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인이 채식주의자로 사는 것이 불편하지 않다는 건, 루인이 접하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페미니즘을 공부하거나 페미니스트거나 해서가 아니다. 오히려 이런 이유로 상처 받은 적이 있다. 물론 채식주의자로 살아가면서 불편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모임이 있을 때 음식점을 선택하는 문제 등에 있어선 “불편”하다. 하지만 이 불편함은 루인이 채식주의자라서 불편한 것이 아니라 루인이 채식주의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다른 사람들의 반응 때문인 편이다. 그리고 루인이 보기에 ‘정말’ 불편한 사람은 루인이 아니라 육식주의자들이다(육식주의자는 루인 농담처럼, 장난스레 사용하는 말로 유제품을 포함한 육식을 하는 사람을 일컬음). 정말 불편한 사람은 채식주의자가 아니라 채식주의자 ‘때문에’ 선택 사항이 줄어들거나 여러 가지로 신경을 써야 한다고 느끼는 그 질문자가 아닐까. 채식주의자가 같은 자리에 없었다면 그 사람은 불편함을 느낄 이유가 없을 테니까.
루인이 불편하지 않다고 말하는 건, 육류나 유제품 등의 다른 존재들이 애시 당초 루인의 선택 사항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테면 루인이 육식을 좋아하고 선택사항에 있는데, 어떤 이유로 먹을 수 없다면 불편할 수 있겠지만 애시 당초 루인에겐 선택사항이 아닌데 어떻게 불편할까. 일테면 ‘이성애’자에겐 ‘레즈비언’이 “대안”일 수 있겠지만 정작 ‘레즈비언’에겐 그렇지 않은 것처럼.
물론 채식에 대한 감수성이 없어 음식점에서 주문할 때, 요구사항을 이상하게 여기는 반응은 불편하다. 이런 연유로 모임 등의 이유가 아니면 직접 해 먹는 편이다. 루인이 채식주의자라는 걸 알고는 외국의 각 종 사례를 들며 “인류학”적 지식을 자랑한 후 “그래도 나는 고기가 좋아”라고 말하며 채식을 정치학이 아닌 ‘단순한 취향’으로 간주하는 태도는 불편하다. 혹은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싶어 반응하는 “관용”적인 (척 하는) 태도 역시 불편하다. (후자의 두 경우엔 거의 분노한다.)
불편하다니, 그럴 리가. 얼마나 좋은데!
[#M_ +.. | -.. | 채식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여기 참조)과 “채식한지 얼마나 되셨어요?” 란 질문 모두 싫어하는데, 루인이 무식해서 그런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기 때문이다. 11년 하면 대단하고 6개월 하면 그냥 그런 건가? 모르겠다._M#]
[#M_ ++.. | –.. | 내용 중, “그 질문자”는 특정 누군가를 지칭하지 않아요. 행여나 해서…_M#]
와우, 루인님으로 인해 ‘채식주의’에 대해 점점 알아가고 있어요. 취향이 아니라, ‘정치학’이라는 부분 정말 많은 생각을 하고 갑니다. 🙂
고맙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요즘 내가 제일 많이 듣는 질문이랍니다요ㅋㅋㅋㅋ “언제부터?” 라는 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문득 내가 루인한테 “언제부터 채식 하셨어요?” 라고 간단하게 물었던 기억이 나는 것이ㅋㅋㅋㅋ 그리고 루인이 “11년 됐어요^^” 라고 하니깐 내가 “우와와~” 했던 게 기억나는 군효………..아흑! ㅋㅋ 정말 예전엔 그렇게 불편했는데 지금 안불편한게 가끔은 신기하게 느껴져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흐흐흐
사장님♡이 이렇게 리플을 달아도 루인은 루인이 쓴 글을 다시 안 읽지요. 푸훗. (예전에 한 얘기가 떠올라서..크크)
첫번째 단락의 문장이 마음에 꽤 와 닿습니다. 예전에 오프라 윈프리쇼에서 우마 서먼이 나와서 대화를 나누었어요. 일하는 엄마의 고충을… 일을 하지 않고 가정주부로 지내면 ‘바보’ 취급을 하고, 일을 하며 살림을 하면 ‘죄인’ 취급을 받는다는.. 전 그 말에 뼈 속 깊이 감동했어요. ㅜ.ㅡ 게다가 이젠 저출산의 책임까지 떠맡아야 하는 현실이니까요. 🙁 사실 현실에서는 남편이 조금만 가정에 관심을 쏟아도 100점 남편으로 대접을 받지만, 여자는 그렇지 못 하잖아요. 똑같은 노력으로 똑같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는 거. 퀴어인 것이 선택 사항은 아니나, 어디까지나 이성과는 엔조이로서밖에 지낼수밖에 없다는 결론까지 도달하게 되요. 바보도 되고 싶지 않고 죄인도 되기 싫으니까요. 또 그것이 제가 원하는 삶의 모습도 아닐 뿐더러요. ㅋ
예전에 한 선생님이 한국에선 “남성”이 점잖기만 해도 페미니스트란 소릴 듣는다는 말을 듣고 열광했던 적이 있어요. 크크크. 그러면서 “가사노동 페티쉬”가 있다는 얘길 하시더라고요. (페티쉬라는 말의 뜻은 잘 모르지만) 딱 한 번 장보러 같이 간 것으로 10년을 우려먹는다는 의미로 그렇게 말씀하셨거든요. 눈물 나게 웃었더래요. 흐흐.
정말이지 우마 서먼의 얘기, 몸에 팍팍 와 닿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