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Alexander Doty

방학하면 블로깅을 만날 할 것 같았지만 현실은 방학 전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oTL…

요즘은 방학 때 할 일을 정리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욕심을 내고 싶은 일과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일 사이에서 조율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거죠. 처음엔 욕심을 좀 냈지만 지금은 욕심을 줄이고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수준에서 일정을 정하고 있습니다. 제 욕심만 내기엔 다른 해야 할 일도 많으니까요. 아울러 다음 학기 기말 페이퍼 주제를 고민하고 있는 날이기도 합니다. 물론 수업 선생님과 일정 부분 조율해야 하지만 그래도 대충의 주제를 미리 정하면 여러 모로 편하니까요.
학기 중에 쓴 수업 쪽글 하나 공유합니다. 잘 쓴 글은 아닙니다. 보통 쪽글은 사흘 전 즈음 초안을 쓰고 계속 다듬는데 이 글은 당일 새벽에 급하게 썼습니다. 그래서 부끄러워요. 그럼에도 수업 쪽글 중 공유할 수 있는 성질의 글이 이것 뿐이네요. 나머지 둘은 공유하기엔 좀 애매한 내용이랄까요.. 그냥 심심하면 한 번 읽어보셔요.
==
2012.06.01.금.
Alexander Doty. “Introduction” & “There’s Something Queer Here.” Making Things Perfectly Queer
-루인
이 글은 학제 이론으로서 퀴어이론이 등장한 초기에 쓰여졌고 그리하여 그 시기에 했을 법한 고민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첫째, 퀴어와 퀴어함[queerness]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둘째, 문화연구로서 퀴어이론 혹은 퀴어이론으로 재구성하는 문화연구는 어떤 방식인가? 이것은 쉽지 않은 문제고 조심스러운 이슈일 수밖에 없다. 토대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 논의의 한계를 확인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퀴어이론의 주요 참조점은 레즈비언과 게이 연구다. 레즈비언과 게이 이론은 정체성을 밑절미 삼았고, 이에 따라 레즈비언과 게이의 문화나 역사 등을 탐구하고 이론을 전개했다. 그렇다면 퀴어이론은 무엇을 할 것인가? 정체성에 바탕을 두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는 포괄적 범주를 포함하면서 어떻게 퀴어의 혹은 퀴어한 이론을 구성할 수 있을까? 도티는 이 지점에서 퀴어를 비이성애적 실천을 포괄하는 것으로, 퀴어문화이론을 이성애 문화에 산재하지만 암시[connotation]의 형태로 존재하는 퀴어함을 독해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는다(직접 언급하진 않지만 뉘앙스를 통해 권력의 배치 이슈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기존의 성적 지향 범주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티가 반복해서 얘기하듯, 퀴어함과 퀴어이론은 레즈비언, 게이, 바이와는 다른 무엇이지만 그들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xvii).
‘다른 무엇이지만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식의 서술은 퀴어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있어 겪는 어려움을 여실히 드러낸다. 이것은 도티가 퀴어와 퀴어함, 퀴어문화연구를 설명하는데 있어 반복해서 부정문 형식을 취하는 것과도 관련 있다. 이를테면 도티는 퀴어함과 퀴어문화연구를 비이성애[non-, anti-, contra-straight] 문화, 실천, 쾌락 등을 탐구하는 것이라고 얘기한다(xv). 이것은 퀴어를 명징하게 정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배제하지 않으려는 역사적, 정치적 맥락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불가피한/필연적 방법이기도 하다. 포괄적 용어로서 퀴어를 사용하는데 있어 거의 유일한 대척점은 이성애며, 도티는 규범적 이성애가 아닌 것을 퀴어로 포착하려 한다.
도티의 이러한 노력은 상당히 중요하다. 이것은 이후의 퀴어이론이 트랜스젠더와 바이 등을 배제하고 레즈비언과 게이만을 혹은 동성애만을 퀴어로 재현하는 일군의 경향성에 비추어 특히 그렇다. 그래서 도티의 고민과 전략은 현재도 유의미하다.
하지만 퀴어를 설명함에 있어 이성애를 반대항으로 설정하는 지점은 의문이거나 아쉬움이다. 따지고 보면 이성애야 말로 퀴어한 혹은 기이하고 기묘한 관계 아닌가? 이것은 단순히 이성애에 내재하는 다양한 비규범적 실천을 지칭하는 것만이 아니다(이것은 이미 도티가 포괄하는 지점이다). 이성애규범성의 맥락에선 비이성애 실천, 이성애 내에서의 ‘퀴어한’ 실천이 퀴어의 범주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어떤 가상의)‘퀴어’ 맥락에선 이성애 실천이야 말로 낯설고 신기한 실천이다. 다른 말로 이성애를 하나의 규범적 축으로 삼기보다 이성애 역시 퀴어한 실천으로 탈구성하는 작업 역시 필요하지 않을까? 퀴어이론이 이성애규범성 자체를 탈구성하고 탈자연화하는 작업이라면 이성애 실천의 속성 자체를 심문하는 작업 역시 중요하기 때문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