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해병대 출신의 아저씨가 나오는데, 해병대 출신의 아저씨도 아는 거지. 군대란 곳이 얼마나 폭력적인지, 그래서 다시는 가고 싶지 않은 곳이란 걸. 그렇지 않고서야, 그렇게 자랑스러워하는 군대를, 양심적 병역 거부가 인정되는 순간, “모두”가 군대에 가지 않을 거란 걱정을 어떻게 하겠어. 겉으로는 자랑하지만 실은 자기도 가고 싶지 않았을 테고, “내가 갔는데 네가 안가”하는 심보는 아닌가 싶기도 해.
이 만큼이나 가기 싫은 곳이라고 항변하는 모습을 접하며, 군대가 ‘남성’ 성인식/통과의례로서 얼마나 강하게 작동하는지를 느껴. 군대를 통해 어른이 된다고 말하는 문화 속에서 (이런 문화가 군대에 갔다 오지 않은 사람을 “어린이” 취급 하지) 예비역 병장이란 ‘계급’은 당연하다는 듯 권력과 명예를 가지잖아. 군대나 군사주의 문화와 관련해서 약간의 비판만 나와도 군대에 갔다 오지 않았으면 입 다물고 있어라 거나, 의무는 행하지 않으면서 권리만 주장하지 말고 군대나 가라는 말들. 이런 말들이 왠지 수긍되는 분위기. 경력과는 무관하게 예비역 병장들이 알바 같은 곳에서 팀장을 한다거나, “역시 군대에 갔다 오니 다르네” 라는 말들. 심지어 군 입대 기간을 경력으로 인정하거나 (지금은 없지만) 군가산점 얘기도 여전히 나오고 있잖아. 근데 도대체 왜 군대 경험에 대한 “보상”을, 법적으로 가야함에도 권력과 부를 통해 가지 않는 사람이나 군 제도를 만든 기관에 청구하지 않고 애시 당초 군 제도에 배제되어 있는 사람에게 하는 거야?
혹은 그렇게 가기 싫은 곳이면 폭력을 세습하지 말고 북한과 협상해서 통일하는 게 더 ‘현명’한 거 아냐? 군대가 없어지면 안 되는 이유가 분단국가라고 하니, 그 비용으로 통일하고 통일’비용’으로 전용하면 안 되려나. 그리고 결과적으론 군대 제도 자체를 없애는 것이 더 좋은 거 아냐.
결국, 양심적 병역 거부를 인정하면 군대에 가지 않을 거란 얘기와 군대를 갔다 오면 어른이 된다며 예비역 병장들이 가지는 자부심(혹은 열등감? “피해의식”?)은 같은 내용인거야. 그 만큼 가기 싫고 폭력적인 곳을 갔다 왔으니 그에 따른 보상을 해야 하고 자부심을 가질 만 하다는 거.
현역 공군 병사입니다. 제가 가기 전날 재판하더니만 아직도 이문제로 시시비비를 가리는 중이군요. 흐흐 복무를 대체할 만한 수단을 만든다는 측면에서 다양성이 존중되어 조건부 찬성을 하는 입장입니다만 이를 군대 안가는 수단으로 여기지 않게끔 정책을 잘 만들어야 될텐데. 그들을 허용하고의 차이보다는 시행을 하면서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이 이를 어떻게 운용하느냐 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라고 봅니다.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님의 블로그를 보면 마우스를 통한 드래그와 등록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데 어떻게 막으신 겁니까.? 저도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저도 태터툴즈 쓰는데.. 도와주세요. 제에발.. ^^
밝아오는 병술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크리스마스 지났다고 좋은 일 미루시면 안되요.. ^^
트랜트 온님/ 루인은 양심적 병역 거부를 병역 기피와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 한국의 군대, 군사주의 등과 밀접하다고 해석해요. 양심적 병역 거부가 병역 기피(일테면 국회의원이란 권력, 재벌들의 자본을 이용해 가지 않는 것)와는 다르잖아요^^ 물론 병역제도, 군대제도 자체가 없어져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이걸 넣어 주시면 되요.마우스 방지는 포스트본문 부분에
트랜드 온 님도 복 많이 받으세요^-^
위 댓글중 [트렌드 온]의 필명으로 작성된 글의 링크 주소는 http://www.trendons.com 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도메인 포워딩 서비스는 2006년 11월까지만 제공됩니다.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