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후유증은 아닙니다.

ㄱ.
시간이 나면 잠만 잤다. 일이 끝나고 다른 사람이 쉬고 있을 때면 잤다. 하필 비염도 터졌다. 그동안 미뤄뒀던 잠을 몰아서 잤다. 자고 또 잤다. 그랬더니 조금 피로가 풀리는 느낌이다. 깨어 있을 땐 늘 하던 그런 일을 했고 책을 잠깐 읽었다. 책을 많이 읽을 계획이었지만 주로 잤다.
ㄴ.
어느날 내가 갑자기 죽는다면, 그때 ‘혈연’가족에게 나는 어떤 모습으로 기억될까? 죽은 직후엔 그냥 그저그런 젠더로 파악되겠지. 하지만 내 짐을 정리하기 시작한다면? 옷장에 있는 여러 벌의 치마를 비롯한 ‘여성용’ 옷가지는 누구의 것으로 해석할까? 트랜스젠더 이슈와 관련한 많은 자료와 책은 또 어떤 의미를 지닐까? 영어 자료야 그냥 전공서적으로 넘어간다고 해도, 한국어로 트랜스젠더 혹은 성전환, 레즈비언, 동성애와 같은 글귀가 적힌 자료는 어떤 의미를 지닐까? 의미를 지니긴 할까?
난 만약을 대비해 내가 지닌 문서류의 사후관리자를 지정하고 싶어한다. 그에게 부탁하고 싶은 유일한 일은, 내가 가진 기록물을 헌책방이나 고물상에 넘어가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퀴어락을 비롯한 몇 곳에 넘기는 것이다. 하지만 사후관리자는 그 일을 무사히 치를 수 있을까? ‘혈연’가족에게 그 말을 꺼내는 순간, 나의 젠더는 ‘혈연’가족이 상상했던 것이 아닌 방식으로 확증될 수밖에 없으니까. ‘혈연’가족은 집요하게 부정하며 사후관리자를 내쫓지 않을까? 돌연사로 내가 이 세상에서 사라질 때 나는 어떤 젠더로 남을까?
결국 내 삶에서 ‘혈연’가족은 족쇄처럼 얽혀 있지만, 때때로 웃는 낯으로 서로를 대하고 있지만 서로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거의 없다. 아니, 어쩌면 ‘혈연’가족이란 이름으로 묶여 있는 어떤 집단은 죽을 때까지 서로를 모르는 상태로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ㄷ.
그런데 고인의 젠더를 해석하는 것과 관련한 논쟁이 한국에서도 가능하다면, 나의 죽음이 그 논쟁의 시발점으로 쓰였으면 하는 바람은 있다. 살아서 한 일이 별로 없으니 죽어서라도 어떤 이슈로 쓰이면 좋겠다는 바람이랄까. 살아선 운동을 거의 못 했으니 죽어서 하겠다는 묘한 심보기도 하다. 흐. 🙂
하지만 내가 언제 죽을지 모르고, 내가 살아 있는 동안 관련 논쟁이 일지 않는다면 그건 더 우울한 일일 듯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