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 용어의 역사, 메모

“게이가 호모고 트랜스젠더가 게이던 시절..”이란 표현은 어느 시기까지로 유효한 것일까? 일테면 1990년대 초반엔 확실히 이런 식으로 구분한 듯하다. 그 시기 나온 (일전에 언급하기도 한)기록물엔 mtf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며 게이로, 남성동성애자(바이남성은 어떤 위치일까?)를 지칭하며 호모를 사용하고 있다. mtf 트랜스젠더를 묘사하며 게이로 지칭한 시집도 나왔다. 조금 더 추적할 때 1986년에 원고를 쓰고 1987년에 나온 어느 책에서도 mtf 트랜스젠더를 게이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1985년 즈음이나 그 직전에 쓴 기록물에선 분명하지 않다. 그 즈음 글에서 호모는 오늘날의 게이와 mtf 트랜스젠더를 모두 지칭한다. 둘을 아예 구분하지 않는다. mtf 트랜스젠더를 여장한 남자로 이해하며, 게이와 mtf 모두 태어날 때 남자로 지정받았지만 여성성을 실천하는 존재로 묶는다. 그래서 호모와 게이란 용어 역시 분명하게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진 않다. 물론 이것이 일반적 경향이라고 할 순 없고, 그저 내가 찾은 몇 편의 기록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기록물이 늘어날 수록 과거는 더 흥미롭고 또 복잡하다. 그래서 좋다.
레즈비언과 관련한 용어는 최소한 1980년대 초반부터 분명하게 쓰인다. 여성 간의 성애적 실천(두 동성애자여성 간의 관계일 수도 있고 두 바이여성 간의 관계일 수도 있고 동성애자여성과 바이여성 간의 관계일 수도 있고 동성애자여성과 이성애자여성의 관계일 수도 있고 등등)은 레즈비언으로 표현한다. 1970년대 명동 문화에서도 레즈비언이란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했다고 하고 신문기사에도 1970년대 초반부터 레즈비언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레즈비언의 용어 역사를 살피고 그 의미가 미묘하게 변해가는 과정을 살피는 작업도 꽤나 흥미로우리라.
가장 어려운 건 바이/양성애란 용어 사용의 역사를 추적하는 일일텐데 ‘양성애’로는 신문기록이 별로 없어서 의외다 싶다. 대신 ‘양성’(ex. 국력양성)이나 ‘바이’(ex. 알리바이, 케이스-바이-케이스)는 관련 없는 기록도 같이 검색되기에 걸러내는 것부터 일이다. 무엇보다 바이를 레즈비언과 호모/게이로 묶어서 일괄 설명했을 가능성가 상당하기 때문에(가능성 97%에 한 표) 이 지점을 섬세하게 가르는 작업이 필요할 텐데.. 이건 단순히 기록물을 발굴하는 것 이상의 어떤 작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바이로 설명할 수 있는 mtf 트랜스여성의 흔적이 있다는 점에서 재밌는 기록물이 없는 건 아니다.
+
“퀴어 네이션(동성연애국민)”
1992년 기사에서…
읽고 빵 터졌다. 크크크.

요즘 시집 몇 권을 읽고 있습니다. 달고 좋아요.

01
채호기 시를 읽고 있습니다. 그중

환한 대낮, 갑자기 엄습한 네 사랑 때문에
나는 내 삶의 항구를 잃어버렸네
-「환한 대낮에」

위의 구절을 읽고 잠시 숨이 멎었습니다. 허수경의 시에서 “아하 사랑! / 마음에 빗장을 거는 그 소리, 사랑!”이란 구절 이후 최고가 아닐까 싶을 정도예요. 길을 걸을 때마다, 잠들기 전, 혹은 샤워를 하거나 그냥 무심할 때마다 “환한 대낮, 갑자기 엄습한 네 사랑 때문에 / 나는 내 삶의 항구를 잃어버렸네”란 구절을 중얼거립니다.

이 시를 읽은 건 다소 우연입니다. 「환한 대낮에」이란 시는 『슬픈 게이』란 시집에 실려 있습니다. 『슬픈 게이』엔 게이인지 트랜스젠더인지 드랙인지 여장남자인지 알 수 없는 어떤 존재를 “게이”란 범주로 설명하고 있는 시가 몇 편 실려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 시집을 읽은 건 아니고 요즘 찾고 있는 자료와 관련 있어서 읽은 거지만요. 첨엔 필요한 시만 몇 편 읽었는데, 왠지 다 읽고 싶어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기 시작했지요. 좋아요. 그리고 위의 구절에서 그만, 잠시 숨이 막혔습니다.

전 이 시집이 무척 흥미로워요. 게이인지 트랜스젠더인지 알 수 없는 몇 편 때문이 아닙니다. 프로이트 옹은 애도와 우울을 구분하고 있는데요, 애도는 대상의 상실을 받아들이며 충분히 슬퍼하며 떠나보내는 과정이라면, 우울은 대상의 상실을 부인하며 자신과 동일시/합체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합니다. 정확한 설명은 아닐 수도 있지만, 대충 넘어가고요. ;;; 이런 구분에 따르면 채호기의 시집은 우울증적 동일시의 지난한 과정을 보여줍니다. 몇 편을 제외하면 우울과 동일시란 주제를 다루고 있죠. 그 정점에 “게이”라는 명명으로 게이 혹은 트랜스젠더를 설명하고 있죠. 법적으론 남성으로 태어났다 해도 자신을 여성으로 동일시하여, 여성인 이들로 설명하면서요. 그렇다면 앞서의 시들이 이성애 구조를 분명히 하냐면 그것도 아닙니다. 시집을 통틀어 연애시라 부를 법한 시 중에서 이성애 관계로 보이는 시는 거의 없으니까요. 언젠가 기회가 되면 이 시집을 분석하는 글을 쓸까요? 글쎄요. 세월이 지나면 알 수 있겠죠.

02
친구에게서 시집 두 권을 선물 받았습니다. 이미 몇 달도 더 지난 생일의 선물입니다. 철지난 생일은 챙기지 않는 관례에 비춰 너무 늦은 선물이지만 괜찮습니다. 무려 10년 지기인 친구의 늦은 선물이지만, 괜찮습니다. 원래 이런 관계니까요. 하하. 그리고 사실, 몇 달 만에 만난 게 아니라 (제 기준으로)자주 만났지만 무려 8달 전에 제본한 제 논문을 이제야 줬으니까요. 아하하.

진은영의 시집 두 권인데 상당히 좋아요. 오랜 만에 시집을 읽으며 돌아다니고 있는데, 문득 아직도 시집을 읽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 낯설음을 느꼈어요. 뭐랄까, 시인은 많아도 시를 읽는 사람은 없다는 얘길 몇 년 전 얼핏 들은 기억이 있거든요. 단지 그 때문이죠.

암튼 달고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