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을 수집하고 발굴하는 작업을 하다보면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과 발굴할 수 있는 기록물은 다르다는 점을 마치 몰랐던 사실처럼 체감한다. 아무리 검색기술이 뛰어나다고 해도 발굴하지 않으면 찾을 수 없는 기록물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국회도서관 같은 곳은 소장 자료를 모두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하지만 국회도서관 등에서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은 국회도서관 등이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이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하지만 국회도서관이 모든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건 아니다. 그 틈새를 찾아야 하는 작업이 기록물 검색이 아니라 발굴이지 않을까? 물론 검색 자체도 발굴의 일부다. 그리고 때론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만으로도 충분할 때가 있다. 검색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록물에 모든 사람이 접근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과거 신문기사는 누구나 검색할 수 있지만 누구나 검색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때때로 누구나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을 얘기하는데도 그것이 신기한 일로 받아들여지곤 한다. 이 부분은 내가 오랫동안 헷갈렸던 부분이다. 간단하게 검색해서 찾은 자료라면 누구나 알텐데 강의나 글에서 굳이 얘기해야할까, 뭔가 다른 걸 얘기해야 하지 않을까란 고민을 했다.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받아들이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 그러니 검색할 수 있는 기록물만 잘 엮고 특정 관점으로 잘 버무려도 충분히 훌륭한 경우가 있다. 아니, 검색해서 찾은 자료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롭고 훌륭할 때도 많다. 다만 좀 더 풍성한 기록물을 찾기 위해선 검색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검색에 걸려들지 않는 기록물에 귀중한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그래서 발굴 작업이 중요하다. 이것을 발굴하는 상상력(혹은 아카이브적 상상력)이라고 불러도 괜찮을까? 어떤 의미에선 기록물이 도처에 널려 있기에 더 접근하기 힘들기도 하다. 무엇을 읽어야 하고 어떤 기록물을 선별해야 하는지가 더 힘든 시간이 되고 있다(그래서 큐레이션이 뜨고 있는 거겠지). 아울러 도처에 널린 기록물에 접근하고 수집하고 해석하는 작업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것은 인터넷/기술이 전기와 같고 공기와 같고 물과 같은 시대에도 인터넷으로 해결할 수 없는 몇 안 되는 일이기도 하다. 발굴작업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공간은 헌책방이다. 누군가에겐 의미 없는, 나에겐 너무도 소중한 기록물이 유통되는 몇 안 되는 공간인 헌책방.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통하는 시대가 될 수록 헌책방은 더 소중한 공간으로 변해가리라. 어떤 의미에서 인터넷시대를 상징하는 최첨단 공간은 전자상품매장이 아니라 헌책방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