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를 시작한 후, 사람들은 멀리 돌아가야 했다. 건설업체는 원주민들에게 사전 양해를 구하지 않았다. “**년 *월부터 **년 *월까지 공사를 진행합니다. 통행에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란 일방적인 문구가 불편을 당연한 것으로 만들었다. 커다란 트럭, 레미콘 차량, 그 외에도 각종 공사 차량이 들락거렸다. 먼지 발생률이 제로에 가깝다는 시공법이라고 건설업체는 광고했다. 빨래를 실외에 널면 흙먼지로 지저분해 새로 빨아야 했다. 아울러 예전 같으면 5분 걸릴 거리를 30분 이상 돌아서 다녀야 했다. 주민들은 항의했고 업체는 외면했다. 자신들의 공법 자랑만 반복했다.
세 동의 아파트가 들어섰다. 높이 20층. 가장 작은 곳이 50평이란 소문도 있고, 80평이란 소문도 있었다. 주민들 중 이와 관련해서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없었다. 모델하우스가 어디에 있는지 아는 사람도 없었다. 분양을 하기는 하는지도 확실하지 않았다. 주민들은 공사로 인해 발생한 흙먼지가 얼마나 심했는지만 알 수 있었다.
공사가 끝나고 조경정비도 끝나자 이삿짐을 실은 트럭들이 하루에도 몇 대 씩 도착했다. 벽걸이 TV와 같이 금액이 상당한 짐들이 기본 옵션처럼 달린 이삿짐 트럭이었다. 짐을 나르는 사람들은 하나 같이 깔끔한 차림이었고 일처리는 처툴렀다. 그렇게 하루가 지나면 밤에 불이 켜진 집이 서넛 늘어났다. 한 달 정도 지나자 빈 집을 꼽을 정도였다.
아파트 공사가 끝났지만 원주민들의 불만은 여전했다. 공사를 시작하기 전까지 다니던 길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었다. 시공업체는 아파트 주민들의 의견이라며 외부인에게 단지 개방을 거부했다. 아파트 입주자의 확인을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었다. 아파트 주변은 2미터 정도의 철망으로 막혀 있어 샛길로 드나들기도 쉽지 않았다. 원주민들은 강하게 항의했지만 아파트 관리업체는 표리부동, 복지부동이었다. 항의하는 원주민들 앞에선 웃는 낯으로 당장 시정할 것처럼 행동했지만,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았다. 원주민들의 불만은 단지 개방 뿐만 아니라 일조권 침해와도 맞물렸다. 아파트가 들어선 이후, 인근 주택 주민 중 일부는 하루 종일 불을 켜고 살아야 했다. 또 다른 주민은 조망권을 침해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파트가 들어선 이후 더이상 옥상에서 한강과 산을 바라볼 수 없었다.
아파트 입주자들 역시 불만이었다. 입주자들은 원주민들의 항의를 기득권 행사로 이해했다. 그 동네는 전통적으로 이주자들에게 배타적이라는 소문이 많았다. 집성촌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4대째 혹은 그 보다 더 오래 그 마을에서 살았다. 근래에 우연히 이사 온 사람들 중 6개월을 버틴 사람이 없었다. 새로운 얼굴 중 6개월 이상 버틴 사람은 하숙생이거나 자취생이었다. 그런 마을에 세운 아파트가 분양에 성공할 수 있었던 건, 마을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값을 인근 시세보다 1% 정도 싸게 책정했기 때문이었다. “지금이 집을 사기에 적기다.”고 언론에서 떠들었고 은행대출조건이 일 년 전보다 수월했다는 점도 한몫했다. 그래서일까? 입주자들은 시공업체와 관리업체가 원주민들의 항의에 제대로 대처를 못 한다고 불만이 많았지만, 정작 원주민들의 항의엔 신경을 쓰지 않았다.
마을의 분위기가 급 냉각된 사건이 발생한 건 그 해 여름, 초등학교 방학이 시작되고 사흘 정도 지나서였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한 명이 아파트 근처에서 혼자 놀고 있었다. 그 초등학생 근처에선 마을 원주민들이 격렬한 시위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날따라 분위기가 유독 험악했다. 확성기를 사용하는 건 기본이었고 몇몇 사람들은 새총과 소주병을 들고 있었다. 내키면 언제든 아파트를 향해 새총을 쏘거나 소주병을 던질 기세였다. 몇몇은 철망을 넘는 시늉을 했다.
나중에 경찰이 확보한 증언 중엔 소주병을 실제로 던졌다는 주장이 있었다. 주민들이 시위를 하는 장소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깨진 소주병이 발견되어 그 증언에 신빙성을 더했다. 물론 원주민들은 2미터가 넘는 철망으로 막혀 있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하냐고 항변했다. 경찰들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2미터 높이의 철망으로 막혀 있지만 물건을 던지거나 넘어가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는 아니었다. 아파트 경비 중 한 명은, 원주민의 아이들 중엔 철망을 넘다가 자신에게 들킨 적이 있다고 증언했다. 몇몇 입주자들은 원주민들이 당일 아파트 출입을 통제하는 경비를 매수했다고 주장했다. 경비는 창백한 표정으로 결코 그런 일이 없다고 주장했고 원주민들은 경비가 누군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당일 시위에 참여한 원주민들 중 몇몇은 그날 아파트 단지에 정장을 입은 이가 몇 시간 동안 조용히 앉아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의 인상착의는 입주자들 중 한 명과 비슷했다. 입주자 대표는 그런 사람이 없다고 단언하며 원주민들이 자신들을 이간질하려고 없는 사실을 조작한 거라고 주장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정말 있었다면 오히려 원주민 중 한 명과 닮았다며 누군가를 지목하기도 했다.
경찰은 석 달에 걸쳐 원주민들과 입주자들을 설득한 끝에 그들 모두의 집을 구석구석 조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디서도 단서를 찾을 수 없었다. ‘카더라 통신’이 난무했고, 나중엔 증언이나 제보 모두 카더라 통신 같아, ‘사실’과 ‘카더라 통신’의 경계가 모호했다. 정밀조사가 끝나고 다시 6개월이 더 지났다. 사건 이후에도 간간이 원주민들이 진행하던 시위는 조용히 중지되었다. 증언과 제보에 열성인 아파트 입주자들 중 몇몇은 야반도주하듯 다른 마을로 떠나갔다. 사건이 미궁에 빠질 수록 마을은 조용해졌고,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면 누구도 사건의 조속한 해결을 독촉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 사건’이라고만 지칭하며 은밀히 얘길 나눴지만 드러내고 얘기하는 사람은 없었다. 은밀한 눈빛만 오갔다. 원주민이건 입주자건 ‘그 사건’을 직접 언급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만 한 시라도 잊고 지내는 사람도 없었다. 그건 마치 폭풍의 전야 같았다.
경찰의 고민은 따로 있었다. 그건 ….
와.. 이 글은 뭔가요? 흥미진진한데요.
헤헤. 제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 있었던 공사를 배경으로, 미미 여사의 소설을 적당히 차용하고, 저의 상상력을 보탠, 이상한 글이랄까요… 흐흐흐.
갑자기 삘 받아 쓴 글 중에 하나예요. 큭큭.
저도 이후 내용이 궁금해서 more 기능있나 여기저기 클릭해봤어요 @.@
원래 마지막에 결론을 내는 문장을 쓸까 하다가 그럼 재미가 없을 거 같아서 관뒀는데요… 왠지 분위기상 한 편을 더 써야 할 것 같달까요;;;;;; 쿨럭. 흐흐.
근데 결론이 공개되면 허무개그가 될 것 같아 고민이에요. 으하하. ;;;
혹시 이거 픽션인가요?
흥미진진하네요~
나름 픽션이에요. 흐흐.
흥미진진하다니 왠지 좀 더 쓰고 싶은 욕심이 생기지만, 분위기 좋을 때 마무리 짓는 게 좋을 거 같기도 해서 고민 중이에요. 헤헤헤
헉 두근두근-
나도 more 기능 있나 클릭해봤다는;; 결말은 알려줘야죠~
지금 어떻게 할까 고민 중이에요. 구효서가 옛날에 쓴 소설의 형식으로 결론을 밝힐지 그냥 밝히지 않고 은근쓸쩍 넘어갈지로요… 흐흐. ;;;
근데 정말로 결론은 허무해요.ㅠ_ㅠ
어차피 픽션이라면 안허무한 결말로 계속 써줘요.. ^^
부끄러움을 무릎쓰고 쓰기 시작했달까요… 흑흑.
그저 제가 소설가 지망생이 아니란 사실이 다행이랄까요… 흐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