넋두리: 트랜스젠더 연구는 가능할까?

01
스마트폰을 사지 않으려고 했지요. 여러 이유가 있는데 이곳에 차마 못 쓴 이유도 있습니다. 저 자신이 충분히 스마트한데 굳이 스마트폰까지 갖출 필요가 있을까? … 하지만 얼추 석 달 정도 사용하니 좋아요. 매우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 이런 만행에 가까운 농담이라니.. 으하하. 요즘 좀 속상한 일이 있어 막 던지는 자학성 개그입니다.
02
한국의 학제에서 트랜스젠더 이슈를 공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별다른 어려움 없이 트랜스젠더 이슈에 집중해서 공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03
제출은 했지만 읽은 사람은 거의 없는 제 석사학위 논문에서 던지고 싶었던 질문, 문제의식은 참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중구난방으로 글을 썼고 망했지요. 으하하. ㅠㅠ
핵심은 있습니다. 젠더가 도대체 무엇이냐? 트랜스젠더와 퀴어를 배제한 젠더 논의가 아니라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경험에 바탕을 둔 젠더 논의를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뭐, 이런 질문을 던졌고 어떻게든 방향을 모색하려고 했습니다. 졸업하고 얼추 1년 가량은 실패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뭔가 단초는 잡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럼 그 단초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젠더가 무엇이냐고 질문을 던진 이유 중 하나는, 한국 사회에서 소비하는 페미니즘은 도대체 어떤 과정을 거쳤기에 이토록 이성애주의로 점철된 것일까란 갑갑함 때문입니다. 정말이지 어떻게 하면 이럴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이성애주의가 견고합니다. 전 누군가가 이 맥락을 추적하는 논문을 써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미국의 퀴어 이론가, 레즈비언 페미니스트의 (퀴어)논의조차 이성애주의 페미니즘으로 가공하고 유통하고 소비하는 맥락이 정말 궁금하거든요.
04
의료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 mtf/트랜스젠더로 평생 살아가는 건 정말 가능할까요?
05
첨엔 다른 글을 썼는데 그 글은 일단 키핑하기로 했습니다. 두고 보죠.

2 thoughts on “넋두리: 트랜스젠더 연구는 가능할까?

  1. 항상 포스팅 잘 보고있어요. 그런데 03을 읽으면서 문득 궁금해지네요..ㅠㅠ
    저도 요 근래 페미니즘 수업을 (제딴에는) 폭식하듯이 듣고 있고, 페미니즘 관련 도서들도 바쁘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요즘 너무 강렬하게 드는 생각은… ‘페미니즘은 절대 퀴어이론과 함께 갈수 없는 거구나’ 하는 거였어요… 강의 내내 느껴지는 그 불편함들? ‘나’라는 존재가 항상 배제되고 있다는 생각들이 정말 많이 들었기때문에, 문득 저런 생각을 하고서는 ‘아냐 내가 아직 무식해서 그래’ 라고 금방 생각하기는 했지만요;… 근데 루인님도 그렇게 느끼셨다하니, 어떤 이유로 그렇게 생각하게 되셨는지 궁금해지네요.

    1. 한국 여성학 이론의 상당 부분은 미국 논의를 많이 인용하고 있는데요… 그렇게 인용하는 페미니스트 상당수가 퀴어거나 레즈비언 페미니즘 논쟁에 밀접하거나 그렇더라고요.
      1960년대부터 미국에선 레즈비언 이슈가 페미니즘에 상당히 중요해서 페미니즘 관련 서적에서 레즈비언 이슈나 퀴어 이슈를 언급하지 않고는 책을 쓸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하고요.
      물론 이것이 수월하게 만나는 것은 아니지만 Feminism Meets Queer Theory와 같은 책이 나올 정도로 관련 논쟁이 많달까요.. 근데 이런 논의가 한국에 들어오면서는 모두 이성애 페미니즘으로만 소비되고 유통되더라고요.
      아울러 섹스와 젠더란 용어 이슈만 해도 트랜스젠더와 인터섹스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한국에선 이와 관련해서 전혀 언급을 안 하는 분위기잖아요(물론 이 점은 미국도 크게 다르진 않지만..). 심하게는 트랜스젠더는 젠더 이슈가 아니다, 여성학과 상관없다,라는 식의 분위기도 있고요.
      이런 부분이 너무 갑갑하달까요.. 아마 리타 님이 느낀 갑갑함은 상당히 정확할 거예요.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데요 이 둘을 무관한 이슈로 얘기하고 있으니까요.. ㅠ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