 가족은 it(그것)으로 표현한 그 무언가를 혐오하는 듯했지만, 이 문구는 퀴어정치학의 지향점(적어도 내가 이해하는 수준에서)을 매우 잘 표현한다고 느꼈다. 정말 바로 이것이다. 퀴어정치학은 다양성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도착성을 이야기한다. 비규범적 삶을 이야기하고, 규범성의 문제적 작동을 이야기한다.
때마침 긴팔용 티셔츠를 제작하려고 했던 나는 E와 신나게 떠들며, 이 문구를 사용하기로 했다. “Queer Is Not Diversity. Queer Is Perversity.”라고. 나는 이것 자체로 무척 좋다고 판단하지만 잠시 고민하던 E는 이 구절을 읽은 어떤 ‘퀴어’는 이 구절에 상처를 받을지도 모른다고 염려했다. 그래서 이를테면 “I’m Queer.”란 구절을 덧붙이면 좋을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이런저런 구절을 이용해서 티셔츠를 만들었다. 가을에서 겨울을 지나 내년 봄까지 입을 옷이다.

Queer Is Not Diversity. Queer Is Perversity. [퀴어는 다양성이 아니다. 퀴어는 도착이다.]라고 적었다. e가 번데기처럼 보이는 건 그냥 넘어가기로… 디자인을 할 땐 글꼴이 괜찮았는데 출력하니 이런 문제가 생기네… 같은 문구에 글꼴을 바꾸고 색깔 등도 바꿔서 한 번 더 제작할 수도?

Queer Is Not Diversity. Queer Is Perversity. I’m Queer. [퀴어는 다양성이 아니다. 퀴어는 도착이다. 나는 퀴어다.]라고 적었다. E의 의견을 반영한 것. 디자인할 때 글꼴이 얇아서 조금 걱정했는데 가장 잘 나왔다. 가독성도 좋아서 이 글꼴을 애용할 듯.

마지막 구절을 I’m Genderqueer.[나는 젠더퀴어다.]라고 쓴 것도 있다. 나는 퀴어며, 트랜스젠더 역시 퀴어 범주에 속하기도 한다. 하지만 너무도 많은 사람이 퀴어를 성적지향만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어서 젠더퀴어라고 적었다. 종종 나를 젠더퀴어로 설명하기도 하고.

I am Transgender. Look at YOU through Me! [나는 트랜스젠더다. 날 통해 널 봐라!]라고 적었다. 글꼴이 걱정이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느낌표가 애매하게 나왔다. 그래도 괜찮아.
그나저나 얇은 긴팔 티셔츠겠거니 했는데 두껍고 따뜻한 티셔츠다. 그리고 꽤나 예뻐서 스키니진과 입으니 잘 어울린다. 우후후. 매우 만족.
+”나도 이런 거 원해!”라는 분은 안 계시겠지? 흐흐흐.
++한국어로 디자인한 티셔츠도 있는데 제작은 않했다. 이유는 간단한데 글꼴이 안 예쁘다. 영어 철자는 다양한 글꼴이 예쁘게 적용되는데, 한글은 글꼴을 바꿔도 크기만 조금씩 변할 뿐이다. 그래서 주문제작을 포기했다. 외국사이트를 이용하니 이런 문제가 있네. 퓨우…
+++근데 이런 거 만들어 입고 다녀봐야, 안전하다. 정말 안전하다. 한국어로 제작하면 좀 알아보려나… 영어와 한국어의 문제일까, ‘남의 티셔츠에 적혀 있는 문구 따위’일까. 결국 티셔츠로 하는 퀴어 실천 따위, 그냥 깨작거리는 행동일 뿐이다. 그저 나를 위로하는 행동일 뿐이다.

삐라 테이블 토크 with《퀴어인문잡지 삐라》02-죽음

퀴어인문잡지 삐라에서 테이블 토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8개 세션이고 전체 주제는 죽음.
잡지가 나오고 잡지 내용으로 세미나가 열리는 것은 무척 멋진 일이에요.
===
《퀴어인문잡지 삐라》02-죽음 발간 기념 ‘삐라 테이블 토크(VVIRA TABLE TALK)’가 열립니다.
 ‘삐라 테이블 토크’는 하루 동안 총 세 파트의 세션, 8개의 테이블로 꾸려집니다. 또한 《퀴어인문잡지 삐라》2호의 필진이 모두 참여해 자신들의 원고를 렉쳐, 프레젠테이션, 워크숍, 이야기방 등의 자유로운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각 원고들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공유될 예정으로, 삐라 텍스트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삐라의, 필진들과 독자들이 함께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이니만큼 이런 자리를 통해 《퀴어인문잡지 삐라》가 보다 많은 이들을 만나길 기대해봅니다.

일시 : 2014년 8월 30일 (토요일) 오후 1시-6시반
장소 : 서강대학교
참가비 : 각  세션 당 5000원 (얼리버드 세션 3개 모두 신청시 12000원 / 얼리버드는 8/20(수)-8/27(수)동안 열릴 예정)
참가방법 : 당일 현장 신청 (얼리버드는 홈페이지 내 신청)
후원 : 서강퀴어모임&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 Q
세션별 소개 : 홈페이지 내 게시될 예정

Timetable
Session1  / 13:00 – 14:30

  • 언니 저 달나라로 2: 1910-1930년대 여성 간의 동반자살과 백합물 – 이서
  • 섹스 이외의 삶에 관하여: 무성애자 공동체 내부에서의 차이와 공통성 – 마크 캐리건 (번역자 이서하가 렉쳐 진행)


Session2  / 15:00 – 16:30

  • 죽음에 눈 감기 – 양창아
  • 죽음을 가로지르기: 트랜스젠더, 범주, 그리고 시간성 – 루인
  • 사랑과 성의 모험을 둘러싼 이중의 죽음, 하나의 삶 -연경


Session3  / 17:00 – 18:30

  • 미로의 안과 밖에서: 커밍아웃, 진출, 발화 – 허원
  • 법 앞에서 맥락의 죽음에 어떻게 저항할 것인가: 성소수자 맥락의 죽음이라는 판결에 관한 세 개의 의견 – MECO
  • 새삼, 새 삶의 복원: 한국 현대소설을 통해 본 레즈비언 관계 정치학 – 이보배, 한빛나


-세션 시간 : 한 세션 당 90분
-쉬는 시간 : 한 세션 종료 후 30분
-한 세션 당 2-3가지 강의가 배치되어있고,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

퀴어아카이브 퀴어락 반상근, 노트북, 트랜스젠더 아카이브

8월부터 퀴어락에서 주 1회 근무하기로 했다. 농담처럼 박사학위를 끝내면 퀴어락에 취직하겠다고 말하곤 했고, 퀴어락의 업무는 내게 일종의 로망이다. 물론 로망은 노망이고 현실은 다르지. 그럼에도 내가 가장 애정을 갖는 일이다. 그리고 8월부터 주 1회 근무다.
그리고 ‘원활한’ 업무를 위해 퀴어락에 두고 쓸 개인 노트북을 알아보고 있다. 퀴어락 전용 데스크톱이 있는데 나 말고도 주 1회 근무를 하는 사람이 더 있기도 하고 나로선 나만 쓰고 또 보안 문제에 있어 내가 안심하고 쓸 수 있는 노트북이 있는게 편하니까. (공용컴퓨터에서 사용할 메일 계정이 따로 있는 1인)
처음엔 크롬북으로 확정했는데,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티몬을 둘러보다가 두 개의 노트북에 흔들렸다. 28만 원 가량의 15인치 노트북과 32만원 가량의 15인치 노트북. 둘 다 OS는 구매자가 직접 깔아야 하는데 이것은 전혀 문제가 안 된다. 업그레이할 때의 추가 비용 등을 고민한 다음 32만 원 가량의 노트북을 찜하며 흐뭇한 표정을 지었다. 우후후. 구매는 당장하지 않을 것이라 흐뭇한 마음만 품었는데, 집에서 크롬북이 아닌 노트북으로 작업하다가 확실하게 깨달았다. 크롬북 환경에 완전 적응했다는 사실을. 나도 모르게 크롬북의 인터페이스로 작업하려는 내 모습을 깨달으며, 아, 역시 크롬북으로 사야겠다고 중얼거렸다. 크롬북이 아닌 일반 노트북을 살폈던 건 아마존에서 바로 배송이 안 되기 때문에 배송대행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이게 은근 신경 쓰이고 번거로워서였는데, 어차피 퀴어락에 추가의 데스크톱이 있다면, 웹작업이 대부분이라면 크롬북이어도 충분하겠다.
근데 여기서 가장 큰 함정은 내 통장의 잔고로는 당장 노트북을 살 수 없다는 것. 후후후. 그냥 노트북 새로 하나 사야지라는 망상에 빠져있다. 후후후.
아무려나 이렇게 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 조금 더 개입하면서, 나는 1~2년 정도 더 작업을 한 다음 내 연구소, 혹은 나의 집을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로 명명할까,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퀴어아카이브가 필요하다면 바로 그 만큼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도 필요하다. 최근 기말페이퍼로 퀴어아카이브 관련 글을 썼는데, 그러면서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를 만들고 싶다는 바람이 더 커졌다.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를 만들겠다고 따로 작업을 하고 있는데 1~2년 정도면 아카이브 꼴은 갖추겠다 싶다. 어디 내세울 수준은 아니겠지만. 물론 시간이 더 걸릴 수는 있다. 그럼에도 말할 수 있다면,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퀴어라는 포괄어와 트랜스젠더라는 포괄어는 매우 많이 겹치고 또 엇나가는데, 나는 언제나 퀴어와 트랜스젠더가 함께 가야 한다고 믿지만 그럼에도 트랜스젠더를 더 강하게 끌고 가길 원한다. 즉, 나는 트랜스젠더를 중심으로 퀴어를 재편하길 원한다. 두 포괄어의 겹치지 않는 어떤 영역이 있다면 바로 그 영역으로 퀴어와 트랜스젠더를 재해석하길 원한다. 물론 지금은 소박한 꿈에 불과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