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 감정, 애도

감정과 관련해서, 수업 시간에 쓴 쪽글입니다. 2012년 11월 8일에 작성했습니다.
네, 짐작하시겠지만 한무지의 일이 있은지 얼마 안 되어 쓴 쪽글이기도 합니다.
===
주디스 버틀러는 한 인터뷰에서 “나는 완벽하게 퀴어다. 그리고 나는 피곤하다.”라고 말했다. 비록 자신을 “완벽하게 퀴어”라고 말할 수 있는 점이 매력적이긴 해도 내가 끌린 지점은 “나는 피곤하다”이다. 강의와 같은 자리에서 나는 트랜스젠더로, 퀴어로 살아가는 삶의 긍정적 힘을 더 많이 얘기하지만 내가 더 많이 고민하는 지점은 그것과 늘 공존하는 어떤 고단함이다. 그리고 시간을 회절하며, 과거 퀴어한 인물의 부정적 감정에 더 공감한다. 이를테면 매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을 트랜스젠더 텍스트로 읽는 나는, 이름 없는 피조물의 고통스런 감정에 더 많이 움직인다. 그렇다면 퀴어 운동에서 부정적 감정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가.
현재 퀴어 운동의 정치적 수단은 (여전히) 폭력 피해를 입증하는 방식이다. 차별 경험을 통해서만 퀴어의 적법한 시민권을 요구할 수 있다. 그래서 통계적 수치 혹은 피해를 수집한 자료집이 필요하다. 언론이나 학부생이 요청하는 인터뷰에서 주로 하는 질문 역시 마찬가지다. 관련 인터뷰는 늘 피해 경험, 퀴어로 살아가는 삶의 어려움을 묻는다. 인터뷰어에게 제목으로 뽑을 만한 피해 경험을 알려준다면 그 인터뷰는 ‘성공적이다.’ 하지만 누구에게 성공인가?
많은 퀴어 활동가와 이론가는, 정치적 수단과는 별개로 고통과 차별 피해를 전시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성애규범성을 되묻는 방식으로 운동과 논의를 전개한다. 트랜스젠더나 퀴어는 질문거리로 구성되지만 이성애는 그렇지 않은 인식체계를 문제 삼는다. 이성애 자체를 탐문하는 것이다. 폭력 피해라는 것이 일상을 규율하는 형식과 내용으로 이루어지기에 통계로, 사례로 뽑을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비트랜스젠더 범주는 그냥 인간의 범주고, 트랜스젠더 범주는 (‘인간’이 아니라)트랜스젠더 범주인 동시에 쉽게 발화할 수 없는 범주란 점을 통계적 차별 경험으로 어떻게 포착할 수 있겠는가. ‘고통’과 ‘차별 피해 경험’은 그냥 일상이다. 일상이어서 직면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인지 혹은 그럼에도인지 아니면 그 모두여서인지, 축제 형식의 자리엔 많은 사람이 함께 하지만 추모 형식의 자리엔 전자에 비해 매우 적은 사람이 참여한다. 그리고 우리는 동료의 죽음을 드물지 않게 접한다.
함께 활동했던 동료가 세상을 떠났다. 그 죽음을 기리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그의 삶을 퀴어나 트랜스젠더로만 환원하지 않으면서, 그의 삶을 활동가의 역사로만 수렴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공적 사건으로 만들 것인가. 다른 말로 그의 죽음을 운동의 소재가 아니라 죽음 그리고 상실 그 자체로 직면하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가. 슬프게도 차별 사례는 있어도 차별에 따른 감정, 혹은 상실에 따른 감정을 설명할 언어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히더 러브의 질문처럼, 질문의 방향을 바꾸는 전략이 매우 중요함에도 이것으로 충분한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퀴어의 쾌락 혹은 즐거움조차 충분히 논의하기 힘든 한국 상황에서 퀴어로 살아가며 겪는 부정적 감정은 차별 피해 사례로만 환원되기에 이를 말하기가 참 곤란하지만 그럼에도 부정적 감정 역시 더 많이 말해야 한다. 그리하여 부정적 감정을 말하는 더 많은 방식을 찾아야 한다.
부정적 감정을 삶의 일부로, 아울러 과거와 현재를 조우하는 방식으로 설명하는 히더 러브의 논의가 중요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트랜스젠더로 혹은 퀴어로 살며 겪는 많은 부정적 감정을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 현재 내 삶과 범주를 구성하는 일부로 설명하는 것은 ‘차별피해자’로 존재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많은 경우 부정적 감정, 부정적 경험(사라 아메드 식으로는 아픔)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자원으로 동원되고 그리하여 극복 서사를 통해서만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이런 서사에서 부정적 감정이 어떤 감정인지 이 감정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부정적 감정은 마주해야 하는 감정이 아니라 회피하고 서둘러 극복하여 없애야 할 감정일 뿐이다. 하지만 과거의 강등에서 현재나 미래의 긍정으로 전회는 과거를 과거로 해석할 수 없게 하고 현재와 공존하는 과거의 잔존을 보기 어렵게 한다(19). 시간과 경험은 단선적이기보다 우발적이며 다선적으로 구성된다고 해서 과거와 현재가 단절되었다는 뜻이 아니다. “감정의 아카이브”(4)란 표현처럼 과거는 현재의 몸을 구성하는 일부다.
다른 한편, 부정적 감정은 진단이란 용어를 만나며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12-4). 많은 감정과 아픔은 사회적 인식 체계에서 누락된다는 점에서 사회에서 소통하고 통용할 수 있는 감정으로 구성되지 못 한다. 퀴어의 부정적 감정은 매우 자주 ‘개인의 피해의식’으로 구성된다. 사회적 인식 체계에서 포착되지 못 한 감정은 개인의 착오지 ‘감정’이 못 된다. 그래서 감정을 진단하는 것, 부정적 감정을 읽는 것은 ‘피해의식’을 사회구조에 맥락화하는 작업이며 그것에 실체를 부여하는 작업이다. 이것은 다른 말로 이 사회의 구조를 진단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부정적 감정은 이 사회의 다양한 규범성을 드러내고 또 진단한다.
버틀러의 얘기로 다시 돌아가자. 완벽하게 퀴어라는 것과 피곤함은 모순이 아니다. 이것은 언제나 동시적 감정이다. 수치심이 자부심으로, 자부심이 수치심으로 전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28), 수치심과 자부심을 동시에 느끼기도 한다. 자부심을 외치는 바로 그 자리에서 불안을 느끼며 머뭇거리기도 한다.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대립하는 감정이 아니라 언제나 공존한다. 이것은 대립쌍으로 공존하는 것도 아니다. 퀴어는 혐오의 대상이(었)고 우리는 혹은 ‘나’만은 그렇지 않길 바라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27).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거의 동시에 느끼며 살아간다. 그렇다면 폭력 피해를 퀴어의 유일한 경험 혹은 대표 경험으로 재현하지 않으면서, 부정적 감정을 폭력 피해로 수렴하지 않으면서 이 경험을 애기할 수 있는 더 많은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

9 thoughts on “퀴어, 감정, 애도

  1. Love, Heather. Introduction. Feeling Backward: Loss and the Politics of Queer History. Cambridge, Massachusetts, London and England: Harvard UP, 2007. 1-30. Press.
    Love, Heather. “The Politics of Refusal.” Epilogue. Feeling Backward: Loss and the Politics of Queer History. Cambridge, Massachusetts, London and England: Harvard UP, 2007. 146-163. Press.

  2. 슬프고, 피곤하고, 고단하고, 그러하네요……

    그럼에도 이 글은 참 좋아요, 루인.

    1. 응.. 고마워요.
      시간이 흐를 수록 복잡한 감정을 어떻게 풀어야 할지가 고민이에요. 이런 점에서 이번 가을 학기는 제게 무척 의미있는 시간이랄까요.. 뜬금없지만 학교에 입학하길 잘했다 싶어요..;;

  3. 마치 이미 제가 알고있던 글인것같아요. 너무 공감해요. 그와동시에 끊임없이 삶을 견디려고 노력하는건 정말 힘든것같아요.ㅜㅜ

    1. 와… 고마워요. ㅠㅠㅠ
      삶을 견디는 건 정말 지난한 과정 같아요. 삶을 견디지 않겠다고 선택하는 것도 정말 지난하고 어려운 선택이지만요.. 아무려나 현재 살아 있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살아갈지, 어떻게 기억할지는 두고두고 품고 가야할 화두가 아닐까 싶어요..

  4. 무지씨가 돌아가시고 나서 거의 퀴어관련 뇌가 굳었었던 거 같은데 다시 태동하는 첫 발자국이 이 글이군요. 얼마전 저희 학교에서 트랜스젠더 리더쉽 컨퍼런스가 열렸었고 그 중 한 세션이 커뮤니티의 상실 (loss, 누군가의 죽음의 상실을 의미) 를 극복하는 방법이었습니다. 그게 무지씨 돌아가시고 얼마 안 지나서였는데, 차마 그 세션을 참여하진 못했는데 후회가 되네요. 얼마전에 트랜스젠더 희생자들의 annual 추모일도 있었습니다. 이것저것 엮여서 막 떠오르네요

    1. 퀴어나 트랜스젠더 이슈와 관련한 안테나는 언제나 열려 있는 것 같아요. 그 파장이 언제 더 커지냐 아니냐의 차이가 있을 뿐.. 흐흐. ;;;
      가끔은 지금 이 순간에 너무 휘둘리나 싶기도 하지만 그래도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하지 않으면 어떡하겠나 싶기도 해요. 그래서 지금 이 순간이 글에 계속 반영되더라고요. 그게 좋기도 하고요.
      컨퍼런스 세션의 하나가 상실이었다니..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네요. 몸을 움직이는 얘기가 많이 나왔을 것 같아서요.
      아무려나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예요. 🙂

  5. 아닛, 나도 이 문제로 고민하고 있었는데!
    장애학 쪽 흐름에서 접근하고 있었지만 같은 고민에 부딪쳐 있었거든요
    고통에 대한 장애학 문헌들을 보면서 고민하고 있었던 문제를 루인의 글에서 보니
    내 속을 들여다 본 것 같고…더 나누고 싶은 얘기도 있고..
    결론: 루인이 보고 싶네

    1. 나중에 만나서 얘기나누면 재밌을 거예요.. 응? 흐흐.
      그때가 되면 제 기말페이퍼도 끝나 있을 테고요..;;;
      아무려나 저도 세미나 하고 싶어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