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루인이 스스로 내뱉고도 가장 무서워하는 말은, 자신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건, 비단 자신이 하는 말이 타인에게 어떤 폭력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지식자랑을 하고 있는지 정말 몸으로 앓은 언어를 말하고 있는지 자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어제 민우회 강좌를 들으며, 근래 들어 들은 강좌 중, 몸을 가장 복잡하게 만든 강좌였다고 중얼거렸다. 정말 너무도 불쾌하고 불편한 강좌면서 어떻게 그렇게 괜찮은 강좌일 수 있을까 싶었다(좀 심하게 과장하면 최악이면서 최상이었다고 할까). 초반의 강의 부분에선 수강생들의 기대와는 전혀 다른 내용을 말했고, 질의응답시간(아무리 봐도 그 시간을 ‘토론’시간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엔 질문자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답변을 하기도 했다. 나서기를 싫어하는 루인이면서 동시에 튀고 싶어 하는 루인이기에 그다지 질문을 하고 싶어 하지 않지만 어젠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실 그건 질문이 아니라 문제제기였고 그래서 어제의 그 공간 자체가 루인이 바랐던 것과는 틀이 맞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암튼 루인은 몇 가지 문제제기를 했는데 강사는 루인의 맥락을 읽지 못했다. 그럼 다시 말하라고? 아쉽게도 그럴 수 있는 자리가 아니었다. 강사는 자신이 권위와 차별이 없는 공간에서 생활하며 그런 생활을 만들려고 한다지만 어제 그 자리에서 루인이 겪었던 건, 강사와 수강생이라는 위계질서의 엄격함, 나이에 따른 권위주의 등이었다.
지난 봄, 지금과 같은 민우회 여성주의 학교-간다 봄 학기 수업을 들으며 깨달았던 것은, 정말 몸의 세계관이 다르면 타인의 말을 알아듣기가 어렵구나, 였다. 강사 중 한 명인, ‘남성’ 평화학자의 질문(두 명의 강사가 함께 진행했다)은 어느 부분까지는 알아들었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멍한 상태로 말을 흘렸다. 이전까지, 학교 수업 시간에 토론을 하며 루인이 하는 말을 다른 사람이 알아듣지 못하고 엉뚱한 답변을 하는 것을 경험하며 답답했는데 왜 그런지 이해되는 순간이랄까. 그렇다고 다른 세계관과는 대화/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다른 몸을 가지고 있기에 더욱더 격렬하게 대화의 장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믿는다(대화/소통의 첫 번째 전제는 이 과정을 통해 달라진 자신을 만나겠다는 열망이다). 어제의 자리가 토론의 장이 아니라 질의응답시간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사는 루인의 언어를 자신의 세계관으로 환원해서 ‘엉뚱한’ 말을 해버렸고 그래서 당황했고 심지어 강사가 말하는 “유목적 사유”란 말 자체를 의심할 지경이었다.
“유목적 사유”라는 말을 하기는 쉽다. 그것을 실천하고 있다고 믿기도 쉽다. 하지만 루인이 읽는 “유목적 사유”는 끊임없는 자기 회의와 반성, 그리고 새로운 언어의 사용이다. 루인의 믿음 중 하나는 지식이 삶과 만나 앎이 되는 순간, 언어가 바뀐다는 것이다. 더 이상 기존의 언어는 불편하고 변화한 몸을 설명할 수 없기에 쓸 수가 없다. 그래서, “양성평등”이란 단어가 문제적이라고 지적하고 ‘동성애’자가 인구의 10~15% 정도를 차지한다고 말하면서도 모든 설명을 ‘여성’/’남성’으로만 말하거나, 근대화 기획의 ‘공사’구분이나 ‘거대’담론/’일상’의 정치 등으로 구분하는 말이 문제라는 것을 알고 탈근대를 말하면서도 사회적인 것을 위해서 개인적이고 작은 것은 좀 참고 지낼 수 있지 않느냐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그 사람(이 하는 말)을 의심한다. 몸으로 트랜스섹슈얼리티/트랜스젠더를 앓고 났다면, 더 이상 언어에서 ‘여성’이나 ‘남성’이란 말을 쉽게 쓸 수가 없으며 탈근대나 유목적 사유와 ‘공사’를 구분하는 식의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모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실, 고백하자면, 어제 그 강사의 강의 내용은 지식자랑은 아닌가 싶을 정도였다.
[#M_ 보태기.. | 접기.. | 트랜스섹슈얼리티/트랜스젠더를 단지 성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몸은 그것과 다르다는 말을 들으며 얼마간 충격을 받았는데, 그럼 도대체 강사가 정의하는 몸이란 무엇일까 궁금했다. 또한 몸과 성적인 것의 구분이 가능할까? 강사가 생각하는 트랜스섹슈얼리티/트랜스젠더는 무엇일까. 학벌에 연봉까지 성/적인(sexual/ity) 것으로 여겨지는 한국사회에서 강사가 생각하는 ‘성적인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_M#]
그럼에도 그 강의가 좋았다면 공동체 생활에서의 윤리, 문학과 관련한 나중의 부분 때문이다. 자연과 대화하는 글쓰기란 말은 공간과 소통하는 몸이란 루인의 앓이에 꽤나 자극적이었다(강사가 말한 자연은 타자화된 자연은 아닌지 의심스러운 지점이 있었는데 이는 좀더 조심스럽게 접근할 부분). 또한 밥상공동체를 통한 소통 방식은 이랑과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를 몸앓을 수 있게 했다. 이와 관련해선 나중에 더 쓸 수 있겠지.
눈이 @_@ .. 축구보려고 지금까지 빈둥빈둥 거렸는데.. 몇 시간이라도 자기로 결정.. 크크~~ tv는 켜놓고 잘까 고민하는.. 모든 글마다 스팸덧글이 굉장하네요. 흐흐~ 영어 단어가 들어가면 기냥 다 걸리나봐여.. ㅋㅋ -_-; 스팸으로부터 자유로워질 그 날을 기다리며. .총총~~ 샤샤샤삭~ =======3333
흐흐. 내일 논문 제출을 앞두고 시간이 조금 생겨서 스팸을 지우다가 발견했어요. 스팸 속의 오아시스^^
적당히 방치하는 시간 동안 4000개의 사랑-_-;;스러운 스팸 덧글의 애정공세에 시달리고 있어요. 으흐;;; 아마 한 달 덧글 기록일 거에요. 으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