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아침 7시. 학교 오는 길. 공기가 차가웠고 나는 기뻤다. 난 오늘 아침과 같은 기온을 무척 좋아한다. 차가운 초겨울 아침. 귀에선 핑크 플로이드의 첫 번째 앨범에 수록된 음악들이 흘렀다. 하루아침에 떨어진 노란 은행잎들이 거리를 덮고 있었다. 나는 꿈을 꾸고 있는 건지 헷갈렸다.
02
어떤 논문을 볼 때, 참고문헌이나 인용문헌을 확인하면 저자가 대충 어떤 내용을 쓰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난 아직 훈련이 부족하여 잘 모르겠지만. 근데 가장 심각한 건, 지금 내 논문의 인용문헌을 보고 있노라면 도대체 이 인간이 무슨 내용을 쓰고 있는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다. 가장 황당한 인용문헌이 될 듯. 훗… ㅠ_ㅠ
03
글을 쓰다보면 종종 어떤 누군가의 글이나 어떤 이론가를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논할 가치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미 자신의 언어가 되었기에 논하지 않을 수도 있고, 언급하기엔 부담스러워서 논하지 않기도 한다. 이번 글쓰기에서 난 몇몇 유명한 사람들을 의도적으로 외면했다. 부담스러웠다.
일례로 ㄱ이란 이론가와 그의 이론을 내가 알고는 있지만, 난 ㄱ을 언급하기 부담스러웠다. 나의 기준에서 그를 제대로 읽은 적이 없기 때문. 그러니 나의 기준에서 내가 ㄱ에 대해 아는 건 이름뿐이다. 안다고 말하기도 민망한 상황에서 인용문헌에 하나 더 추가하는 것만큼 부끄러운 일도 없다. 하지만 나의 선생님은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 인용하기 부담스러우면 이름이라도 언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미 적잖은 사람들이 알고 있으니 이름 정도라도 언급하면 된다고 했다. 그렇지 않으면 명백한 표절이라고 지적하며.
…나는 나의 선생님에게서 이런 엄격함 혹은 꼼꼼함도 훈련받고 있는 중이다. 이런 훈련을 받고 있어서 기쁘다. 이런 훈련을 기대했지만 실제 받고 있을 때 느끼는 기쁨은 더 크다. 히히.
참고문헌 목록… 거의 끝이 보이는 느낌인 걸요! ^^
아.. 참고문헌은 초고를 쓸 때부터 작성을 해야 했어요.
저의 선생님이 항상 완성된 형태를 요구해서요. 초고니까 참고문헌을 대충 써도 된다거나 줄 간격 안 지켜도 된다거나 하는 분이 아니라서요… ㅠ_ㅠ
노란 은행잎이 너무 많으면 정말 꿈 같은 느낌이 들어요. +_+
인용문헌이 너무 방대한 건가요? ㅎㅎ 근데 끝까지 읽어봐야 무슨 내용인지 알게 되는 책이 더 재미있잖아요. (논문은 재미를 위한 건 아니지만;;)
저는 잘 모르겠는데, 참고문헌이나 인용문헌을 보면, 이 저자가 어떤 관심과 어떤 논의를 진행할 건지 짐작할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 말을 듣고 수긍은 갔어요. 아무래도 자신의 논의와 관련된 문헌들을 참고하고 인용할 테니까요. 흐. 결국 참고문헌이나 인용문헌으로 논문의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는 건, 그 문헌들의 대부분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게 아닐까 싶어요… ㅠ_ㅠ
인용문헌은 방대하기 보단 잡다해요… 흐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