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글: 『컷』
적절한 예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유사한 예로, 종이나 칼날에 우연히 손가락 끝부분이 베인 경험은 빈번할 거 같다. 종이건 칼날이건, 실수건 실수를 가장한 의도적인 행동이건 간에 피가 배어 나오는 손가락 위의 베인 흔적. 『컷』. ‘베다, 상처를 내다, 자르다’와 같은 행동의 결과. 이 행동의 결과가 베인 흔적일 영원히 돌이킬 수 없게 하진 않는다. 손에, 팔에 생긴 베인 흔적은 시간이 지나면서 색깔이 연해지고 새살이 돋으며 아문다. 세월 속에서 흔적은 희미해지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흔적이 있었다는 사실도 잊힐 만큼 희미해진다. 물론 어떤 흔적은 죽을 때까지 남기도 하지만, 그 흔적이 평생 동일한 형태를 띠는 건 아니다. 어떤 형태로건 아무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니 손가락을 베는 행위의 결과는 절단이나 단절이 아니다. 컷, 자르는 행위는 새로운 관계를 이어가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지, 모든 상황을 철회하고 단절하여 막무가내로 끝내는 행위가 아니다. 컷. 관계란 억지로 이어가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어떤 중단의 순간을 맞이할 때야 비로소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그래서 자르는 행위는 관계의 파국을 의미하는 듯해도, 새로운 관계로 들어가기 위한 (발화)행위다.
소설 『컷』에서 의미하는 컷, 자르는 행위는 바로 이런 인식을 반영한다. 기존의 관계 속에선 더 이상 생존 자체를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주인공은 컷, 자르는 행위를 통해 새로운 소통을 시도한다. 다른 여러 영화나 소설들에선 이런 컷, 자르는 행위를 정신병과 같은 질병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컷』은 이 행위가 담고 있는 메시지에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난 이 소설에 우호적일 수밖에 없고, 두고두고 떠올릴 수밖에 없다.
+
소설에 등장하는 요양원을 퀴어 공동체, 퀴어 공간으로 읽을 수도 있는데, 이런 독해는 여기서 쓰지 않기로 했다. 어떤 사람들에겐 이런 독해가 새롭겠지만 내겐 좀 진부해서. -_-;;
++
최근 일주일 간 정신없이 바빴다. 할 일이 그만큼 많았다는 의미는 아니고, 내일 어떤 행사가 있는데 그걸 준비하는 과정에서 너무 긴장해서 정신이 없었다. 흐. 다, 엄살이다. 흐흐.
루인은 참 조근조근 설명을 잘하는 것 같아요. (으응?)
앗, 전 제가 과장법이 심하단 걸 알고 있어서인지 ‘조근조근’이란 표현에 왠지 기뻐하고 있어요.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