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성남에서 강의를 했다. 그것도 아침 10시. 뭐, 아침 10시라는 시간 자체는 이르지 않다. 하지만 집에서 성남까지 얼추 세 시간이 걸렸고, 나가기 위해 이런저런 준비하려면 아침 5시에 일어나야 했다. 토요일 아침에 늦잠도 아니고 5시에 기상이라니.. 으헉.. 물론 처음부터 성남인 걸 알고 수락했는데, 전화로 처음 들었을 땐 내가 사는 곳 근처 도시로 이해했다. 하지만 지도를 보니 대충 정확하게 반대방향… 서울을 가로질러 있는 곳…
그래서 강의라도 제대로 안 되면 참 우울하거나 안타까울 뻔했는데.. 강의는 하는 내가 재밌다 싶게 나름 재밌게 진행했다. 이야기 흐름이 잘 이어졌고, 교육생인 분들의 적극적 질문에 대응했고. 농담을 못 하니 몸 개그도 좀 했고(..) … 무엇보다 세 시간 동안 진행하는 강의 말미에, 사람들이 기존에 알던 것이 다 혼란스럽고 흔들린다고 해서 기뻤다. 그것이 내가 처음부터 의도한 것이니까. 세세한 내용을 기억하기보다는 ‘내’가 당연하게 여긴 것 자체를 의심할 수 있는 그런 시간이길 바랐다. 그리고 이 의도가 나름 성공한 듯하여 기뻤달까.
그런데 혼란을 야기하는 건, 내가 강의를 잘 해서 이룬 성과(?)가 아니다. 철저하게 교육생의 적극적 역할 덕분이다. 강의를 하고 있는데, 모르는 것이 있거나 이해가 잘 안 되면 바로바로 질문을 줘서, 혹은 표정으로 매우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수준으로 반응을 줘서, 내가 무엇을 더 설명해야 하는지, 무엇을 더 부연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가 아니다. 사람들이 적극 질문했고, 그러면서 끊임없이 자신의 앎이 흔들린다고 얘기했다. 어쩌면 바로 이 발화가 앎이 가능하도록 하는 힘이 아닐는지… 보통 기존의 자기 지식과 배치되는 얘기를 하면 화를 내거나 내가 잘못되었다고 반응하기 쉽지, 자신의 지식이 흔들린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 흔들린다고 말해줘야, 그 흔들림의 의미를 얘기할 수 있고 의미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토록 적극적 청중/교육생은 정말 오랜만이었달까.
그리하여 정말 즐거운 경험이자, 강사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교육생의 반응이 강의의 질을 좌우할 수도 있다는 걸, 다시 한 번 깨달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