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복도 화장실, 장애와 비장애

병원엔 병실마다 화장실이 있지만 복도에도 화장실이 있다. 그리고 복도에 있는 화장실 입구는 미닫이 문이 아니라 천으로 살짝 가린 모습이다. 천으로 가볍게 가린 모습. 복도를 오고갈 때마다 화장실 문이 천이라니, 그것도 제대로 닫히는 기능이 없는 천이라니 사용하는 사람은 얼마나 불편할까라고 고민했다. 화장실인데, 문을 닫을 수 없다니. 하지만 병원을 몇 번 오가면서 반성했다. 난 얼마나 안이하게 고민했던가. 병원 복도에 있는 화장실이라고 해서 병문안을 온 사람만 사용하는 게 아니다. 환자로 입원한 사람도 사용한다. 그리고 간병인이나 곁에서 도와줄 사람이 없는 상태로 화장실을 혼자 사용한다면 적어도 출입구만은 쉽게 드나들 수 있어야 한다. 화장실 입구를 천으로 가린 건 환자가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모든 사람이 같은 힘을 가진 게 아니라면, 어떤 사람은 적은 힘을 사용하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면 결국 적은 힘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문을 만들어야 한다. 그 화장실이 장애인용 화장실이란 표시가 없어도 그렇다는 뜻이다. 하지만 병문안을 이유로 몇 번 드나든 병원의 복도 화장실엔 장애인용이란 표시가 없었다. 모든 화장실을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니다. 입구만 봤을 땐 휠체어가 들어갈 수 없는 폭이었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병문안을 오는 사람이 아니란 뜻일까? 장애인은 병실을 이용하는 사람이지 병문안을 오는 사람은 아니란 의미일까? 하지만 병실에 있는 화장실도 좁았다. 링겔을 거는 지지대는 들일 수 있어도 상당히 좁았다. 장애인은 장애인 전용 병실에 따로 있어야 한다는 뜻일까? 병원의 젠더 분리와 장애 분리란 뜻일까? 병원 복도에 있는 화장실을 보며 환자인, 장애인은 아닌, 체력에 있어 상당한 약자인 어떤 존재/범주를 떠올렸다. 장애와 비장애 사이에 경계는 정말 불분명하다.

장애-퀴어, 교차점 모색

더 퀴어한 삶을 지향하는 경우는 많다. 비록 퀴어포비아가 만연한 사회에서 퀴어로 혹은 퀴어하게 산다는 것은 어떤 위험을 내 삶의 일부로 받아들인다는 뜻이다(위험을 당연하게 여긴다는 뜻은 아니다). 그럼에도 퀴어한 삶, 지금보다 더 퀴어한 삶은 많은 경우 좋은 의미로 통용된다. 지향해야 할 삶의 방향 중 하나로 독해된다.
지금보다 장애가 더 심각해지길 바라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장애인 역시 장애를 세상을 인식하는 주요 토대로 사유한다고 해도, 지금보다 장애가 더 심각하길 바란다고 쉽게 말하진 않는다. 장애와 퀴어 모두,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긍정적 가치, 지향할 삶의 방향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더 퀴어하게’와 ‘더 장애가 심하게’는 그 의미가 같지 않다.
나는 장애 이슈와 퀴어 이슈를 분리해서 사유할 수 없다고 믿는다. 그리고 장애-퀴어 이슈를 동시에 사유하기 위한 출발점은 앞서 쓴 지점이라고 말하고 싶다. ‘더 퀴어하게’와 ‘더 장애가 심하게’가 동일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 지점에서 장애-퀴어의 상호교차성을 모색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럼 어떻게? 물론 이건 앞으로 더 고민할 부분이고…

비트랜스젠더화된 장애, 비장애화된 트랜스젠더: 토론문 … 일부

지난 10월 30일, 장애여성공감 15주년 포럼에서 얘기한 토론문의 일부입니다. 장애와 트랜스젠더의 교차점을 모색하는 글이기도 하고요. 아시겠지만, 전문은 상단의 writing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시간이 지나면서 장애여성 운동과 트랜스젠더 운동이 함께 할 수 있는 지점, 아니 함께 해야 하는 지점은 단지 화장실 정도가 아니란 걸 깨달았다. 특히 몸과 젠더 이슈가 그렇다. 발제문에서도 지적하듯 장애여성은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에서 비/젠더화된다. 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 가능성을 박탈하는 사회적 인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장애여성은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의 규제 안에 있지만 그 규범에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존재로 이미 결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장애여성의 여성성이나 여성 젠더 실천은 부정된다(아니, 이미 부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 부정이 장애여성을 트랜스젠더화하진 않는 듯하다. 장애여성의 여성 젠더는 지배 규범에 부합할 수 없다고 미리 규정되었음에도 여성 젠더 범주 자체를 벗어나도록 하진 않는다.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엔 도달할 수 없지만 트랜스젠더는 아닌 수준, 그 어딘가에 장애여성을 향한 젠더 규범이 자리잡고 있다. 마찬가지로 트랜스젠더의 젠더 실천 역시 언제나 지배적 젠더 규범에 영원히 도달할 수 없다. 염색체 운운하며 도달 불가능한 것으로 규정되거나 과잉으로 넘쳐서 비난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트랜스젠더의 다양한 젠더 실천은 많은 경우 사회적 혐오나 해명의 대상이다. 수술 역시 마찬가지다. 트랜스젠더가 겪는 많은 수술은, 때때로 죽음을 각오하고 진행하는 (결연한)행위로 이해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얘기하는 수술의 위험, 성취할 수 없는 지배적 이원 젠더 규범의 실천 등은 모두 비장애 몸을 염두에 두고 있다. 수술이 잘못되었을 때 생길 수 있는 어떤 가능성을 향한 우려는, 때때로 장애 혐오를 밑절미 삼는다. 그리하여 트랜스젠더의 젠더와 몸 구성은 비장애화된 사회적 규범에 따른다. 이것은 많은 트랜스젠더가 떠올리거나 얘기하는 이상적인 몸이 기본적으로 비장애인의 몸이란 점에서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트랜스젠더의 몸은 결코 이 사회의 지배 규범적 젠더의 몸일 순 없지만 또한 비장애화된 몸의 수준에서 관리되고 또 논의된다.
장애인의 젠더 규범, 트랜스젠더의 비장애 규범에 관한 얘기는 서로 각자 다른 식으로 젠더 규범과 몸 규범을 겪는다는 뜻이 아니다. 장애-몸-트랜스/젠더가 분리할 수 없는 형태로 우리를 관리하고 우리 삶을 상상하도록 한다는 뜻이다. 장애 운동과 트랜스젠더 운동이 많은 공유점을 갖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장애여성 운동과 트랜스젠더 운동은 바로 이 지점 어딘가에서 함께 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