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잔 B. 앤써니(Susan B Anthony). 기억을 믿을 수 있다면, 미국 초기 여권신장운동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만화로 쓴 페미니즘 역사책에서 이 이름을 읽었다. 무슨 역할을 했는지 정확하게 기억나진 않지만 그 책의 저자는 중요한 인물이라고 기록했다. 물론 그 책을 읽은 이후, 기존의 미국 페미니즘 역사가 백인 중심의 역사란 사실을 배웠다. 앤써니보다는, 혹은 앤써니의 역할만큼이나 소저너 트루스(Sojourner Truth)가 중요한 인물이라고 배웠다. 실제 트루스의 글, “나는 여성이 아닌가”는 매우 감동적이다. (무리하면 트랜스젠더 맥락에서 좀 재밌게 해석할 수도 있다.)
이런 지식, 모두 몇 년 전의 일이다. 여성학/페미니즘이 나의 주요 전공 중 하나지만 트랜스젠더 이론과 좀 더 밀접한 글이나 책을 주로 읽는다. 트랜스젠더나 퀴어와 관련이 적은 글은 덜 읽는 편이다. 그래서 다 잊었다고 생각했다.
며칠 전 미국 구금시설의 역사 관련 글을 읽는데, 수잔 B. 앤써니가 등장했다. (이 이름을 읽으며 놀란 점. 내가 아직도 이 이름을 기억하다니!! 후훗. ;;;) 다시 등장한 앤써니는 유쾌한 모습이 아니었다. 1900년대 초, 노동계층 십대여성의 행동과 섹슈얼리티를 통제하는데 앞장섰다는 내용이었다. 여권신장운동 초기에(소위 제 1의 물결이라고 불리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활동했던 (백인)여권운동가의 행동은 대체로 앤써니와 비슷했다. 그것은 정화운동이라고 부를만한 태도였다. 백인 중산층의 규범을 기준으로 다른 인종과 계급을 판단하고 처단했다. 십대여성이 ‘정숙’하지 않거나 성관계를 맺는다면 구금시설에 가두고 행동을 교정했다. 바느질하는 방법, 요리 등 가사노동 혹은 소위 ‘여성의 일’이라는 것을 가르치며 노동계급/비백인 십대여성을 관리했다.
여권신장운동 초기, 백인 여권론자의 활약을 마냥 부정할 수는 없다. 분명 긍정적 역할도 했다. 하지만 그 역할의 일정 부분은 백인 중산층 계급의 이해에 맞아 떨어졌다. 흑인 여성 노예의 성적 ‘유혹’에서 백인 남성을 보호하기 위해 흑인 노예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여권론자가 있었듯, 여권신장운동의 일정 부분은 특정 계급과 인종의 이득을 위한 것이었다. 물론 이런 제한적 운동이 그 자체로 문제는 아니다. 문제는 다른 데 있다. 인종혐오, 계급혐오, 다른 말로 특정 인종과 계급의 이해에서 여권신장운동을 진행했으면서 그것을 유일한 여성운동으로 재현한 것이 문제다. 백인 중산층 여성이 아닌 여성운동가가 없었다는 식으로 역사를 기술하는 것이 문제다. 페미니스트가 순도 100% 정치적으로 올바른 사람일 수 없다. 아니 ‘정치적으로 올바른’이란 표현 자체가 허황되다. 그러니 여권신장운동을 한 사람이라고 혐오발화를 하지 않았을 거라고 믿을 수 없다. 문제는 그 발화를 어떻게 기록하는가다.
아무려나… 이렇게 과거에 알았던 이름을 다시 만나면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 확실히 즐겁다. 나의 배움이 매우 느려 몇 년에 한 번 업데이트된다고 해도, 예전 지식에 머물지 않았다고 자족할 수 있어 다행이고. ;;; 올해 안에 꼭 쓸 예정인데(공동으로) 구금시설의 역사는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관리하고 통제한 역사다. 그래서 재밌다.
‘정치적으로 올바른’이라는 말은 원래 비꼬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말이죠;
벨 훅스 책을 읽을 때마다 백인 중산층 페미니스트들이 마치 악마처럼 느껴져요;;;;;;;;;;;;;;;
그러나 남을 욕하긴 쉬워도 자신을 성찰하긴 어려운 듯해요. 저도 속에서 여러 가지 혐오들이 들끓고 있는데 그렇지 않은 척할 때가 많은 것 같아요. 예전에는 제가 그런 사람인 줄도 몰랐는데 요즘엔 그런 걸 많이 느끼고 있답니다. 흠.
‘그렇지 않은 척’은 저의 특기인 걸요.. ㅠㅠ
정말 제 속엔 많은 혐오와 분노가 있는데 이것을 어떻게 표현하고 처리해야 할지 난감할 때가 너무 많아요.. 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