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마조마한 게 서스펜스. 수수께끼를 푸는 건 미스터리예요!”
“호모의 일상 그 자체네. 근사한 남자가 가게에 오긴 했는데 이를 어쩌나. 게이일까? 아닐까? 봐, 서스펜스와 미스터리 종합 세트잖아.”
-기노시타 한타. 『악몽의 엘리베이터』(김소영 옮김. 파주: 살림, 2009)
이번 달엔 이래저래 바빠 책을 몇 권 못 읽을 줄 알았다. 근데 어쩌다보니 논문을 제외하고도 10권은 읽었으니 아주 게을렀던 건 아닌 듯.
일본에서 1970년대 숟가락을 구부리는 초능력을 가진 초등학생 사건은 현대일본 작가들에게 일종의 집단기억을 형성한 걸까? 미야베 미유키의 『용은 잠들다』엔 관련 내용이 꽤나 자세하게 나온다.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 『20세기 소년』에선 상당히 중요한 모티브로 등장한다. 그리고 기노시타 한타의 소설, 『악몽의 엘리베이터』에도 초능력을 증명하기 위해 숟가락을 구부리는 장면이 나온다. 1990년대를 한국에서 보낸 사람들에겐 “개구리 소년들”이 일종의 집단기억일 수 있을까? 뉴스를 안 보던 나도 생생하게 기억할 정도로 그 시절 한국사회는 “개구리 소년들”로 들끓었다. 하지만 이 사건이 오늘날 소설을 쓰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2000년대 이후 등단한 작가들이나 출간한 소설을 잘 안 읽으니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 잘 모르겠다. 딱히 어디에서 읽은 기억도 없고. “개구리 소년들”보단 서태지가 더 강한 인상을 준 거 같기도 하고. ㅡ_ㅡ;;
암튼 『악몽의 엘리베이터』는 무척 흥미진진한 소설이다. 소설을 끝까지 읽는 재미가 있다. 그렇다고 굳이 독후감을 쓸 정도는 아니다. 그리고 난 독후감을 잘 안 쓴다. 그럼에도 굳이 이렇게 글을 쓰는 건 위에 인용한 구절이 재밌어서. 장르의 특성만 뽑아서 얘기하자면, 정말 절묘한 구절이다. 그래서일까? 커밍아웃과 파트너를 찾는 과정을 서스펜스와 미스터리로 풀어간 영화가 있었던 것도 같다. 암튼 이 책엔 게이(책에선 “호모”로 표현)가 등장하니 조만간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 기증할 예정이다. 혹시나 그 전에 이 책을 깨끗하게 읽고 돌려주실 분이 계시면 리플 다세요…라고 쓰지만, 아무도 안 달 거 안다;;; 아울러 이럴 땐 오프라인으로 만나기 어렵지 않은 분에게만 빌려 줄 수 있지 우편으로 주고 받기는 애매하다. 우편료가 책값보다 비싸기 때문;; 아무려나 혹시나 원하시면 빌려드릴게요. 🙂
한달에 10권이라면 꽤 많이 읽으시는 거 아닌가요? 전 세미나책도 다 못읽어가서 퍽퍽 얻어터지던 한달이었습니다. 마르크스의 자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김도현의 장애학 함께 읽기 이렇게였는데 여기저기서 구멍만 숭숭 났네요. 장애학세미나는 끝이 났고 시학 다음에 아이스퀼로스비극전집읽기가 시작됩니다. 비극전집 읽고는 글도 써가야 하는데 아직 기획기사를 시작도 못한 이 현실….
학교는 안 다니지만 그래도 공부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에서 10권은 게으름의 징표일 거예요. 흑.
오홋. 근데 비극전집은 그리스 비극이죠? 재밌겠어요!!! 라고 쓰지만.. 정작 세미나로 읽어야 한다면 저도 펑크를 냈을 거예요. ㅠ_ㅠ
저,,읽고 싶어요,,ㅋㅋ 근딩 조금 멀어서 보내시기 어렵겠죠 담에 그 책과 연이 되면 함 읽어봐야 겠습니다 그 쪽 관련 책은 아직 한 권도 읽어보지 못해서,,^^~!! 90년대 한 동안 소설책을 많이 봤었는데 2000년도 이후로는 부끄럽게도 한 권도 읽지 않았습니다 ㅋㅋ 뭘 했는지?! ㅎ~ 아마 그 쪽으로 관심이 없어졌기 때문이겠죠 간간히 동생이 가져온 수필집은 몇 권 읽은 듯 하네요 여튼 감기 조심하시구요 전 약간의 코 감기 증상입당~~!!
추리소설 혹은 미스터리 소설인데, 등장 인물 중 한 명이 게이예요. 흐흐. 그래서 추리소설 류를 안 좋아하신다면 별로일 지도 모르겠어요. 하하. 왠지 보내드리고 싶지만, 한 권만 보내기엔 왠지 썰렁한 느낌도 든달까요.
앗, 그리고 코감기 증상이라니 감기 조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