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콘서트

지난 주말 바쁜 와중에도 유희라고, 조용필 콘서트에 다녀왔다. 오랜 만에 가는 콘서트인데다 올해 20집을 낸 뒤 첫 번째 콘서트여서 어쩐지 가야할 거 같았다. 뭐랄까, 나이가 많은 가수의 콘서트는 올해가 마지막이면 어쩌나 싶을 때가 있어, 가지 않을 때도 어떤 망설임과 고민이 있다.

첫 곡을 듣는 순간부터 나는 이번 콘서트에 어떤 편견이 있었고 그것이 와장창 깨지는 것을 느꼈다. 이번 20집이 마지막 앨범이고 이후로는 앨범을 내지 않겠다고, 싱글이나 EP만 내겠다고 했다. 신보 발표 기자회견에서는 기자가 정중하게 창법이 바뀌었다고 물었는데 조용필은 자신도 나이가 들어서 예전과 같은 창법일 수 없다고 답했다. 조용필은 나이가 들어서,라고 답했고 나는 고음이나 락 스타일의 곡을 이제는 부르기에는 목에 부담이 간다는 뜻으로 이해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최근 앨범의 스타일처럼 좀 더 차분한(?) 노래를 선곡하지 않을까 했다. 하지만 시작부터 연달아 부른 5곡 모두 락이었다. H와 같이 갔는데, H는 만날 조용필은 트로트 가수 아니냐고 놀렸는데 첫 곡의 시작을 듣자마자 바로 사과했다. 자기가 크게 오해했다고. 거의 30곡 정도를 부르는 동안 대부분의 선곡이 락이었고, 그날은 앰프 예열이 잘 되었는지 전날과 달리 세팅이 바뀌었는지 정말 콘서트장 전체가 진동하도록 시원하고 웅장했다. 의자와 바닥이 진동했다.

일단, 조용필 콘서트를 보면 깨닫는 것. 콘서트는 무대의 예술이고 그래서 조용필은 무빙 스테이지(진짜 무대가 증식하고 움직인다)를 쓰거나 스크린을 다양하게 활용해왔다. 그리고 이번 공연에서는 빛의 예술로 만들었다. 콘서트의 가장 기본이 음향이라면(노래와 연주 실력은 그냥 당연하니까) 음향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그 다음 무대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은 무엇일까? 이런 질문에서 이번 공연은 빛의 예술이라는 답을 가지고 왔다. 빛으로 폭우를 만들었고 빛으로 스크린을 만들었다.

가장 충격적인 거. ‘그래도 돼’를 라이브로 들으면서 깨달았는데, 그냥 이어폰으로 듣는 것보다 훨씬 더 부르기 어려운 노래였다. 그리고 창법이 완전히 바뀌어 있었다. 기자의 질문은, 나이듦에 대한 질문이 아니었다. H는 라이브를 들으며 음원을 들었을 때 느껴지는 어떤 촌스러움이나 뽕끼를 전혀 느낄 수 없고 엄청 세련되다고 말했다. 나는 그 말을, 원래 조용필은 콘서트 때마다 현재성을 갖도록 편곡을 하고,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도 새롭게 편곡을 한다고 말했기에 편곡의 차이라고 이해했다. 편곡의 차이도 있었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었다. 집에 돌아와서, 선곡 중 하나인 1980년에 나온 노래를 1990년대 중반에 부른 판본을 틀었는데, 창법이 완전히 바뀌어 있었다. 1990년대 부른 라이브에는 1980년 당시의 창법이 거의 그대로 있었다. 이번에는 그게 아예 없었다. 19집, 20집을 내면서 창법을 바꾸고 최근의 스타일로 바꾸면서 1980년대 곡 역시 최근의 창법으로 다시 부르고 있었다. 올해 74살, 데뷔한지 55년이 더 지난 가수도 여전히 현재성을 갖추기 위해 자신에게 익숙한 방식을 다 바꾸고 있구나.

이래저래 감동적이고 즐거운 자리였다. 그리고 하나. 모나리자를 부르가 갑자기 백발의 노년 여성으로 보이는 분이 자리에서 일어나 덩실덩실 춤을 추기 시작했고 이후 계속 춤을 췄다. 앞서 트로트 스타일의 노래를 부를 때도 일어나지 않으셨는데 모나리자에서 일어나 춤을 추기 시작하셨다. 왜 모나리자였을까.

분주함

오늘 저녁 먹다가 깨달았는데… 어제 오늘 합쳐서 10시간 정도 잤고, 이틀 동안 밥을 두 끼 먹었다… 아예 공복은 아니었고 바나나랑 사탕 같은 거, 나의 각성제(맛이 오묘한 제품인데 맛이 과하게 오묘해서 다른 사람에게 안 주고 있음 ㅋㅋ)도 먹었지만 어쩌다보니 밥 먹을 시간이 없었다. 다음주 되면 좀 괜찮아지겠거니… ㅠㅠ

KQTA 핑계 삼은 딴글

오늘 한국퀴어연극아카이브의 행사에 참여했다. 뭔가 말을 더 많이 해야 할 거 같은 입장으로 참가했는데 서두에 잠깐 빼면 단 한 마디도 더 덧붙일 수 없었는데 기획 때 했던 걱정이 무색하게 참가자들은 할 이야기가 한가득이었고 그래서 시간이 부족하다 싶었다.

그런데 좀 다른 방향으로 고민이 맴돌았는데, 과거를 고인물이나 썩은 물이 아니라 어떻게 현재적 의미로 재상연할 수 있을까였다. 여기에는 내가 올 9월부터 처음으로 학부 수업을 하면서 든 고민이 얽혀있다. 대학원 수업을 하면서는 이런 부담이 없었는데 이상하게도 학부에서 수업을 하면서는 몇 년 전 사건을 당연히 알 거 같은 시건으로 예시를 들어도 괜찮은지가 애매했다. 이제와 고민하면 그렇게 심각하게는 필요는 없는 고민이었지만 처음하는 수업의 부담이 그렇듯 예시의 역사성과 현재성을 조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내가 가장 잘 한 주차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한국 반성폭력 운동사를 다룬 주차와 1990년대부터 2010년 즈음까지의 한국 퀴어 인권 운동사를 다룬 주차였다. 각 주차가 불필요하다는 것이 아니라, 이 두 역사를 개괄적으로나마 알아둔다면 나중에 관련 활동이나 업무를 할 때 출발점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고민이 있었다. 내가 학부 때는 들을 기회가 없었지만, 대신 학부에서 들은 과목 중에 페미니즘 고전 강독이 있었는데 이 수업은 지금도 유용한 토양이다. 암튼 두 개의 두차를 거치며 과거 예시에 부담이 많이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과거 이야기가 부담스러운 이유 중 하나는 현재의 바뀐 맥락은 모른체 ‘라때’와 같은 소리나 하며 철지난 이야기만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기도 하다. 그것이 주는 워낙 부정적인 이미지가 많다보니 과거 이야기와 현재 이야기를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는 큰 어려움이다.

그러면서도 과거 혹은 역사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고민에 휩싸이는 이유는 매번 새로운 사건처럼 갱신되는 상황, 단절과 단절로 고립되는 상황 때문이다. 과거를 이야기하지 않으면서 현재는 고립된다. 계속 이야기하고 계속 떠들어야 사람들이 잊지 않고 더 많은 사람에게 전달되고 전파될 수 있다. 이것에 실패하면 과거 사건은 공백이 되고 가해자는 쉽게 돌아오는 일이 되더라.

문제는 새로운 자리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자리에서 과거 이야기를 적절하게 말하는 것과 관련한 재주가 나에게는 없다는 점이다. 당신이 격은 사건이 과거에도 있었는데 그래서 당신이 겪은 일이 별것 아니라는 것도 아니고 과거의 사건이 여전히 반복되어 암을하다는 것도 아닌 의미로, 그 사건을 해결하며 만든 얼마간의 변화가 축적되고 있다는 의미로. 이것을 나는 간결하게 잘 말하는 재주가 없고, 그래서 행사 내내 하고 싶은 이야기가 한가득이었지만 꺼내면 3시간을 말할 거 같아 입술을 깨물고 있었다. 그럼에도 어떤 식으로 말을 해야 할까 싶었지만 2014년부터 다루는 자리에서 1995년을 말할 수는 없지 않나라는 부담도 있고. 누구도 부담을 주지 않았는데 괜히 혼자 그런 부담이 있었다.

그러다 문든 친구에게 “해마다 2월이나 3월, 줌으로 한국 퀴어 인권 운동사를 무료로 4~5시간 짜리로 강의를 해야겠다”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물론 안 하겠지만;;; 과거와 현재를 어떻게 계속해서 접점을 갖도록 할 수 있을까. 내가 가장 잘 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료로 한다면 다른 사람을 부르기 힘드니… (아… 그러고보니 한국 퀴어 운동사 책이 나올 예정이구나…)

이런 고민 속에서도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많이 배웠다. 대전과 서울이라는 지역 차이, 태어난 시기에 따른 경험 차이, 그리고 2018년이라는 시간적 변곡점에 대해. 이런 자리, 반기에 한 번씩 열면 좋겠다. 그리고 연극에 문외한이라는 말 그만해야지…

+행사때 농담하다 이상하게 말했는데, 내가 연극장에서도 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구자혜 작가/연출님께는 정말 고마울 따름이다. 이상하게 말해서 죄송하고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