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대꾸하기

루인의 몸에 남아 있는 지난 시절의 흔적들 중 가장 오래된 지점에서부터, 욕을 먹고 혼이 난 이유 중 하나는, “표정관리”를 못해서이다. 어른이거나 루인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루인에게 무슨 말을 할 때, 기분이 나쁘면 그 나쁜 감정이 얼굴에 고스란히 드러나서 한 마디 듣고 끝날 일을 열 마디를 듣고도 더 듣는 상황으로 만들곤 했다. 학교 선생이든 이성애혈연가족이든 친척 어른들이든 상관없이 기분 나쁘면 얼굴에 기분 나쁘다는 표가 그대로 드러났다. 얼굴 표정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온 몸으로 “당신의 그런 말 기분 나빠”, 라는 ‘아우라’를 발산한다. 심할 경우, 욕만 먹고 끝날 상황을 손찌검을 당하거나 체벌의 상황으로까지 가기도 했다. 상황이 이 정도가 되면 어느 정도 “표정관리”를 해서 욕을 덜 먹는 방향으로 갈 법 한데 지금도 여전하다. 때론 나름대로 “관리”를 한다고 하는데, 표정은 굳어있고 몸에선 “사악한” 기운이 넘쳐서 상대방이 알아차리니 결국 마찬가지다.

그전까지는 몰랐다가 이랑들과 만나고서야 알게 된 것 중 하나는 비단 기분 나쁜 상황 뿐 아니라 좋은 상황, 놀라는 상황 등 그 상황에 따른 감정이 얼굴 표정으로 고스란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목소리를 통해서도 그런 감정이 선명하게 드러난다고 한다. (정작 루인은 그런지 모른다.;; 하지만 이건 좋은 점인 듯 하다.)

지금은 덜한 편이지만, 한땐 말대꾸가 심해서 욕을 먹기도 했다. 이건 나름 협상을 통해, 요즘은 거의 안 하는 편인데, 사실 협상이라기보다는, 말을 해도 안 해도 욕을 먹었기 때문에 나타난 반응이다. (일종의 트라우마이기도 하다.)

“표정관리”하지 않고 기분 나쁘면 기분 나쁘다는 감정을 얼굴/몸으로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 역시, 말대꾸의 한 방식이라 몸앓는다. 어차피 말해봤자 소용없음을 알 때, 소리가 아닌 몸의 표정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방식이니까. “대드”는 것 역시 말대꾸의 또 다른 표현 방식이라고 몸앓는다.

지난여름, 벨 훅스bell hooks의 [Talking Back]을 읽으며 가장 어려웠던 부분 중 하나는 제목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였다. 영어 문법도 제대로 모르고 한 페이지에 사전에서 찾는 단어가 15개를 넘나드는 ‘실력’에, (자랑스럽게도-_-;;) 여전히 토익과 토플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상황이니, 오죽하랴만, 대충 감을 잡았으면서도 그렇게 번역하기를 꺼렸다. “말대꾸”라니. 페미니즘 책의 제목을 “말대꾸”로 번역한다는 것이 왠지 안 어울린다는 편견(편견의 견見 역시 “보다”는 의미를 지닌다)으로 인해 뭔가 더 그럴듯한 것이 없나, 했다. (“그럴듯한” 제목은 뭘까?)

말대꾸. 이 말을 책 제목으로 삼기를 꺼린 이유는, 말대꾸가 지니는 의미를 몸앓지 않은 체, 말대꾸는 나쁜 것이라는 “어른”들의 말이 몸에 강하게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이 역설적인 상황이라니. “어른”들이 말대꾸를 싫어한다는 건, 말대꾸가 그들에게 불편하다는 의미인데, 말대꾸는 (기존의) 권위에 도전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말대꾸는, 선생과 학생, 어른과 아이처럼 권력의 위계질서가 너무도 강력한 상황에서 그 권위를 무시하고(인정하지 않고) 권력에 도전하며 목소리를 드러내는 방식이다. “대드”는 것 역시 그 표현 자체에 나이 혹은 권위 등에 의한 권력에 대항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론 “어른”들에게서 욕먹기 딱 좋고 심지어 “저래서 사회생활 어떻게 할지 걱정이다”란 소리를 몸에 달고 살게 되지만 그런들 어떠랴. 툭툭 던지는 말대꾸가 상당히 유쾌한 걸.

2 thoughts on “말대꾸하기

  1. 그냥 드는 생각인데 ‘받아치기’는 어떨지..ㅋㅋ 루인 블로그 글씨 이름이 뭐예요? 무지하게 귀엽고 예뻐요♡

    1. “받아치기”는 왠지 권력적으로 대등한 관계같기도 해서 멈칫하면서도 그럴듯 한 것 같아요..크크. 왠지 더 재밌고 좋은 것 같기도 하고요. 흐흐흐
      글씨는 굴림이네요. 이제야 알았는데, 글자 색이 검은색이 아니라서 예쁜 것 같기도 해요. 헤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