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라는 어려운 문제

지난 토요일 [2015 LGBT 아시아 컨퍼런스] 발표에서 한 발표자가 내년 즈음 아시아 네트워크 행사를 진행하고 싶다고 했다. 그러며 다들 내년 행사에서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 말에 가장 먼저 떠올린 질문은 “언어는?”이었다. 언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동아시아 어디서 행사를 해도 결국 영어가 주요 언어며, 모든 사람은 영어로 소통을 할까? 여기서 다시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참가하고 싶어도 비행기표를 구매하기 어려운 경제적 상황이 하나 있다. 그렇다고 행사 주최측은 모든 참가자의 비행기표를 지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행사 발표자와 장소 등 진행비를 조달하는 것만으로 빠듯할 테니까. 가난한 LGBT/퀴어 관련 단체에서 모든 참가자에게 일정 정도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행여 다른 곳에서 경제적 지원을 받는다고 해도 언어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행사엔 참가할 수 있지만 영어를 사용할 줄 몰라 발표를 들을 수도 없고 여러 참가자와 이야기를 나눌 수도 없다면 이것은 무슨 소용일까? 여기서, 최소한 발표자의 발표만이라도 들을 수 있도록 동시통역이건 순차통역이건 여러 언어로 통역을 제공하는 방법을 고민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고, 비용이란 측면에서 어려운 일이다. 그리하여 문제는 계속해서 남는다. 그리고 언어는 어디를 가도 경제적 상황/계급과 겹치면서 작동한다. 그런데 대기업의 후원으로, 혹은 어떤 독지가의 후원으로 모든 경제적 비용이 해결이 된다고 해서 언어의 문제가 사라질까?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사실 지난 토요일 행사에서 이 지점을 질문하고 싶었다. 언어의 문제를 어떻게 할 것이냐고? 행사 감상 말미에 쓴 내용도 이것의 연장선상에 있고. 나 역시 대책도 없고 마땅한 대답도 없지만, 그저 끊임없이 남는 질문이다.

웹진 “바이모임” 제 3호 발행을 위해 기고를 모집합니다

바이섹슈얼(양성애) 웹진 바이모임에서 3호를 발간하기 위한 원고를 모집한다고 합니다.

퀴어 이슈와 관련하여 글을 출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매체란 점에서, 퀴어/바이 이슈로 글을 쓰고 싶은데 마땅한 매체를 못 찾고 계신 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
웹진 [바이모임]이 제3호에 실을 글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번 호의 주제는 “아무거나 ” 입니다. 어떤 주제나 형식이든 상관없이 자유롭게 보내 주세요. 바이섹슈얼과 약간 관련있는 글, 그림, 사진, 음악 기타등등이면 모두 환영합니다. 정말로 어떤 기고든 환영해요! 단, 아래 사항만 지켜 주세요.
글(텍스트 파일)의 파일 확장자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docx), 오픈오피스(odf), 텍스트 파일(txt) 중 하나로, 이미지 파일 확장자명은 jpg, jpge, bmp, png중 하나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사운드나 영상으로 기고하고자 하는 분의 경우, 번거로우시더라도 사전에 문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기고하면서 타인의 저작물을 인용하실 경우 출처를 명확히 밝혀 주시고, 저작권을 존중해 주세요.
기고자 본인이 아닌 타인의 개인정보를 동의 없이 공개하거나, 특정 집단을 향한 혐오나 차별을 조장한다고 판단되는 작품, 또는 상업적 이윤을 목적으로 한 광고는 정중히 거절합니다.
이전에 다른 지면(언론기사, 타 웹진, 개인이나 단체의 블로그, 학술지, 단행본 서적 등)에 발행된 적이 없는 기고물을 보내주세요. 타 매체에 실렸던 글이나 이미지 등을 수정한 후 기고하는 것은 무방하나, 그 경우 원래 글이 실린 매체와 미리 합의하시길 권합니다.
한줄 분량의 자기소개와 이름(필명이나 닉네임 등 무방)을 같이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웹진 [바이모임]은 온라인으로 자유롭게 배포되는 비영리 잡지입니다. 구독은 무료이며, 기고자에게 고료를 지불하지 못합니다.
★웹진 [바이모임] 을 통해 공개되는 모든 창작물은 수정하지 않고, 비상업적 목적에 한해서 저자와 출처를 명기하고 이용/인용이 가능하며, 추후 별도의 합의를 거쳐 단행본 형태로 발간될 수도 있습니다.
★웹진 “바이모임”은 한국어로 발행합니다.
★기고는 bi.moim.kr@gmail.com 으로 보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기타 문의나 건의는 이메일 bi.moim.kr@gmail.com , 이 포스트 글의 댓글, 또는 트위터 @bi_moim 으로 부탁드립니다.
★제 3호 기고 마감은 2015년 7월 17일 입니다.

2015 아시아 LGBT 컨퍼런스, 감상

[]에 참가했다. 필리핀, 중국의 상하이, 싱가포르, 한국, 이렇게 네 개 국가의 퀴어문화축제/자긍심행진 관련 발표가 있었다. 중요한 배움은 동아시아, 혹은 인접한 아시아 국가라고 해도 역사가 다르고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운동을 전개하는 전략, 방식, 태도가 무척 다르다는 점이다.
스페인, 미국, 일본의 식민지 지배 경험이 있는 필리핀은 스페인 침략 이전에 존재했던 젠더불순응과 젠더위반이 스페인 침략 이후 이원젠더가 사회적 규범으로 변하면서 이들을 남성(성)에 위협으로 인식했다. 물론 이들은 사회에서 사라지지 않고 존재했다고 한다. 이후 미국의 침략과 지배로 섹슈얼리티 개념이 필리핀 사회에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를 배경으로 1994년, 아시아에서는 최초라고 하는 자긍심행진(프라이드 퍼레이드)를 시작했다. 발표자는 이것을 자랑스러워했다. 이후 펀디즈(근본주의자)의 혐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LGBT 문화와 사회적 여건 역시 개선되고 있다고 했다. 필리핀의 자긍심 행진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LGBT 자긍심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사회적 이슈를 같이 발언한다는 점이었다.
중국에선 종교 혹은 믿음을 밑절미 삼은 혐오세력은 없다고 했다. 중국에서 종교 신자 자체가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가 집회 자체를 금지하고 있어서 혐오자가 모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확하게 이런 이유로 퀴어 퍼레이드도 불가능하다. 상하이프라이드는 다른 혐오 세력이 아닌 중국 정부의 혐오와 싸우고, 중국 정부의 규제와 협상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상하이프라이드는 여타의 프라이드 행진과 달리 대규모로 모이는 행사를 진행하는 대신 달리기, BBQ 행사 등 다른 방식의 축제를 진행하고 있었다. 아울러 모든 지역의 정부가 자긍심 행사를 허락하는 것도 아니며 후난성의 경우엔 주최측 중 일부가 정치적 의견이 평소 급진적이라며 행사 자체를 불허했다고 한다. 따라서 자긍심행진, 혹은 축제를 개최하기 위해선 평소 자신의 정치적 입장이 어떻건 중국 정부가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의 정치적 입장을 표현해야 하고, 그 범위 내에서 행사를 기획해야 한다. 중국 정부의 검열과 규제 내에서 어떻게 프라이드를 이야기할 것인가를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고, 그 고단함이 읽혔다.
싱가포르는 또 상황이 달랐는데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다가 네델란드의 지배를, 다음엔 영국, 그 다음엔 일본, 다시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다. 그리고 영국의 침략 지배가 끼친 효과 중 하나는 형법 377A조, 남성 간 성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이다. 이 조항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한다. 이 조항을 폐지하려는 캠페인을 진행했지만 여전히 남아 있다고. 또한 싱가포르는 공공 장소에서 표현의 자유가 허가된 곳이 한 곳 뿐이며 사람들이 집회를 한다고 해서 참가할 사람은 없다고, 핑크닷 주최측은 예상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게, 현재의 가족 질서에서 최대한 스며들 수 있는 전략을 선택했고, 유일하게 표현의 자유가 허가된 공원에 핑크색 옷을 입고 모이기로 했단다. 즉, 핑크색 옷을 입은 사람 한 명 한 명이 핑크닷인 모습을 구현하는 것. 처음엔 2500명이 모였는데 작년엔 2만 명이 모이는 규모로 성장했다고 한다. 한 가지 인상적인 것은 2009년에 처음 시작해서 2011년까지는 낮에 행사를 진행했는데 사람이 늘어나 인구밀집이 발생하자 너무 덥다는 반응이 나왔다고. 그래서 야간에 행사를 진행했는데 이게 정말 예쁜 풍경을 만들었다. 사진은 여기서, 2014년의 행사 동영상은 여기. 동영상은 꼭 보시기를. 야간에 진행하는 행사가 어떻게 멋지게 기획될 수 있는지가 잘 드러난다.
한국은 대충 아시려니 하며 생략을…
정말 대충 정리했지만 사회적 배경에 따라 행사를 기획하는 방식, 전략을 짜는 방식이 전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유의할 것은 이러한 행사는 발표자가 이해하는 방식의 재현이란 점이다. 아마 다른 단체의 다른 발표자가 나왔다면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줬을 거라고 믿는다. 이런 행사에 참가할 때마다 고민하지만,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자의 발표 내용이 계속해서 대표 재현되는 상황, 영어를 사용하지 못 하지만 전혀 다른 입장과 전혀 다른 급진적 정치학을 실천하는 목소리는 다른 언어권에서 공유되지 못 한다는 점은 정말 중요한 이슈다. 이런 중요한 이슈가 남아 있긴 하지만, 올 들어 한국이 아닌 지역의 이야기를 들으며 계속해서 한국을 하나의 지역으로, 그러면서 인접 국가와 어떤 접점을 형성하는 지역으로 상상하는 법을 몸으로 배우고 있다는 점에서 즐거운 자리였다.
그나저나 그 많은 신청자가 왜 안 왔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