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크 나이트]

[다크 나이트], 2008.08.20. 12:20, 아트레온 9관 11층 E-7

01
영화 보자고 불러줘서 고마워요!
아울러 논문 이야기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요. 🙂

02
::스포일러 있을 가능성 농후::

영화는 재밌었다. 합리주의가 만들어낸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대립각. 이성이 만들어낸 이성과 비이성의 대립각. 등등. 이런 틀을 일거에 허물려는 텍스트라니. 합리적인 판단, 이성적인 판단이라는 것들 모두 합리주의와 이성이 만들어낸 틀이다. 이런 틀이 존재하기 위해선 언제나 그렇지 않은 것들이 필요하다. 이분법은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극단적인 선/정의란 것과 극단적인 악이란 것. 극도로 정제한 이성과 예측 불가능한 비이성. 자신의 행동이 옳은지 고뇌하는 태도와 고뇌하지 않는 것 같은 태도. 이런 대립각이 극명하다. 그리고 이들이 사실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걸, 서로 닮은꼴이란 걸 이 영화는 잘 표현한다. 그래서 난, 배트맨이나 조커가 아니라, 만들어진 영웅 검사 하비 덴트가 흥미로웠다.

하비 덴트는 배트맨과 조커가 별개의 인물이 아니라 한 개인에게 동시에 존재하는 모습임을 분명히 한다. 하비 덴트가 없어도 배트맨과 조커는 짝패인 걸 쉽게 알 수 있다. 조커의 말 속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조커는 배트맨을 죽일 수 없고 배트맨은 조커를 죽일 수 없다. 서로 너무 사랑하기 때문이다. 조커는 배트맨이 없으면 심심하고, 배트맨은 조커가 없으면 자신의 정의를 실현할 수 없다.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대립각이 필요하다. 배트맨이란 영웅을 위해, 브루스 웨인(배트맨)은 대립각을 지목해야 한다. 조커와 하비 덴트는 그래서 필수다. 자신의 정의가 옳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조커를(배트맨의 모습에서 미국행정부가 떠오른다), 자신이야 말로 진짜 영웅임을 웅변하기 위한 존재로 하비 덴트를. 배트맨은 하비 덴트를 영웅으로 만들고 자신이 살인했다고 말하도록 함으로써, “진짜 영웅”이 된다. 배트맨이 원하는 진실을 만들어냄으로써, 자신의 진정성을 획득한다. 어차피 배트맨을 평가하는 이는, 고담시의 시민들이 아니라 텍스트를 읽는 관객/독자들이니까. 배트맨이 고담시민들에게서 욕을 먹을수록, “진실”이 드러나지 않을수록 배트맨은 영웅이 된다. (이런 구성은 너무 태만한 거 아냐? 흐)

광기어린 연기를 보여준 조커나 목소리 변조하는 영웅 배트맨보다, 하비 덴트가 흥미로운 건 그래서다. 하비 덴트의 위치는 두 주인공 사이에서 완충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둘의 관계가 사실은 별개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후반부. 하비 덴트가 고든의 가족을 납치한 상황. 고든이 가족을 찾으러 온다. 하비 덴트는 고든을 위협하고 협박한다. 레이첼을 왜 납치했느냐고, 자신은 다 잃었다고 울분을 토한다. 배트맨과 달리 변신하지 않고, 가면을 쓰지 않은 “맨” 얼굴로 고담시민의 영웅이 되려던 하비는 이제 복수의 화신으로 변하는 것 같다. 이때 하비의 얼굴은 반만 나온다. 화상을 입은 부분이 아니라 화상을 입지 않는 부분. 하비는 화상을 입고 레이첼을 잃은 후, 복수를 다짐한다. 그렇다면 화상 입은 얼굴이 복수의 모습, 화상을 입지 않은 얼굴이 선한 영웅의 모습일 테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언제나 먼저 등장하는 부분, 복수를 다짐하고 살인할 때도 가장 먼저, 가장 자주 나오는 부분은 화상을 입지 않은 부분이다. 화상을 입은 부분은, 이런 변화를 극명히 보여 줄 때, 자신의 분노를 상대에게 각인시킬 때 주로 나온다. 한 얼굴의 두 모습이 아니라 같은 얼굴의 같은 모습이다. 선한 얼굴, 선함, 정의와 악한 얼굴, 악함, 부정의는 별개가 아니다. 언제나 동시에 존재하지만 별개라고 생각하기에, 돌연 낯설고 기괴하게 보일 뿐이다. 하비 덴트의 얼굴은, 정확하게 반으로 갈라서 오른쪽은 화상을 입지 않았고 왼쪽은 화상을 입었다. 이 분명한 대립으로 보이는 얼굴 모습이 기괴하기도 했다. 이질적인 얼굴이 공존해서가 아니라, 너무 분명하게 나눠서. 차라리 피카소식의 얼굴을 그리지. -_-;;
(얼굴을 비춰주는 위치도 흥미롭다. 고든과 같은 경찰이 하비 덴트 문병 갈 땐, 화상을 입지 않은 얼굴 쪽에 선다. 반면 조커가 하비 덴트에게 가서 얘기할 땐, 화상을 입은 쪽에 선다. – 기억에 의존하는 거라 항상 이런 건 아닐 수도 있음.;;)

또 다른 장면은 거의 끝부분. 하비 덴트가 떨어진 장면. 난 그 장면을 보면서,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가 떠올랐다. 왼쪽 얼굴을 위로 향하고, 팔을 약간 접은 체 펼치고 있는 모습. 죽은 인물은 배트맨도 조커도 아니라 하비 덴트이고, 죽은 모습은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 같다. 이분법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조커와 배트맨은 죽어선 안 된다. 대신 이 둘이 사실은 별개가 아니라 공존하는 것임을 드러낸 하비 덴트가 죽을 뿐. 마치 모든 죄를 대신한다는 듯. 배트맨은 하비 덴트가 죽어서도 영웅이길 바랐기에 자신의 진실을 만든다. 그리고 하비 덴트는 영웅으로 추모된다. 고담시민은 여전히 증오나 악보다는 선을 원하는, 선한 마음이 남아있는 인물이 된다. 하비 덴트의 죽음은 모순이라고 불리는 것의 공존(이성/비이성, 선/악 등등)을 덮어버림으로써, 이분법의 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어쩌면 하비 덴트는 배트맨의 시나리오와는 별개로, ‘영웅’인지도 모른다. 사실 그대로는 환영받을 수 없지만, 선악이란 언제나 공존한다는 걸 드러낸 ‘영웅’. 비이성과 광기는 잠재된 내면의 폭발이 아니라, 사실은 거울에 비친 이성의 모습이란 걸 드러낸 ‘영웅’. 하지만 이런 공존이 (누구나 알지만)폭로되면 안 되며, 결국 고담시민은 선을 원한다는 환상을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영웅’.

근데, 캐릭터로서 하비 덴트는 흥미롭지만, 그 배우는 쫌…. -_-;; 하비 덴트를 연기한 배우는 내가 상당히 싫어하는 스타일이고, 그 보다 더 싫어하는 스타일은 배트맨을 연기한 배우.

03
고통을 확인하고 싶은 욕망은 얼마나 매력적인가. 그래서 고통스러웠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조커란 걸 확인할 수 있었다. 조커의 대사는 하나하나가 철학이다.

+
제목이 [다크 나이트]라서 “어두운 밤”인 줄 알았다. 근데 “어둠의 기사/밤의 기사”데? -_-; 큭.

8 thoughts on “{영화} [다크 나이트]

  1. 그쵸. 저도 어둠의 기사인걸 알고 깜짝. 배트맨의 지나치게 낮은 목소리는 좀 마이너스 요인이었던 것 같아요. 저야 자막이 있으니까 괜찮았지만 자막 없이는 알아듣기 힘들었을 듯.
    처음엔 새로 개발한 기구를 입에 넣고 목소리를 일부러 위장한 줄 알았는데 아니더라구요-_-;;;;;;

    1. 저만 그렇게 착각한 게 아니라서 다행인 느낌이에요.. 흐흐 -_-;;
      정말 목소리가 많이 거슬리더라고요. 그래서 호감도가 더 떨어졌달까요. 흐흐흐 ;;

  2. 저는 배트맨 배우보다 하비 덴트가 더 느끼하고 싫었어요^^
    딱 전형적인 백마탄 기사처럼 굴잖아요 으휴

    1. 둘 다 느끼한 점에선 막상막하 같았는데, 결정적으로 배트맨으로 변할 때의 목소리가 너무 싫었어요.
      더군다나 제가 올백 스타일의 머리를 싫어해서요. 흐.

  3. 다크나이트, 저는 매기 질렌할, 조커 때문에 잘 봤어요.
    매기 질렌할을 볼 때면, 예전에 ‘비서’라는 영화에서 에세머 연기를 그럴싸하게 한 게 떠올라, 자꾸만 머리 속에 타자기와 면도날이 떠올라서 탈이었죠. ㅋ
    그렇게 해서, 다크 나이트 보는 동안 영화 6개 정도는 동시에 본 것 같았답니다.(브로크백마운틴과, 배트멘비긴즈와 아메리칸사이코 등등)

    1. 오오.. 동시에 6편 정도를 보셨다니, 내용 안 헷갈리세요? 흐흐. 그래도 왠지 그 동안 못 본 영화 하지만 보고 싶은 영화를 원껏 보신 것 같은 느낌도 드네요. 🙂

  4. 하비 덴트는 정말 캐릭터는 흥미로운데, 인물은 영… 처음부터 정의를 외치는 모습이 전형적인 미국인(미국 백인 대통령?)을 보는 거 같아 거부감이 무척 많았다는… 느글거렸어요;

    1. 보통 영화를 보면 매력적인 인물이 나오곤 하는데, 다크 나이트는 그런 인물이 한 명도 없어서 놀랐어요. 하비 덴트도 캐릭터의 위치만 흥미롭지, 인물로는 영… 다들 기름기가 좔좔 흘러서 부담스럽기도 했고요. 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