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방에서 새로 들어온 책을 확인하다가 어느 책에서 흥미로운 부분을 봤다. 책 주제와 관련 있는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위키피디아에 올라와 있는 것을 번역한 것인데, 출처를 위키피디아라고만 표시했다. 근데 이렇게만 표시해도 될까?
학술논문에서 참고문헌을 인용할 때, 전통적인 출판물인 종이인쇄본은 보통 출간년도만 표시한다. 그것이 1월에 출간했건, 12월에 출간했건 2010년에 출간했다면 둘 다 2010년 출판물이다. 이건 종이출판물이 1년 안에 수정출판이 힘들었던 역사를 반영하는 것일 듯하다. 특히나 학술서적의 경우, 출간한 그해 2쇄나 3쇄를 찍는 경우가 드무니 더욱 그러할 것이다. 즉, 출판물의 유통속도는 년 단위였을 듯. 물론 아이디어 경쟁에선 하루 이틀이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그래서 서로 자기가 먼저 발견했다고 옹졸하게 싸우기도 했지만, 통상의 인용에선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1990년대 들어, 특히 2000년대 들어 웹출판물, 온라인출판물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면서 참고문헌 작성에 웹출판물을 표시하는 방법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중요한 특징은 웹출판물은 출간년도 뿐만 아니라 내가 그 자료에 접근한 날짜를 표시하도록 한다(MLA의 경우). 웹출판물의 경우, 종이인쇄물보다 수정이 용이해서 해당 자료에 접근한 날짜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2010년 7월 5일에 관리자가 해당 자료를 수정했다면, 7월 4일에 접근했는지, 7월 6일에 접근했는지에 따라 전혀 다른 내용일 수도 있다. 위키 역시, 이 부분이 중요하다. 언제 접근한 자료를 번역했는가는, 다양한 사람이 수시로 수정할 수 있는 위키의 특성상 매우 중요한 이슈다.
하지만 실시간 웹이라고 불리는 오늘날, 트위터 시간으로 서너 시간 전이면 이미 까마득한 옛날 같은 이 시대에 날짜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나 웹으로 실시간 협업이 가능하고, 수시로 문서수정이 가능한 상황에선 더 그럴 것이다. 위키의 경우도, 접근한 날짜 정도로는 충분하지 않다. 몇 시 몇 분에 접근했느냐에 따라 정보의 내용은 매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출판물의 경우, 참고문헌으로 인용할 때 해당 자료에 접근한 시간을 2010년 10월 27일 16시 21분(2010.10.27.16:21)이라고 표시하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아니, 분 정도로는 충분하지 않고, 초까지 표기해야 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내가 사용하는 참고문헌 표기법인 MLA라면 다음 판본에서 이렇게 바뀔지도 모른다. 이제는 세세한 시간이 중요한 상황이니까. 이를 위해 웹브라우저는 해당 사이트에 접근한 시간을 초단위로 기록하고 알려주는 기능을 기본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모든 사람이 트위터와 같은 실시간 웹에 참여하는 건 아니지만, 이제 새로운 정보와 문서는 실시간으로 유통되는 시대가 오는 걸까? 광고수익을 위해 구글이 전세계에 무선인터넷을 무료공급하고, 컴퓨터를 최대한 싸게 공급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실시간웹에 참여하고, 어떤 정보를 얻기 위해 책이 출간되기까지 몇 년의 시간을 기다릴 필요도 없이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면… 책 한 권을 쓰는 것도 실시간으로 이루어질까? 트위터나 구글웨이브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책을 쓰고, 독자는 실시간으로 그 책을 읽고. 실시간으로 오류를 수정하고. 그렇게 쓴 책은 펭귄북의 디지털서적 데모 영상처럼( http://goo.gl/C1QK 꼭 한 번 보시길. ) 그렇게 출간될까?
앞으로 읽는다는 행위는 무얼 의미하게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