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 활동가가 주는 든든함

대략 25년의 시간을 한 세대라고 부른다. 20-25년 정도의 시간 사이에 있은 일은 같은 세대의 경험으로 불러도 무방하리라. 하지만 개개인은 세대 구분 방식으로 시간을 인식하지 않는다. 5년 혹은 10년만 지나도 상당히 다른 세대로 느낄 때가 많다. 마치 다른 세대에 일어난 일인 것처럼. 혹은 아득한 과거의 일처럼.
아득한 과거의 일처럼 느끼는 건, 당연히 나의 감각이다. 2006년에야 퀴어 활동, 트랜스젠더 운동에 참여한 내게 그 전의 일은 먼 과거 같다. 내가 참여하지 않았던 시기의 일은 역사책 속의 일 같다. 실제 나는 2006년 이전의 일을 다양한 기록물과 구술을 통해서만 알 수 있으니, 1920년대 일과 2000년의 일은 내게 그리 다르지 않은 과거다. 2000년은 내가 살아 있었던 시기라고 해도 그렇다.그래서 한국 LGBT 인권운동이 이제 20년이라면 여전히 한 세대의 일이지만 난 그것이 두 개의 다른 세대 경험 같다. 트랜스젠더 운동 맥락에선 더욱 그러하다. 인권운동단체가 본격 등장했다는 점에서 지렁이 등장을 기준점으로 삼는다면 2006년을 세대가 나뉘는 경험의 분기점이라고 부를 수도 있으리라. 지렁이 등장 이전부터 활동한 트랜스젠더 개개인 혹은 친목 모임 성격의 공동체 경험을 이전 세대라고 부른다면(1세대는 아니다) 지렁이 이후 트랜스젠더 활동을 모색하며 등장한 이들을 새로운 세대라고 부를 수 있으리라. 지렁이보다 하리수 씨 등장이 트랜스젠더에게 더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하리수 씨 등장 이전과 이후를 기준으로 묶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만, 내 감각에선 2006년이 기준일 수밖에 없다. (이 말은 내가 2007년 차별금지법 관련 운동을 계기라 활동에 참여했다면 2007년을 기준으로 구분했을 거란 뜻이다. 그만큼 자의적 구분이다.)
이렇게 말도 안 되는 방식의 기준을 장황하게 변명(!)하는 이유는, 나도 별로 동의하지 않는 세대론을 구질구질하게 설명하는 이유는 김비 씨의 존재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김비 씨와 나는 동시대에 트랜스젠더 인권운동을 하고 있다. 김비 씨는 현재 세대의 초기부터 활동했고 나는 그 중간에 참여한 식이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김비 씨는 내게 대선배란 느낌이 강하다. 현역이지만 전설의 슈퍼스타 같은 느낌이랄까. 한 세대 전부터 활동한 존재 같은 느낌이랄까. 지렁이 이후 세대가 활동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선배로, 조언자로 자신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래서 강의를 들을 때면 동시대 사람이란 느낌이 드는 동시에 이전 세대의 경험과 지혜를 현재 세대에게 전해주고 있다고 느낀다. (이렇게 얘기하면 김비 씨는 싫어하실 텐데..;;;) 나이 차이의 문제가 아니다. 나와 비슷한 연배여도 2000년대 초반 혹은 1990년대 후반부터 활동에 참여했느냐 2006년 즈음부터 활동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묘하게 다른 느낌을 받는다는 점에서(내가 글로 배운 사건을 현장에서 배웠으냐 나처럼 글로 배웠느냐의 차이) 세대 이슈라면 세대 이슈일 수 있다. 물론 김비 씨와 나는 동시대에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세대다. 그럼에도 김비 씨를 앞선 세대라고 느낀다면  나보다 앞서 활동을 시작했고 여전히 힘차게 살아있어서가 더 정확한 이유겠지.
이런저런 부연을 장황하게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수요일에 강의를 들으며 받은 든든함 때문이다. 트랜스젠더 운동에서 이런 든든한 선배가 있다는 것, 선배로서 역할을 성찰하며 얘기하는 존재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 하리수 씨도 분명 소중하고 든든한 존재지만 하리수 씨 한 명 뿐이었다면 슬펐으리라. 각자 다른 식으로 트랜스젠더 이슈를 사유하는 선배가, 그것도 셀러브리티가 두 명이나 있다는 것은 행운인지도 모른다. 물론 트랜스젠더 이슈의 모든 지점에서 나와 김비 씨가 의견 일치를 이루진 않으리라. 그럼에도 중요한 발언을 하는 선배가 있다는 건 꼭 내가 지지 받는 느낌이다. 그래서 고맙다. 누구도 가지 않은 길을 그냥 묵묵히 가는 선배가 있어서 안심이기도 하다.
그러고 보면 난 얼마나 운이 좋은가!
+
강의에서 가장 좋았던 구절 중 하나는 “나의 성별과 관련된 무언가를 인식했느냐 하는 문제를 생각해볼 때, 내게 성별은 없었다. 남자 옷을 입고 남자처럼 취급되었지만, 그것에 거부감이나 불편함도 없었으며 반대 성, 즉 여성 복장이나 취향에 대한 집착도 없었다”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