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의 제왕> 단상

어제까지 해서 사흘에 걸쳐 [반지의 제왕]을 봤다. 이제서야 봤느냐고 하면 그동안 그다지 끌리지 않았기 때문. 보는 내내 다소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았다.

1. 프로도와 샘의 관계

-영화를 보는 내내 가장 불편했던 점이라면 영웅주의, 평화를 위해선 전쟁이 필수라는 식의 근대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반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평화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죽어가는 무수한 존재들과 틀에 박힌 성역할은 상상력의 한계라고 밖에 볼수 없다. 그랬기에 왜 프로도가 영웅이 되어야 하는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고생도 샘이 더 많이 했는데.
샘은 프로도와 시작부터 같이 한다. 반지원정대를 떠나기 전에도 그 후에도. 물론 프로도가 반지를 가지고 있고 그 갈등을 이겨내는 고생을 했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식의 설명은 몸과 정신의 이분법이라는 근대적인 사유의 전형이라 몸앓는다. 프로도보다는 샘이 더 많은 고생을 했는데 이는 샘이 프로도의 고통까지도 같이 고민하기 때문이다. 샘의 고통을 보고 있으면 타인의 고통과 자신의 고통을 동시에 사유하는, 나와 타인을 함께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간달프에 의해 설정된 권력적인 위계관계로 인해 그런 것이긴 하지만 (친절은 약자의 윤리라고 했던가)분명 프로도의 모습과는 다른 부분이다.
하지만 항상 프로도만 걱정하고 결론에서도 프로도에게 공을 돌리지 샘에 대해선 말하지 않는다. 이러한 영웅주의는 타인의 고통을 비가시화 시키고 단 한 명의 영웅만 괜찮으면 다 괜찮다는 식의 폭력의 반복이다.

-이 영화를 보며 꽤나 짜릿했던 것은 둘 사이에 보여주는 미묘함때문. 크크. 첫 편인 [반지원정대]에서부터 보여주는데, 둘의 관계는 말 못하는 퀴어queer관계(극히 좁혀서 보면 ‘동성’애 관계)인 것이다.
성별화된 현대 사회의 ‘정상화’된 이성애 관계(gender role)로 인해 비이성애 관계는 늘 비가시화되고 억압된다. 샘과 프로도의 관계를 보고 있으면 이런 억압이 너무도 자명해진다. 혼자 떠나려는 프로도를 샘이 물에 빠지면서까지 따라가려는 장면에서 나타나는 둘의 모습 등 둘이 나오는 장면들의 상당 부분이 강압적 이성애 사회만 아니었어도 충분히 연인로 ‘발전’할 가능성들을 보여준다.
그러고 보면 왜 호명으로서의 ‘남성’들이 스포츠나 전쟁영화, 갱영화에 열광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스포츠나 싸움은 ‘공식’적으로 ‘남성’간의 신체접촉이 ‘허용’되는 (거의 유일한) 영역이다. 전쟁영화 같은 경우, 전우애 혹은 우정이라는 핑계로, 억압되어 있는 ‘동성’에 대한 욕망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그것도 짜릿하게. 그리하여 자기 안에 금기시된 ‘동성’애적 욕망을 자극한다.
샘과 프로도를 보며 서로에 대한 애정(애증?)을 드러내고 싶지만 그러지 못하는 욕망을 느꼈다. 이 영화의 의외의 재미라면 이 부분이다. [Lucia y el sexo]에 만큼 짜릿하다. 냐햐.

2. 스미골 혹은 골룸

등장 때 부터 매력적인 스미골은 이 영화에서 거의 유일하게 살아있는 캐릭터로 보였다. 다른 인물들의 경우, 사실, 거의 전형적인 인물들이었다. 프로도는 영웅 드라마의 전형이고 샘 역시 그런 영웅과 함께 하는 전형적인 인물이고. 다른 인물들 역시 별로 다르지 않아 보였다. (이런 읽기가 다소 거칠게 읽은 것이라 놓치는 부분이 있다는 점은 인정.) 하지만 분열되고 다중적인 자아의 갈등을 보여주는 스미골 혹은 골룸의 모습은, 가장 와 닿았다고 할 수도 있겠다. 갈등하고 그 갈등으로 고통 받고 그럼에도 계속해서 집착하는 모습, 그 집착이 자신을 죽음으로 이끄는데도 그런 집착을 버리지 못하고 행복해하는 모습은 가장 ‘포스트모던’한 인간상이지 않을까?
그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것처럼 그려지는 다른 ‘영웅’들에 비하면 백배는 더 매력적이다.

3. 레골라스


이 사람, 멋지다. 꺄악>_<
심장이 두근두근. 꺄릇
안타까운 일이라면 이 사람이 출현한 영화들이 루인의 취향과는 한참 다르다는 점. 애석함을 감출 수가 없다.ㅠ_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