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살, 편두통과 비염: 삶의 조건

얼추 10년 전, 일주일 정도 앓아 누운 적 있다. 당시에도 알바를 했기에 누워만 있을 순 없었다. 낮엔 알바를 하고 저녁에 집에 오면 그대로 쓰러져 잤다가 아침에 일어나 알바를 하러 가는 식이었다. 이후 비염과 편두통을 제외하면 감기나 몸살을 앓은 적 없다. 특별히 튼튼한 체질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병약한 체질도 아니라 그냥 무난하게 살았다. 아픈데 무감해서 그런 건지도 모르겠다.

이틀 전, 화요일 아침 잠에서 깨어났는데 목소리가 안 나왔다. 목이 꽉 막혀 있었다. 어랏? 몸이 좀 이상했다. 하지만 별 일 있겠나 싶어 그냥 평소처럼 움직였다. 오후엔 학교에도 들려 자료 검색도 한참 했고. 그런데 오후부터 한기가 들기 시작했다. 뭔가 느낌이 안 좋았다. 저녁 약속을 취소할까 말까로 고민했다. 하지만 가만히 있는 것보다 움직이는 것이 좋겠다 싶어, 약국에서 약을 사 먹은 뒤 약속장소에 갔고 그냥 그러려니 했다.
어제 아침, 여전히 목소리가 안 나왔고 목은 아팠고 몸이 무거웠다. 6시에 눈을 뜬 뒤 두어 시간 누워 있다가 아침밥을 먹어야겠다 싶어 억지로 일어났다. 밥을 먹고 블로깅도 한 다음 다시 쓰러졌다. 설거지를 해야 한다고 중얼거리며 일어나려고 했지만 몸이 안 움직였다. 몇 시간, 눈을 좀 붙였다가 일어나려고 했는데, 기다시피 일어나선 다시 이불 위에 쓰러졌다. 크크. 오후 저녁에 일정이 있는데, 이 일정을 취소하고 누워 있을 것인가, 억지로 움직일 것인가를 고민하는데 또 시간이 한참 흘렀다. 아니, 일정을 취소할 의지는 없으니 어떻게든 몸을 움직여야 했는데 몸이 말을 듣지 않으니 어떻게 할 수가 없는 상황이랄까. 눈을 뜬지 일곱 시간이 지나서야 간신히 씻으러 갈 수 있었다. 뜨거운 물에 몸을 적시니 그나마 좀 괜찮았다. 이후 일정을 간신히 처리하고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전날 청소를 못 해서, 그나마 몸을 움직일 수 있을 때 청소를 해야겠다고, 바닥청소와 바람의 화장실 청소를 한 다음(이것이 집사의 운명!) 쓰러지듯 누웠고 그대로 잤다.
오늘 아침, 6시에 눈을 떴지만 그냥 안 일어났다. 11시까지 이불 속에서 버티다가 오후 저녁 일정이 있어서 이불에서 나왔다. 한기는 좀 가셨지만 목 아프고 코가 찡한 것이 골도 좀 아프다. 오후 늦게까지 이불 속에서 버틸까 고민했지만 바람에게 밥도 줘야 하고 이불 속에 있어 봐야 궁상스럽게 뒹굴거리기 밖에 더 하겠나 싶어 억지로 움직이려고 나온 것이기도 하다.
얼추 10년 만의 몸살이라 나 자신도 어찌할 바 모르겠고 또 신기하기도 해서 이렇게 기록을 남기고 있다. 그렇다고 내게 질병이 없느냐면 그렇지도 않다. 알러지성 비염과 편두통은 수시로 앓는다. 지금 겪고 있는 몸살과의 차이라면 비염과 편두통은 그냥 내 삶의 일부가 되었고, 내 삶의 조건, 예측할 순 없지만 내 삶의 동반자 정도가 되었다는 점이랄까.
비염은 고등학생 때부터 앓았던가? 처음엔 감기인 줄 알았다. 그래서 전설의 약 콘택600을 먹곤 했다. 많이 먹을 땐 한 번에 두세 알을 먹곤 했는데 시간이 한참 지나서야 감기가 아니라 비염이란 걸 알았다. 비염이란 걸 안다고 뾰족한 수가 있는 건 아니었다. 터지지 않기만 바랐고 터지만 그날 일정은 다 포기하고 그냥 누워있을 뿐이었다. 비염이 터지고 나면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었고 늦은 밤이 되어야 진정되었기 때문이다. 유일한 방법은 비염이 터질 것 같은 기미가 있을 때 미리 약을 먹어 비염을 진정시키는 것이었다. 그래서 효과적인 비염약을 찾기 위해 참 다양한 종류의 약을 먹었다. 마침내 괜찮은 약을 찾았을 때, 이제 그 약을 쟁여두고 먹었고 약이 떨어지려고 하면 불안을 겪으며 서둘러 약국에 갔다. 물론 반복해서 먹으면서 진정 효과가 약해졌고 약을 먹어도 비염이 터지곤 했다. 그 와중에 약 생산이 일시 중단된다는 얘기가 있었다. 아… 그 시기, 나는 약 대신 다른 수단을 찾고 있었기에 약 생산 일시 중단 소식은 또 다른 결정을 하도록 촉진했다. 약을 먹는 대신 죽염으로 코를 세척하기로 했고 그렇게 얼추 2년이 지났다.
편두통은 초등학교 1학년 즈음부터 앓았다. 그 시절 어린이가 두툥을 앓는다는 건 말도 안 되는 꾀병이었기에 욕만 먹었지만. 크. 편두통이 한 번 터지만, 편두통을 겪는 사람은 알겠지만, 아무 것도 할 수 없었고 오직 눈을 감고 잠이 들길 바랄 뿐이었다. 편두통엔 마땅한 약도 없었다.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었다. 어떤 날은 편두통이 심한 부위에 대못을 박고 붉은 피를 흘리면 진정 효과가 있을까,란 상상도 했다. 피가 시원하게 뿜어 나온다면 편두통도 나을 것만 같은 상상. 그래서 편두통이 심해지기 전에, 기미만 보이면 약을 먹기 시작했고 역시나 다양한 약을 거쳤다. 그 중엔 정말 괜찮은 약이 있었지만 수입 중단되어 무척 아쉬워했던 약도 있었다. 지금도 편두통이 도질 기미가 있으면 바로 약을 챙겨 먹는다. 사전에 진정시키지 않으면 아무 것도 못 하는 걸 알기에 일단 약을 먹고 보는 것이다.
오랜 시간 내 삶과 함께한 편두통과 비염은 어떤 의미에서 내 삶의 조건이다. 예전엔 비염과 편두통이 우발적 사건이었고 내 삶을 방해하는 질병이었다. 어릴 땐 내 몸이 저주 받았다고 구시렁거리곤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록 언제 어떤 식으로 비염과 편두통이 발생할지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이 두 가지는 내 삶의 기본 조건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아, 그냥 또 왔구나’라는 느낌이랄까. 여전히 불편하고 반갑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어떻게 할 수도 없는 그 무엇. 그래서 비염이나 편두통이 도지면 이렇게 대처해야 겠구나라는 요령도 생기는(요령이라고 해봐야 그냥 드러 눕는 거지만;; ) 내 삶의 조건 혹은 토대.
그래서 지금 앓고 있는 몸살이 낯설다. 사실 지금 내가 앓고 있는 게 몸살인지 잘 모르겠다. 워낙 없던 일이라서. 어떻게 되려나..

글 홍보: 인터섹스(간성), 만성질환, 장애-퀴어-페미니즘 / 리카패밀리

작년 12월에 나온 <여/성이론> 27호에 저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글이 세 편 실렸습니다. 각 글의 주제에 관심 있는 분이 많을 듯하여 홍보합니다.

자세한 목차는 http://goo.gl/XwxO7 참고하시고요.
우선, 미국의 인터섹스(간성) 활동가 체릴 체이즈Cheryl Chase의 인터뷰 논문이 실렸습니다. 책임 번역자는 제이 님이고(제이 님이 번역을 워낙 잘 하셔서 문장 읽는데 어려움이 없을 거라 단언하고요) 기획은 리카패밀리에서 했습니다. 저를 포함한 네 분이 함께 세미나를 하는 모임이고요. 한국에서 인터섹스와 관련해서 충분한 논의를 살필 수 없는 상황이라 이 글을 번역하자고 논의했고 다행스럽게도 이번에 출판되었습니다. 기획의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획 의도::
  이  논문은 피터  헤가티가  미국  간성(인터섹스) 활동가  셰릴  체이즈와  인터뷰한 글이다.  셰릴  체이즈는, 본문에도 나와 있듯,  1990년대 초반 간성 단체  ISNA를 설립하고, 관련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자신의  삶과  활동  경험을  밑절미  삼아,  이  인터뷰  논문에서  체이즈는  간성의  경험, 페미니즘과의 접점, 퀴어운동과의 교차점 등을 논한다.
  한국에서  간성  논의는  사실상  부재한다.  의학에서  치험례를  다룬  논문  몇  편,  트랜스젠더  논의에서 부분적으로 언급하는 글 정도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간성 이슈는 매우 중요하다. 간성의 몸 경험은  규범적  인간  몸을  다시  사유할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이원  젠더-섹스,  의료기술과  젠더화된 몸의 관계 등을 근본적으로 사유할 것을 요구한다. 이것은 간성 이슈가 소재로 중요하다는 뜻이  아니다.  지금까지  어떤  몸만  인간의  몸으로  사유했는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특정한  범주  존재의  삶을  어떻게  누락하고  은폐하는지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간성의  몸이 ‘특이’해서가 아니라 간성의 몸과 삶을 사유하지 않는 현재의 인식체계가 문제라는 뜻이다. 헤가티와  체이즈의  인터뷰는  한국  사회에서  누락된  간성  논의에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믿는다.
  이  논문의  의의는  단순히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어떤  논문은  개인의  삶을  추상적  논의로  만들면서 구체적 삶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는 제공하지 않는다. 이를테면 간성 개념은 배울 수 있지만 간성의 삶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상상해야 하는지, 간성과 어떻게 관계 맺어야 하는지는 말하지 않는 식이다. 본 논문은, 로쿠하나 치요의 만화 『남자도 여자도 아닌 성 아이에스』와 더불어 간성 이슈를 조금은 더 구체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이 글 번역은 리카패밀리가 기획했다. 리카패밀리는 장애-퀴어 이슈를 함께 공부하는 공동체로, 황지성, 제이(김진선), 전혜은(당근), 루인이 구성원이다. 세미나의 일환으로 본 논문을 읽었고, 이 논문이  현재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번역하기로  결정했다.  전문  번역은  제이가 담당했다. 제이는 장애여성공감에서 활동했고, 현재 한국여성민우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리카패밀리를 조금 더 소개하면, 장애-퀴어 이슈를 함께 공부하는 세미나 모임입니다. 장애-퀴어/트랜스젠더-페미니즘이 교차하는 지점의 이론을 공부하고 관련 글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제가 작년 여름에 출판한 “수잔 스트라이커” 소개글을 읽으셨으면 ‘장애-퀴어 세미나’ 팀에게 고맙다고 한 구절을 확인할 수 있을 텐데요. 같은 모임입니다. 스트라이커도 세미나 팀에서 같이 얘기를 나눈(이건 저의 열렬한 애호와 팀원의 열렬한 호응이 결합한 경우죠 크크) 이론가 중 한 명이고요.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수잔 스트라이커 소개글 역시 리카패밀리의 성과기도 합니다. 아울러 이번에 출간된 책 <성의 정치 성의 권리>에 실린 저의 글 “괴물을 발명하라”에도 장애-퀴어 세미나 팀에게 고맙다고 했는데요. 같은 세미나 모임입니다. “괴물을 발명하라”의 일부분은, 이 세미나가 없었다면 결코 쓸 수 없었을 거고요.
리카패밀리 얘기를 하는 이유는, 만성질환 및 수잔 웬델을 소개한 글 두 편 역시 리카패밀리의 자장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본인 동의 없이 막 이렇게 우기기.. 크크. ;;; )
수잔 웬델이 쓰고 전혜은이 옮긴 “건강하지 않은 장애인:만성질환을 장애로 대우하기”는 장애 이슈에 관심이 있건 없건 꼭 읽으셨으면 합니다. 흔히 장애를 사회적 범주로 해석하면서 개인의 문제로 환원하는 태도를 어느 정도 경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인식론적 전환임에도 몸이 아픈 것 자체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는 남습니다. 바로 이 지점, 아픔, 손상, 고통을 다르게 의미화하는 것과는 별개로 몸이 아픈 현상 자체는 남고, 그렇다면 이 아픔과 어떻게 관계 맺을까는 여전히 고민인데 이것이 이 논문의 핵심입니다. 이 정도 설명이면, 아마 많은 분들이 자신의 경험과 연결됨을 깨달을 듯 합니다. 이를 테면, 장애나 아픔과 같은 경험이 아니라고 해도, 내가 퀴어고 퀴어라서 즐겁고 하는 것 등은 다 좋은데, 그럼에도 때때로 즐겁다고만 말할 수 없거나 자신을 부정하고 싶기도 하는 등 복잡한 감정을 느끼니까요. 이런 복잡한 고민에 어떤 위로를 주는 논문이 아닐까 합니다.
전혜은이 쓴 “수잔 웬델: 손상의 현상학자”는 수잔 웬델을 소개한 논문인데요. 간단하게 소개하면, 몸으로 쓰는 글이 무엇인지 그 진수를 맛볼 수 있습니다. 꼭 읽어보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