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테면 1980년대에 쓴 글들을 지금에 와서 아무런 유효성이 없다곤 몸앓지 않는다. 대략 20년가량의 세월이 흘렀기에 세상은 많이도 변했고 학문도 그 만큼의 변화를 겪었다. 그렇기에 70, 80년대의 텍스트들을 읽는 일이 낡은 일이고 별다른 의미를 제공하지 않는 일일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때론 요즘 나오는 텍스트들 보다 더 멋지고 빼어난 성찰을 보여주는 텍스트들은 얼마든지 있다. 일테면 루인이 사랑해 마지않는 벨 훅스bell hooks의 1981년에 나온 [Ain’t I A Woman]이나 1984년에 나온 [Feminist Theory]와 같은 책은 지금 나오는 어떤 책들보다 몸 아프게 하는 통찰과 성찰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종종 수업시간에 80년대 출판된 텍스트들을 읽게 하는 것은, 그다지 반가운 일이 아니다. 비록 그 텍스트들이 그 당시엔 상당히 중요하고 유효한 성찰을 보여주었다 해도 그것이 현재에도 유효한가엔 회의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0여 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논의의 내용과 깊이는 많이도 변했고 그래서 그 시절 나온 글 중엔 더 이상 그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고전강독과 같은 경우, 혹은 ‘체계’적인 배움 등의 이유가 아니어도 얼마든지 읽을 수 있지만 텍스트들의 수명은 다 다르기 마련이고 어떤 텍스트는, 정말이지 시간낭비란 불만만 나오게 한다.
수업을 듣다 보면 선생님이 배웠던 시절의 지식에서 조금도 더 나아가지 않은 상태로 수업을 하는 경우가 있다. 때로 길게는 2, 30년의 세월이 흘렀는데도 그 당시의 텍스트와 지식으로 수업 시간에 강의를 하고 학계에서 권위를 인정받곤 하는 경우를 보곤 한다. 수업을 듣는 입장에선 이보다 화가 나는 일이 없다. 앞서 80년대 텍스트에 대해 궁시렁 거린 이유는 여기에 있다. 한 수업 시간에 커리로 그 당시의 텍스트를 읽게 했다. 이런 사실 자체엔 별다른 불만이 없다. 1940년도에 나온 글도 수업 시간을 통해 읽었는데 80년대에 논의된 글 정도야(페미니즘/여성학에서 1940년대면 정말 ‘오래’된 시간이다). 문제는 이 텍스트들의 고전 이상으로서의 유효성과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하는 논의의 정도 등에서 발생했다.
오래된 논의라고 낡은 것이 아니며 최신 이론이라고 해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행담론을 좇아가는 것만큼 바보 같은 일도 없다) 예전에 배운 지식에 안주하여 지금 논의가 어떤 식으로 바뀌고 있는지에 대해선 말하지 않거나 모른다면 그건 심각한 문제라고 본다. 특히 페미니즘 관련 수업 시간의 경우, 담론은 항상 움직이고 있고 그렇기에 현재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중요할 수밖에 없다.
핵심은 수업에 들어오는 교수/강사의 태도가 문제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유행하니까 와~ 하고 따라가고 탈식민주의가 유행하니까 와~ 하고 따라가는 것도 문제지만, 끊임없는 새로운 배움 없이 자신이 대학원 시절 배웠을 법한 지식으로 아직도 강단에 서 있다면 그것은 학생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며 윤리가 아니다. 과거의 배움을 아직까지 울궈먹는 행위는 자신의 지식에 회의하지 않는 태도이며 앎에 민감하지 않은, 변태하지 않는 삶이라고 본다.
불륜이 별게 아니다. 관계에서의 윤리가 아닌 것, 그것이 불륜不倫이다. 새로운 앎으로 나아가지 않고 과거의 자신에 안주하고 있으면서 강단에 선다면 그것이야 말로 학생들에 대한 불륜이 아니고 무엇일까.
*혹시나 해서 말하면 이 글, 특정한 누군가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이 아니니 오해는 말아줘요. (왠지 이 말이 더 이상하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