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고민이 많은 날입니다. 그리고 비염이 터지는 계절이고요.
그냥 가볍게 넘어갈 수밖에 없는 날이기도 합니다.
===
2014.05.11.일. 쪽글-03
알레르기 비염, 혹은 시간성과 기온의 관계
-루인
비록 지금은 한국이 사계절의 기온 변화와 자연 풍경 변화가 뚜렷하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뚜렷하지 않다고 할 수도 없겠지만) 그래도 상당히 오랜 시간 한국은 사계절이 분명한 나라였(던 것 같)다. 적어도 내가 초등학생일 땐 그렇게 배웠다. 그리고 그런 지식을 밑절미 삼아 계절 변화를 인식했고 지금은 기온이 ‘이상’하다고 예전과 다르다고 판단한다. 계절의 변화, 봄에서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으로 움직이는 시간은 일년이라는 시간 단위를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기도 하다. 12월 31일과 1월 1일 사이의 타종행사가 달력 시간의 단위를 맺고 새로 시작함의 지표라면 계절의 순환은 어쩐지 몸에 익은 삶의 1년 주기에 가깝다. 하지만 내가 1년이라는 단위, 혹은 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바뀐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방식은 조금 다르다. 나는 내 몸의 반응으로 이것을 인식한다.
알레르기 비염을 만성병으로 분류할 것인지, 그저 알레르기 증상으로 분류할 것인지는 내게 애매한 영역이다. 만성병과 관련한 글을 읽을 때면 종종 내가 겪는 알레르기 비염을 떠올리곤 하지만 어느 쪽이건 상관없다. 다른 말로 비염을 만성병의 시간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어떤 병을 겪은 ‘생존’의 시간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알레르기 비염이 이 사회가 요구하는 생산적(시간적) 인간되기를 ‘방해’하는 요소란 점이다. 알레르기 비염이 터진다면, 이미 터진 상황에선 약도 소용없고 사실상 할 수 있는 건 드러누워 있는 것 뿐이다. 비염으로 인해 잠을 잘 수 없지만 비염으로 인한 피로와 에너지 소모로 잠에 드는 것이 유일한 임시방편이다. 하지만 비염은 정해진 시간에 나를 찾지 않는다. 비염은 예측할 수 없는 시간에 불쑥 찾아온다. 오랜 만에 좀 쉬어야겠다고 생각한 날 아침 찾아올 수도 있고, 할일이 엄청 많고 판단해야 할 일이 많은 날 나를 찾아올 수도 있다. 그래서 늘 신경써야 하고 코의 미묘한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물론 비염이 터질 것만 같은 예감이 반드시 적중하지는 않는다. 대체로 터지지만 안 터질 때도 있다. 비염이 터지지 않을 거란 기대 역시 언제나 배신을 동반하다. 이것이 문제다. 비염이 터지면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비염이 터져도 생계형 알바를 쉴 수 없고 학교 수업에 빠질 수 없다(만약 빠져야 한다면 봄과 여름 동안 나는 집에만 있어야 한다). 내 경험에서 비염은 “힘들겠다”란 반응을 접할 수 있다면 그나마 다행인 증상이다. 많은 경우 “감기예요?” “비염이에요” “아…” 이것이 전부다. 그리하여 비염으로 알바를 쉬겠다고? 애당초 근로 조건에 공휴일을 제외하면 쉬는 날이 없는데 ‘고작’ 알레르기 비염으로 쉬겠다고? 하지만 알레르기 비염은 이른바 시간 대비 생산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알바하는 곳에서 나는 정말 최소한의 일만 하고 수업엔 참가하는데 의의를 둔다. 그리하여 알레르기 비염은 시간규범적(temporal-normative) 존재 되기를 ‘방해’한다. 이른바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없도록 만들진 않지만 그것이 요구하는 시간 생산성엔 부족한 존재로 만든다.
비염이 시간규범적 존재로 사는 삶을 ‘방해’한다는 점에서 시간성 개념을 갖는 것만은 아니다. 비염은 크게 두 가지,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Perennial allergic rhinitis)과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Seasonal allergic rhinitis)으로 나뉜다. 비염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많은 글이 비염을 알레르겐과 치료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비염은 그 자체로 이미 시간적 증상이다. 어떤 경우건 둘 다 평생을 함께 하거나 몇 십 년을 함께 할 동반자다. 계절과 무관하게 수시로 발생하느냐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리고 적어도 내게 있어 비염이란 시간은 단순히 통년성으로 오지도 않고 계절성으로 오지도 않는다. 통년성, 어떤 알레르겐을 통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서 환경을 가리는 방식으로 비염을 겪지는 않는다. 물론 낯선 곳에 가거나 먼지가 유난하거나 냄새가 강한 곳에 가면 그 즉시 혹은 이튼날 거의 반드시 비염을 겪는다. 계절성, 봄이나 환절기에 꽃가루와 같은 요인으로 비염을 겪지도 않는다. 물론 나는 봄이나 여름, 특히 이 즈음의 환절기에 비염을 심하게 겪는다. 내가 봄이나 여름을 싫어하고 가을이나 겨울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을이나 겨울에 비염을 겪을 가능성이 현저히 낮기 때문이다. 현저하게 낮지, 없지는 않다. 한겨울에도 비염이 터지기 때문이다.
10년 넘게, 얼추 20년 가까이 비염을 앓으며 깨달은 바, 내가 비염을 겪는 시기는 대체로 분명하다. 날이 따뜻할 때다. 이 말의 정확한 의미는 특정 기온, 아침 최저 기온이 12도 이상이라거나 낮 최고 기온이 19도 이상이면 비염이 터진다는 식이 아니다. 어제와 오늘의 기온차에 더 민감하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며 기온이 0도면 비염이 터질 가능성이 낮다. 하지만 어제까지 일주일 가량 영하 15도였다가 오늘 영하 5도 정도여서 날이 ‘따뜻’하다면 비염이 터진다. 영상 10도는 되어야 따뜻해서 비염 발생 요인이 작동하는 게 아니다. 기온차가 크고 날이 상대적으로 ‘따뜻’할 때 비염이 터진다. 나의 비염 알레르겐은 상대적으로 따뜻한 기온이다. 다른 말로 내게 비염이라는 시간은 기온과 함께 한다. 그리하여 나는 계절 변화를 비염이 터지는 빈도로 겪는다. 비염이 터지기 시작하면 ‘아, 이제 봄이구나’를 확인한다. 하지만 이 시간은 또한 기온 변화의 시간성이다. 내게 시간성은 기온 변화의 형태로 인지된다. 이것은 계절에 따른 기온 변화 현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내 몸이 기온을 어떻게 느끼고 반응하느냐와 관련 있는 시간성이다. 그리하여 내게 시간성은 또한 기온의 변화가 몸의 상태를 바꾸는 방식으로 체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