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모임과 다이어리

#
첫 모임에 갔다. 물론 루인에게만 첫 모임이지 이미 준비활동을 하셨던 분들이었다.

끝나고 소감을 말해달라기에, 다음부터 안 나올 거라고 말 하며 여러 이야기를 했는데, 바로 그런 이유로 계속 나갈지도 모른다.-_-; 잘 모르겠다. 페미니즘은 기본적인 바탕이라고 기대했는데, 가부장적인 모습과 젠더적인 모습이 겹쳐서 당황했고 아팠다.

어떻게 할런지….

#
오랜만에, 하지만 이번엔 결심하고 한 달도 안 되서 교보에 갔다(왠지 뿌듯-_-;;). 몇 권의 책을 사고, 스노우캣 다이어리도 샀다.

작년과 올해엔 일다 다이어리를 사용했다. 예쁘고 멋지고 괜찮다. 그런데도 스노우캣 다이어리를 산 이유는, 일다 다이어리의 단점은 일기를 쓰는 부분이 너무 좁다는 것(일기 쓸 부분이 많이 필요한 루인이기에 단점이지 때론 장점일 수도 있다). 그래서 일기 쓰는 부분이 넓은 스노우캣으로 샀다. 하지만 일다 다이어리는 올해도 살 거다.

혹시 공구하실 분 있나요? 미리 보실 수 있는 곳은 여기고요, 공구를 한다는 건 배송료를 아끼겠다는 것이니 오프라인으로 알면서 이왕이면 자주 만나는 분으로 한정 하겠죠(왠지 이랑을 말하는 분위기;;;). 공구할 분이 없어도 사겠지만 혹시나 해서요. 크리스마스 때문에 담 주에 주문할 예정이니까, 이번 주 주말까지 기다릴게요^^

SM

일전에 라디오에서 SM이란 단어로 장난치는 걸 들었다. SM이니, ESM이니 MM이니 하면서 웃는 걸 들으며 재미있다고 몸앓긴 했지만 재미의 기원은 불편하다. SM이란 단어가 나왔을 때 순간적으로 감돌던 긴장감과 small mind라고 말하는 순간 웃음으로 바뀌는 분위기. 긴장감과 웃음, 그리고 이 간극은 SM을 부정적이고 금기시하는 사회문화적 합의 없인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 합의에 동의하는 이들에겐 유머가 되지만 이런 합의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에겐 불편하다. SM은 상호 합의 하에 일어나는 가장 지적인 성적 지향이기에(여기서의 지향성은 관계와 무관할 수도 있다) SM을 ‘변태’ 성욕으로 인식하는 건 젠더(이성애주의)에 기반 한 폭력/횡포다. 그래서 장난치기로 했다. 폭력이 권력으로 작동하기 위해선 권력으로 의미를 가지게끔 하는 이데올로기에 동의해야 한다. 이런 이데올로기에 동의하지 않는 순간, 의미는 전복되고 권력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성애자가 비’이성애’자/이반queer/트랜스에게 변태라고 욕하는 것과 “그래, 나 변태야”라고 되받아치는 건 의미가 전혀 다르며 기존의 의미를 전복한 것이다(퀴어란 말 자체가 그런 거니까).

[#M_ 근데 쓰고 보니 장난이라기엔 처참하다-_-;;.. | 처참해서라기 보다는 내용이 별로라 그냥 백색처리;;;.. |
SM이라고 있다. Small mind의 약자로 소심이라고 한다. 일테면 핸드폰으로 문자를 보냈는데, 일정 시간 안에 답장이 안 오면 몸 상해서 삐지는 경우다. 문자가 잘못 간 건 아닌가, 불안해하기도 한다. 두어 번 정도 문자를 보냈음에도 답장이 없으면 몸 상해서 더 이상 문자를 안 한다. 답장 없음에 상처 받기 싫어서 아예 안 보낸다. 물론 답장이 오면 언제 그랬냐는 듯 금방 풀린다.

ESM/MM이라고 있다. Extreme small mind/Micro mind의 약자다. 핸드폰 문자를 보냈는데 답장이 없으면 뭔가 잘못 보낸 것이 아닐까 불안해한다. 내용을 몇 번이고 확인하고 보냈지만 뭔가 잘못된 내용이 있어서 상대방이 불쾌한 건 아닌가, 불안해서 어쩔 줄을 모른다. 심지어, “어제까지 친하다고 믿었는데 그새 날 싫어하게 되었나봐” 하면서 자학한다. 바빠서 안 보냈을 수도 있고 핸드폰을 안 들고 있어서 그랬을 수도 있는데도 자신이 뭔가 잘못해서 상대방이 자신을 싫어하는 거라고 단정한다. 답장이 오거나 그 사람과 만났는데 전과 다름없음을 확인해야 풀리지만 그래도 불안함이 남아서 이런 상황을 반복한다._M#]

바꾸고 있는 언어를 공유하기

블로그를 통해 글을 쓰며 여러 언어들을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다. 기존의 불편한 언어들이 아닌 다른 언어들로. 일테면 몸앓다란 언어가 한 예가 되겠지. “보다”, “마음” 등과 관련한 언어들을 바꾸는 것도 그 중 하나다. 하지만 리플을 달거나 할 때 쓰기가 난감한 언어도 있다. 아직 공유하지 않아서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루인도 즐거우면서 다른 사람과도 공유할 수 있는 언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