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 성폭력, 그리고 정체성 구성

요즘 정신이 없긴 없나보다. 며칠 전엔 받은 걸 안 받았다고 해서 상대방을 당황하게 했고, 어제는 얼추 일주일 전부터 가겠다고 다짐하고 계획을 세운 공연에 못 가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있었다. 정말 가고 싶었는데… ㅠ_ㅠ

이제 열흘 정도 지난 것 같다. 그때 이후로, 컴퓨터 앞에 앉으면 어김없이 하는 검색어가 있고, 수시로 논문 검색 사이트에서 관련 검색을 하지만, 마땅한 자료를 못 찾고 있다. 자신을 대신할 만한 어떤 글을 찾고 있는데 딱히 몸에 드는 글을 못 찾고 있달까. 그날, 그 전화를 받는 순간, 떠오른 “루인”이라고 불리는 이의 13년 전 경험이나 7년 전 경험을 설명하려고 애쓰면서.

아마 여성학 수업을 듣고, 페미니즘 공부를 하면서 관심이 가장 많이 쏟은 분야는 성폭력이었다. 의도했던 건 아니었다. 그저 수업시간에 발표를 하게 되면 선택하는 주제는 성폭력이었고, 기말시험으로 레포트를 제출할 때에도 주제는 성폭력이었다. 무언가를 설명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것이 무엇이었는지는 알면서도 모른 척 했거나, 정말 모르면서 아는 척 했는지도 모르지만. 아무려나 뭔가를 설명하고 싶었지만, 당시 읽은 자료의 상당수가, 당시 들은 수업의 상당수가 얘기하는 논의들로는 “루인”이라고 부르고 있는 이의 경험을 설명할 수 없었던 건 분명했다. 하긴, 그 시절엔 설명하고 싶은 것들이 너무 많아서 도대체 무얼 고민하고 있었는지도 모를 지경이지만, 어쨌거나 그랬다.

얼추 2년 전부터 트랜스이론을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그때와는 다른 방식으로 고민의 방향을 모색하면서, 어떤 주제엔 집중했고 어떤 주제는 잊곤 했다. 이제와 돌이켜보면 지금까지 읽은 글의 상당수는 젠더이론이었고, 혐오범죄와 관련한 글일 때도 여러 혐오 범죄 중 하나로(일종의 사례로), 성폭력이나 구타 등을 얘기했지, 이런 폭력들이 정체성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이런 경험들과 트랜스 정체성이 어떤 식으로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글은 읽은 적이 거의 없었다. 물론 자신이 트랜스라는 걸 말한 후 경험하는 혐오범죄로서 성폭력을 언급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긴 하지만, 거의 모든 글이 성폭력을 혐오범죄의 하나로*만* 다루는 경향들이 있다. 하지만 성폭력 경험을, 트랜스들이, 맥락이 다른 mtf/트랜스여성이나 ftm/트랜스남성들이 그저 혐오범죄로*만* 경험하는 건 아니다. 그래서 갑갑했다.

지금까지 읽은 글들을 떠올리고, 새롭게 자료를 검색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폭력은 혐오범죄의 범주로만 설명하는 경향이 대부분이다. 그나마 희망을 걸었던, 홀리 데버의 [FTM]이란 책도, 거의 700페이지에 달해 FTM정체성 구성을 이야기 하지만, 성폭력과 관련해서 자세히 다루는 것 같지 않고(확실한 건 아님). 그러니까, 흔히 말하듯, 어릴 때 성폭력 경험이 트랜스젠더가 ‘되는’ 데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하는 주제가 아니라, 트랜스 정체성을 고민하고 있는 과정에서, 트랜스로 정체화하고 살아하는 과정에서(그래서 호르몬이나 수술을 했을 수도 있고 안 했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성폭력은 정체성 구성에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가 하는 고민이다. 비단 혐오범죄로서의 성폭력 뿐 아니라, 혐오범죄가 아닌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폭력들도. (혐오범죄를 강조하다보니 혐오가 아닌 맥락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은 언급하지 않는 경향이 생긴 걸까.)

거의 처음인 거 같다. 어떤 고민을 시작할 때, 관련 문헌부터 이렇게 악착같이 찾기 시작한 건. 보통은, 어떤 고민을 시작하면 루인의 생애를 통해 한참을 고민한 후에야 문헌을 찾았는데. 이미 관련 논의를 조금이나마 읽었거나, 과거부터 했기 때문일까, 아님 당장 문헌부터 찾을 정도로 뭔가를 갈구하는 걸까. 그래서 한편으론 막막하고 먹먹하다. 흔히 얘기하는 “페미니즘 얘기하는 성폭력 논의”로는 설명할 수 없는 맥락들을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을지.

4 thoughts on “트랜스젠더, 성폭력, 그리고 정체성 구성

  1. 꼭 물리적인 성폭력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언어적 성폭력이나 암묵적인 사회적 성폭력을 경험하며 현재에 이르게 됐다고 생각은 하는데, 역시 참 어려운 접근이네요.

    1. 정말 그래요. 다양한 결로 가해지는 성폭력들을 경험한 역사들이 몸에 어떻게 새겨져 있을까를 고민하면, 때론 막막한 기분도 들어요. ;;;

  2. 어려운 문제죠. 사실 어떻게 작용하느냐에 앞서 부디끼는 감정적인 자괴와 아픔이 끔찍하지만.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많은 것들이 보일것 같아요,. ‘자책’의 부분이라던가. 가장끔찍하게 여겨지는 상황들을 쫓아가다보면, 아주 희미하게 그 맥락들이 보일것같기도 하거든요. 좀 나아지면, 같이 풀어가요.

    1. 정말 많은 얘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름을 한 번 믿어봐요. 때론 이름이 힘이 되기도 하니까요.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