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과 발굴, 그리고 헌책방

기록물을 수집하고 발굴하는 작업을 하다보면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과 발굴할 수 있는 기록물은 다르다는 점을 마치 몰랐던 사실처럼 체감한다. 아무리 검색기술이 뛰어나다고 해도 발굴하지 않으면 찾을 수 없는 기록물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국회도서관 같은 곳은 소장 자료를 모두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하지만 국회도서관 등에서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은 국회도서관 등이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이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하지만 국회도서관이 모든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건 아니다. 그 틈새를 찾아야 하는 작업이 기록물 검색이 아니라 발굴이지 않을까? 물론 검색 자체도 발굴의 일부다. 그리고 때론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만으로도 충분할 때가 있다. 검색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록물에 모든 사람이 접근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과거 신문기사는 누구나 검색할 수 있지만 누구나 검색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때때로 누구나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을 얘기하는데도 그것이 신기한 일로 받아들여지곤 한다. 이 부분은 내가 오랫동안 헷갈렸던 부분이다. 간단하게 검색해서 찾은 자료라면 누구나 알텐데 강의나 글에서 굳이 얘기해야할까, 뭔가 다른 걸 얘기해야 하지 않을까란 고민을 했다.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받아들이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 그러니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만 잘 엮고 특정 관점으로 잘 버무려도 충분히 훌륭한 경우가 있다. 아니, 검색해서 찾은 자료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롭고 훌륭할 때도 많다. 다만 좀 더 풍성한 기록물을 찾기 위해선 검색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검색에 걸려들지 않는 기록물에 귀중한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그래서 발굴 작업이 중요하다. 이것을 발굴하는 상상력(혹은 아카이브적 상상력)이라고 불러도 괜찮을까? 어떤 의미에선 기록물이 도처에 널려 있기에 더 접근하기 힘들기도 하다. 무엇을 읽어야 하고 어떤 기록물을 선별해야 하는지가 더 힘든 시간이 되고 있다(그래서 큐레이션이 뜨고 있는 거겠지). 아울러 도처에 널린 기록물에 접근하고 수집하고 해석하는 작업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것은 인터넷/기술이 전기와 같고 공기와 같고 물과 같은 시대에도 인터넷으로 해결할 수 없는 몇 안 되는 일이기도 하다. 발굴작업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공간은 헌책방이다. 누군가에겐 의미 없는, 나에겐 너무도 소중한 기록물이 유통되는 몇 안 되는 공간인 헌책방.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통하는 시대가 될 수록 헌책방은 더 소중한 공간으로 변해가리라. 어떤 의미에서 인터넷시대를 상징하는 최첨단 공간은 전자상품매장이 아니라 헌책방이리라.

숨책, 알바, 그리고 묘한 인연

어젠 알바하는 책방에서, 4~5만 권 정도의 책을 새로운 가게로 옮기는 이사를 했다. 나를 포함, 열 명 정도의 사람이 책을 박스에 담아 새 가게로 옮겼는데… 난 그 정도 분량이면 이틀은 걸릴 거라 예상했다. 내가 이사할 때, 포장이사센터의 직원이 엄청 힘들어했기에 열 명 정도라도 하루는 무리라는 나의 판단. 그런데 하루 동안 지하와 지상의 책을 모두 새 가게로 옮겼다. 대충 11시간 정도 걸려서. 덜덜덜. 더 무서운 건 다 옮기고 나서도 표정이 여유로웠다. ;;; 알고 보니 그들 상당수가 출판사 창고에서 일했거나 헌책방을 운영하는 이들. 그들에게 4~5만 권은 많은 분량도 아니었을 듯.

이제 며칠만 더 일하면 이제 책방 알바도 끝이다. 그럼 새로운 알바를 찾아야지. 혹시 저를 활용하실 분은 서두르시길! 새 알바 구하면 그걸로 끝.

이사를 준비하고 책을 옮기면서 깨달았는데, 책방과의 인연이 참 길고 특이하다.

2004년 봄, 아는 이가 괜찮은 헌책방이 있다고 해서 따라 갔는데 그곳이 지금 알바를 하는 책방이었다. 그땐 지상만 있었고 지하는 없었다. 몇 번 놀러갔지만 자주 가지는 않았다. 그런데 우연한 기회에 새롭게 확장하는 지하에서 일할 알바를 구한다는 얘길 들었다. 그때 마침 알바 자리가 필요했기에 하겠다고 했다.

지하에 배치할 책을 나르는 일부터 시작했다. 지하매장이 처음 생길 때부터 헌책방에서 일을 한 인연. 그렇게 첫 계약처럼 다섯 달을 일하고 알바는 끝났다. 가끔씩 단기 알바를 하기도 했고, 내가 그곳에 놀러가 책을 사기도 하며 인연은 지속되었다. 지난 번에 살던 집으로 내가 이사할 땐 주인장이 짐을 옮겨주기도 했고.

그러다 작년 5월, 서너 달 정도 일한다는 조건으로 다시 알바를 시작했다. 서너 달이란 구두계약은 1년이 되었고, 그렇게 가게가 이사가야 하는 상황이 되면서 나는 그만두기로 했다. 그렇게 이사 준비를 하면서… 참 재밌는 게 지하매장을 새로 만들 때부터 시작해서 새로운 곳으로 가게를 옮겨야 해서 지하매장을 접어야 할 때도 일을 하고 있었다. 참 묘한 인연이다 싶다. 하나의 매장이 생기고 철수하는 시기에 일을 하고 있다니… 그리고 새로운 가게로 이사하는 일도 함께 한다는 게 참 재밌다.

+새 가게 위치는, 기존 가게를 바라보고 오른쪽으로 더 걸어가면 “신촌블르스”라는 고깃집이 나오는데, 그 가게가 있는 건물 지하입니다. 🙂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주: 10년 뒤 거리는…

거의 모든 오프라인이 인터넷으로 이주하고 있는 기분입니다. 홈페이지는 기본이고 검색은 필수란 느낌입니다. 물론 저란 인간은 검색을 제 몸의 일부로 여기고 있긴 하지만요. 하하. ;;; 아무려나 10년 정도 지나면 거리의 풍경은 지금과 매우 다를 듯합니다. 오프라인에서도 영업이 가능한 상점은 음식점(술, 커피 등을 포함) 정도려나요?

헌책방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책방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으면, 질문의 상당수가 도서문의입니다. 책이 한두 권 정도일 경우엔 책 제목을 확인하고, 문의에 응하긴 합니다. 그런데 이때 약간의 문제가 생깁니다. 제가 일하는 책방을 아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책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선 관련 분야의 책장에 가서 직접 찾아야 합니다. 하지만 전화를 거는 분들 모두가 오프라인의 형태를 아는 건 아니죠. 검색해서 전화번호만 보고 문의하는 경우도 상당합니다. 그런 분들께, 검색이 안 되어서 직접 찾아야 하니 5분이나 10분 뒤에 다시 전화달라는 말을 하면 당황합니다. 제가 일하는 헌책방은, 아날로그로 운영되는 몇 안 되는 공간이죠. 제가 아날로그로 움직이는 몇 안 되는 공간이고요.

헌책방의 재미는, 품절되어 더 이상 새책방에서 구할 수 없는 책을 찾는 것도 있지만, 예상치 못한 책을 찾는 재미가 더 큽니다. 만약 제가 헌책방을 다니지 않았다면 평생 몰랐을 책들이 상당했을 테니까요. 1980년대 초반에 나와 조용히 사라졌지만 지금의 제게 너무 매력적인 책을 온라인으로 찾을 거란 기대 같은 건 없습니다. 온라인과 검색을 저팔 할로 여기지만, 온라인으론 결코 채울 수 없은 오프라인의 매력을 믿습니다.

하지만 이제 모든 공간은 온라인으로 이주할 거 같습니다. 제가 일하는 책방이 문을 닫는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아니, 이건 제가 알 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전 그저 저녁에 잠깐 일하는 알바생일 뿐이니까요. 하지만 분위기는 심상찮아요. 예전과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네요. 그래서 걱정입니다. 알바하는 곳이 없어지는 건 걱정이 아닙니다. 알바 자리야 또 어디서 구하면 되죠. 물론 이보다 좋은 곳은 없겠지만요. 하지만 헌책방이 없어진다면, 그것도 제가 좋아하는 책이 가득한 책방이 없어진다면, 이것 만큼 안타까운 일이 또 어딨겠어요. 그래서 걱정입니다. 10년 뒤, 거리는 어떤 모습으로 변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