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폭력으로 가족이 깨지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아내폭력으로도 가족이 안 깨지는 것이 문제라고 했다. 가족이란 그런 거다. 무수한 폭력에도 깨지지 않는 견고함. 이것이 가족과 이성애주의를 유지하는 힘이겠지. 그런데 이런 견고함에서 뭔가 다른 걸 고민했다.
당연히 깨질 수 있다고 여기는 관계와 깨지지 않는다고 여기는 관계는 화를 내는 방식부터 다르다는 걸. 관계를 깨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아니라 뭔가 다른 점이 있다는 게 중요하다. 이를테면 애인관계에서 뭔가 틀어지면 “우리 헤어질까”란 발화를 통해 관계는 끝날 수 있다. 우정관계에서도 이런저런 이유로 헤어질 수 있다. 그런데 가족은 다르다. 가족 간의 불화에서 ‘이 관계를 깰까?’란 감정은 쉽사리 개입되지 않는다. 미친 듯이 싸우면서도, 서로에게 무수한 상처를 주면서도 다시 만날 수 있음을, 언젠간 다시 만날 수 있음을 염두에 둔다. 이를테면 난 꽤 오래 전 아버지와 2년 가까이 말도 안 하고 지냈는데, 그럼에도 우리는 종종 만났다. 그리고 결국 어색한 인사를, 다시 그냥 익숙한 관계를 유지했다.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고 있기도 하다. 만약 친구나 애인이라면? 통상 2년 간 말을 하지 않는다면 이미 끝난 사이다. 다시는 안 볼 것이며 상대가 죽는다고 해도 뒤늦게 그 소식을 들을 것이다.
그렇다면 원수같은, 정말 치를 떨고 때때로 상처만 주고받는 사이면서도 관계 자체는 깨지 않겠다는 어떤 암묵적 협의를 가족이 아닌 다른 관계엔 적용할 수 없는 걸까? 깨져야 할 관계를 깨지 않고 유지하자는 게 아니라 ‘그럼에도 유지하고 다시 만날 관계’란 어떤 정서를 원가족에게만 부여하는 것이 아깝지 않느냐는 고민이다.
이것이 좋은 것인지 안 좋은 것인지는 헷갈린다. 하지만 뭔가 다를 것 같기는 하다. 이런 끈기를 다양한 관계에 부여한다면 ‘에잇 수틀려. 이 관계를 끝내야겠다.’와는 다른 어떤 방식과 감정이 생기지 않을까? 법적으로, 관습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관계에 이런 태도가 개입된다면 그 관계는 어떻게 변할까? 물론 깨져야 할 상황에선 깨져야하지만.
이것은 원가족에게 왜 이렇게 관계의 독점적 정서가 부여되느냐는 질문이기도 하다. 다른 관계가 그토록 쉽게 깨지는 관계라면 원가족도 그렇게 쉽게 깨질 수 있어야한다는 고민이기도 하다. 원가족에게 부여된 정서를 다른 관계에도 공평하게 적용하자는 것은 아니다. 원가족을 유지하는 폭력적 방식이 “가족 같은 우리 회사”란 언설로 통용되는 상황은 끔찍할 따름이다. 그저 화를 내는 방식, 관계를 유지하는 방식을 좀 다르게 고민할 수 있으면 좋겠다. 원가족에게 배울 몇 안 되는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