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를 고민한다는 것은 ‘나는 이런 존재야, 그러니 난 너와 달라’라고 말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범주를 고민함은 존재를 혹은 우리 각각이 세상과 부딪히는 방식을 구획하는 권력을 사유하겠다는 뜻이다. 문제의 핵심은 ‘나는 이런 범주니까 날 제대로 불러’가 아니다. 핵심은 내가 무슨 변태건 상관없이 특정 틀거리에 날 끼워맞추고 그것으로 박제하는 권력 작동이다. 그러니까 내가 트랜스젠더기에 누군가가 날 트랜스젠더로 제대로 불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 아니다. 특정 방식으로 트랜스젠더를 박제하고 그 형상에 내 삶과 행동도 모두 끼워맞추는 인식 체계가 문제다.
비슷하게 어떤 현상을 설명할 때 ‘나’를 제외한다고 해서 나를 ‘배제’하는 것, 그리하여 무의미한 논의라고 말하는 건 문제가 있다. 특정 용어만 반복해서 사용한다면, 논의에서 그 용어의 역사적 맥락에 맞게 잘 설명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게 더 중요하다. 이를 테면 호모포비아란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단순히 이 용어가 트랜스젠더를 배제하기에 문제라고 비판하며 호모포비아와 트랜스포비아를 병기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때때로 난감함을 야기한다. 그것보다 호모포비아라고 했을 때 이 용어를 사용하는 글이 이 용어의 개념과 역사를 얼마나 잘 반영하면서 논의를 전개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호모 개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동시에 점검해야 한다. 호모포비아만 사용하면 안 되고 호모포비아와 트랜스포비아를 같이 사용해야 한다면, 이런 용법은 동일한 논리에 따라 바이를 배제한다. 그럼 퀴어포비아는 어떨까? 퀴어포비아를 사용하면서 동성애자만 혹은 비트랜스-동성애자나 트랜스젠더만 떠올린다면 퀴어포비아를 사용한다고 해서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까? 포괄어를 사용하는 것은 더 많은 책임과 사유를 요구한다.. 물론 퀴어가 모두를 완벽하게 재현하고 대표할 필요가 없음도 분명하지만.
…그냥 이것저것 잡담을 조금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