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쓰기에서… : 스톤월 항쟁Stonewall Riot 관련 메모

ㄱ. 증언에 따르면 한 부치가 호송차량에 강제로 끌려가던 중, 강력하게 경찰에 저항했고 이것이 항쟁을 촉발했다.

ㄴ. 주변에 있던 아프리칸-아메리칸과 라틴계 퀴어들(드랙, 퀸 등)은 경찰이 자신의 ‘자매’인 동성애자나 트랜스젠더에게 폭력을 가하는 것을 보고 참을 수 없었다. 그들은 현장에 개입하여 저항했고 이것이 항쟁을 촉발했다.
ㄱ과 ㄴ은 미국 퀴어의 역사를 회고하며 증언한 내용이다. ㄱ은 스톤월 항쟁이 촉발한 배경을 증언한 내용이다. ㄴ은? 역시 스톤월 항쟁이 촉발한 배경을 증언한 내용이다. 둘 중 하나만 진실이란 뜻은 아니다. 둘 다 (부분적)진실일 것이다. 어떤 부분적 진실을 선택하느냐가 논쟁이다. 또 다른 증언에 따르면, 이렇게 저항이 촉발하는 와중에 트랜스젠더인 실비아 리베라가 경찰에게 맥주병을 던졌고 경찰이 리베라를 경찰봉으로 찌르면서 항쟁이 본격화되었다고 한다.
어차피 모두 증언이고 해석이다. 중요한 것은 스톤월 항쟁이 백인 중심인 동성애자 운동의 기원으로 소환되었다는 점이다. 스톤월 항쟁은 동성애자만의 항쟁도 아니었고, 백인만의 항쟁도 아니었다. 그 항쟁에 많은 비백인이 있었고, 트랜스젠더 혹은 트랜스섹슈얼로 해석할 수 있는 이들이 존재했다. 그럼에도 항쟁이 끝난 후 스톤월 항쟁은 (백인)동성애자 운동의 기원 서사가 되었다.
이런 서사는 이전에 발생한 여러 사건을 은폐했다. 1950년대 일어났던 쿠퍼스 도넛 가게 항쟁, 듀이스 항쟁, 1966년에 일어났던 컴튼 카페테리아 항쟁 역시 저항 운동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특히 컴튼 카페테리아 항쟁은 트랜스젠더와 비백인의 연대, 십대와 비십대의 연대를 이뤘다. 컴튼 항쟁 이후 샌프란시스코 사회는 트랜스젠더를 시민으로 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성과지만 묻혔다.
스톤월 항쟁 이후 동성애자해방전선이 만들어졌다. 이 단체는 스톤월 항쟁의 정신을 이어받지만 백인 동성애자 남성 중심이었다. 비/백인-트랜스젠더 등은 이 단체에서 배제를 경험했고 결국 별도의 단체를 설립했다. 그리고 스톤월 항쟁은 백인 동성애자(특히 게이 남성) 운동의 기원으로 소환되었다. 이후 역사는 마치 동성애자가 시민권운동에, 해방운동에 앞장 섰다는 식으로 회자되고 트랜스젠더 운동은 1990년대에나 등장하는 식으로 기술된다. 물론 트랜스젠더 운동 역시, 백인의 경험에서 기술하느냐 비백인의 경험에서 기술하느냐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
이태원 트랜스젠더 역사를 찾으면서, 늦어도 1960년대 중반부터 트랜스젠더가 마을 유지로 살았다는 사실은 많은 것을 고민하도록 한다.(그 시절의 개인에게 트랜스젠더란 범주를 명명할 수 있는가,라는 논쟁은 별개로 하자.) 한국에서 퀴어의 역사는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과거의 흔적을 찾다보면, 한국 트랜스젠더 운동 혹은 이슈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인 하리수 씨의 방송 등장은 어쩌면 너무 늦은 사건이란 고민을 한다. 좀 더 일찍 나왔다면 어땠을까? 한국 퀴어의 역사는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오래 되었는지도 모른다.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관건이란 얘기다. 뭐, 뻔한 얘기기도 하다.
+
그나저나 하리수 아카이브를 만들어야 했는데… 으흑…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