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한 유혹Affinity]를 꼼꼼하게 살폈다. 세라 워터스의 원작을 바탕으로 Tim Fywell 감독이 만든 영화다. 폐막작이라 다행이었다. 일요일에 상영하는데 자막 작업이 토요일 낮에 끝났거든-_-;; 아쉬운 건, 미리 홍보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 단연 최고였는데!
영화를 15분 정도 남겨뒀을 때까지만 해도, 난 이 영화와 관련해서 쓰고 싶은 글은 다음과 같았다.
한국에서 트랜스젠더란 말은 상당히 골치 아프다. 일단 학제에선 합의 과정은커녕 아예 관심 밖이다. 그리고 이 용어를 일상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이들은, 모두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합의가 불가능하다 싶을 정도로. 그래서 더 즐겁기도 하다. 생생하니까. 각자의 입장을 좀 더 활발하게 드러낼 수 있으니까. 어떤 의미를 암기하는 식으로 배울 필요 없이 개개인의 경험 속에서 정의할 수 있으니까.
용어 정의를 둘러싼 논쟁은 잠시 접어두고, 트랜스젠더란 범주를 비규범적인 방식으로 젠더를 표현하는 이들로 정의하고, 무당까지도 포함한다고 치자. 그렇다면 영화 [은밀한 유혹]은 트랜스젠더 영화로 해석할 수 있다.
난 이 영화의 감상문을 이런 내용으로 시작하려고 했다. 하지만 마지막 15분을 마저 살폈을 때 이렇게 시작하면 안 된다는 걸 깨달았다. 그렇다고 이 영화에서 ‘트랜스젠더 실천’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건 아니다. 표면적으로 레즈비언 관계를 다루는 이 영화를 트랜스젠더 영화로 독해할 수 있었던 건 어째서일까.
줄거리를 대충 쓰면, 일단 시대적 배경은 1870년대. 셀리나 도즈란 영매가 살인죄로 여자 감옥에 갇혀 있다. 이 감옥에 마가렛이 수감자들과 대화를 나누는 일을 시작하는데, 이 과정에서 도즈를 만난다. 둘은 서로를 알아 가는 과정에서 사랑에 빠지고, 마가렛은 영매들의 세계를 배워간다.
[현재 이 영화는 개봉하지도 않았고 개봉 일정도 잡히지 않은 것 같으며, 책도 한글로 옮기지 않은 상태라 스포일러 남발합니다. 알아서 피하세요. :P]
내가 주목한 부분은 도즈의 영이 피터란 남성적인 존재란 점이다. 무당으로 치면, 주민등록번호 2번인 무당이 모시는 신이 주민등록번호 1번인 사람이랄까? 여성과 남성으로 개인을 분명하게 나누는 사회에서 도즈와 피터는 서로 다른 성별 번호를 부여 받은 사람이다(이런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당시 서구에서 이런 신분제도가 있었다는 건 아니다). 피터는 도즈의 몸을 매개하고, 이 과정에서 도즈는 피터를 체화해서 피터로 행동한다. 도즈가 피터를 불러들이지 않을 때와 피터를 불러 들여 도즈의 몸을 매개로 피터로서 말을 할 때, 도즈의 목소리부터 행동까지 상당히 많은 부분이 변하는데 이 과정이 묘하게 성별 전환과 닮았다. 비록 피터를 통한 젠더 전환/변화가 ‘영구적인 사건’이 아니라 ‘일시적인 사건’이라 해도 나는 이것을 트랜스젠더스러운 실천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고 느꼈다. 아울러 피터가 도즈의 영으로서 평생 함께 한다면, 이 또한 ‘영구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도즈는 접신 경험을 통해 ‘남성다움’을 실천한다. 주변 사람들이 도즈가 영매란 사실을 알고 경외하는데, 이를 통해 도즈는 빅토리아시대의 여성다움을 실천하지 않는다. 이는 도즈의 젠더 실천을 상당히 흥미롭게 해석할 여지를 준다. 그렇다고 내가 이 영화를 레즈비언과 ftm/트랜스남성간의 경계분쟁을 논하려는 건 아니다. 그보다는 미국 학제의 개념으로서 트랜스젠더 실천이 상당히 일상적으로 발생한다는 걸 말하고 싶었다.
다른 한편, 젠더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살아가는 이유로 영을 소환했다는 혐의도 강했다. 내가 문제가 아니라, 영에 씌어서 나도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도즈는 살인죄로 기소되었지만, 자신이 살인한 것이 아니라 피터가 살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접신 상태에서 피터를 통제할 수 없었고, 그 과정에서 피터가 살인을 저질렀다고. 이는 도즈의 젠더 실천이 규범적이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즉, 도즈는 자신을 영매로 소개하는 순간부터, 자신의 행동이 상당히 자유로워진다는 걸 알고 있었다.
[이제 본격적인 스포일러. 영화의 핵심이기도 함]
문제는 후반부 10분 정도를 남겨 놓고 등장하는 반전에 있다. 도즈는 소수의 사람들을 모아선 자신의 접신 경험을 공연한다. 이때 도즈 뒤에 피터가 등장하고 도즈의 입을 매개로 말을 한다. 근데 피터는 사실 도즈의 파트너, 바이거스였다. 바이거스가 피터로 분장해선, 영혼인 것처럼 사람들 앞에 나타난 것. 이렇게 되면 도즈가 영매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도즈가 진짜 영매인지 여부도 중요하지 않다. 도즈는 자신을 영매로 소개함으로써 사회에서 공인 받을 수 없는 존재가 되는 동시에 행동 제약이 줄어드는 것을 선택했으니까. 이제 방점은 바이거스의 행동에 찍으면 된다.
바이거스는 영화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을 가능하게 하는 인물이지만 실제 등장하는 분량은 상당히 적다. 배후에서 모든 것을 움직이기에 사건을 조율하고 지배하지만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국에 머물 때의 드라큘라를 닮았기도 하다. 일종의 안개 같은 역할이다. 그래서 바이거스의 행동을 분석하는 건 쉽지 않다. 그저, 피터로 분장했을 때 바이거스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적어도 영적 사기를 위한 단순한 도구 같지는 않다. 피터가 바이거스가 분장한 인물이란 게 밝혀지는 사건에서, 피터는 “여기까지 왔는데 그냥 갈 순 없지!”란 말을 한다. 바이거스는 항상 도즈 옆에서 살았기에 피터가 특별히 멀리서 온 건 아니다. 피터의 모습으로 분장했을 뿐이다. 그런데도 아주 멀리서 온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이것은 분장에 걸리는 시간을 암시할 뿐만 아니라 피터로서 바이거스와 하녀로서 바이거스, 도즈의 파트너로서 바이거스가 상당히 다른 자아들이란 걸 암시한다. 적어도 피터로 변해서 나타난 바이거스는 피터로 변장했거나 분장한 바이거스가 아니라 피터, 그 자체이다. 이런 점에서 피터/바이거스의 변환 관계 역시 의미심장하다.
이런 식으로 해석한다고 해서, 도즈와 피터/바이거스가 트랜스젠더라고 주장하는 건 아니다. 그들의 어떤 행동을 트랜스젠더스러운 실천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말하는 것일 뿐. 그들이 자신을 어떻게 고민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런 게 중요한 것 같지도 않다. 그저, 영화 속 시대를 살고 있는 비규범적인 존재들이 생존을 위해 사용한 전략들이 중요하다. 그 전략들은 그 사회의 규범과 규범의 허점을 알려 주기 때문이다.
암튼, 정말 흥미롭고 재밌는 영화다. 정식 개봉을 안 한다면 비공식 개봉이라도 했으면 좋겠다. 흐흐.
흥미로운 분석이에요. 영화가 오랫동안 생각이 남아요. 다시 생각해보면 마가렛이 처음 감옥에 갔을 때 감옥장이 “아버님이 승낙하신 게 보이는군요” 라고 하자 “죽은 자가 산자를 볼 수 있나요” 라고 했었던 것과 마가렛이 영매를 믿으며 “산자가 죽은 자를 볼 수 있음”을 믿게 되는 것과의 댓구… 이런 디테일들이 자꾸 생각나요.
저도 세세한 부분들이 자꾸 떠올라요. 마지막에 마가렛이 물에 빠진 후 셀리나 도즈가 배에서 서로를 바라보는데, 반대편의 셀리나가 마가렛을 구하러 뛰어 드는 장면도 인상적이었고요.
책이 번역되면 좋겠어요. 헤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