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마지막 부분을 읽으며 왜 이렇게 질질 끄는 걸까, 궁금했다. 조금 더 일찍 맺으면 좋을 텐데 싶어 아쉬웠다. 소설을 읽으며 느꼈던 긴장감도 떨어진 상태였다. 그저 마지막까지 몇 장 안 남아 마저 읽는 셈치고 읽었다. 이렇게 긴장감이 풀리고 느슨해진 상태에서 한방 먹었다.
처음 두 장을 읽었을 땐 연작 단편을 읽는 줄 알았다. 장편소설인 줄 알았는데, 첫 번째 장의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주요인물과 두 번째 장의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주요인물이 달랐다. 그래서 같은 공간에서 일하는 인물들 각자의 일상을 다루는 소설인가, 했다. 추리소설인줄 알았기에, 착각한 건가 싶었지만 아무래도 좋았다. 각 에피소드가 너무 재밌기 때문이다. 『은행원 니시키 씨의 행방』(이케이도 준 지음, 민경욱 옮김) 이야기다.
결론부터 말하면 총 10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이 소설은 각 장 마다 다른 주요인물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처음엔 얼핏 별개의 이야기 같다. 근데 어느 순간 이야기들이 하나의 큰 흐름 속으로 모여든다. 물론 각자의 이야기가 하나의 큰 이야기 속으로 사라지는 건 아니다. 각각의 이야기는 여전히 개별 이야기로 남아 있다. 각각 어느 정도 완성도를 갖춘 단편들이 하나의 이야기를 이루면서, 동시에 전체 이야기를 이루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소설의 마지막 쪽을 덮으며 작가의 내공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구조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
소설은 제목 그대로이다. 소설은 제목 그대로 니시키 씨의 행방을 좇고 있다. 중의적이다. [스포일러 있음!] 제목에 니시키 씨의 이름이 등장한다 해도 니시키가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 장은 없다.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그때도 니시키는 희미하게 등장한다. 다른 주요인물이 니시키를 추적/추정하는 방식으로 등장할 뿐이다. 어떤 장에선 등장하지 않기도 한다. 존재하는 듯, 존재하지 않는 듯, 존재감이 모호하다. 소설의 결론에 가장 적합한 등장 방식이다. 결론을 읽고 나면 다시 한 번 더 읽고 싶은 바람이 생긴다. 눈치가 없는 나는, 두 번째 읽어야 비로소 니시키 씨의 행방을 추적할 수 있을 거 같다. 소설 진행 과정에서도 니시키가 사라져 동료들이 그를 추적하기 시작하는데, 이런 추적은 다소 표면적이다. [스포일러 끝.]
구조적인 형식만 흥미로운 게 아니다. 각 에피소드는 때때로 숨이 막힌다. 은행원들의 직장 생활을 다루고 있는 이 소설은, 성과지상주의, 실적지상주의에서 스트레스 받고, 좌절하는 개개인들의 모습에 집중한다. 때로 그 장면들이 더 숨막힌다. 목표 실적에 미달하는 사원에게, 부지점장은 인신모독의 욕설을 퍼붓고 지점장은 냉소한다. 주변에선 실적을 올리라고 압박한다. 실적과 성과. 오직 이 두 가지만을 지향하는 직장생활을 세밀하게 그리다 보니, 읽는 내가 힘들다. 어느 정도냐고? 생활비에 쪼들리면서도 직장 생활을 하지 않고 있는 나의 생활에 안도할 정도로.
그럼 이제 미미 여사의 『모방범』을 읽을 때가 된 걸까? 아직일까?
(결론은 언제나 뜬금없음.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