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전까지는 몰랐다가 이랑들과 만나고서야 알게 된 것 중 하나는 비단 기분 나쁜 상황 뿐 아니라 좋은 상황, 놀라는 상황 등 그 상황에 따른 감정이 얼굴 표정으로 고스란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목소리를 통해서도 그런 감정이 선명하게 드러난다고 한다. (정작 루인은 그런지 모른다.;; 하지만 이건 좋은 점인 듯 하다.)
지금은 덜한 편이지만, 한땐 말대꾸가 심해서 욕을 먹기도 했다. 이건 나름 협상을 통해, 요즘은 거의 안 하는 편인데, 사실 협상이라기보다는, 말을 해도 안 해도 욕을 먹었기 때문에 나타난 반응이다. (일종의 트라우마이기도 하다.)
“표정관리”하지 않고 기분 나쁘면 기분 나쁘다는 감정을 얼굴/몸으로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 역시, 말대꾸의 한 방식이라 몸앓는다. 어차피 말해봤자 소용없음을 알 때, 소리가 아닌 몸의 표정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방식이니까. “대드”는 것 역시 말대꾸의 또 다른 표현 방식이라고 몸앓는다.
지난여름, 벨 훅스bell hooks의 [Talking Back]을 읽으며 가장 어려웠던 부분 중 하나는 제목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였다. 영어 문법도 제대로 모르고 한 페이지에 사전에서 찾는 단어가 15개를 넘나드는 ‘실력’에, (자랑스럽게도-_-;;) 여전히 토익과 토플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상황이니, 오죽하랴만, 대충 감을 잡았으면서도 그렇게 번역하기를 꺼렸다. “말대꾸”라니. 페미니즘 책의 제목을 “말대꾸”로 번역한다는 것이 왠지 안 어울린다는 편견(편견의 견見 역시 “보다”는 의미를 지닌다)으로 인해 뭔가 더 그럴듯한 것이 없나, 했다. (“그럴듯한” 제목은 뭘까?)
말대꾸. 이 말을 책 제목으로 삼기를 꺼린 이유는, 말대꾸가 지니는 의미를 몸앓지 않은 체, 말대꾸는 나쁜 것이라는 “어른”들의 말이 몸에 강하게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이 역설적인 상황이라니. “어른”들이 말대꾸를 싫어한다는 건, 말대꾸가 그들에게 불편하다는 의미인데, 말대꾸는 (기존의) 권위에 도전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말대꾸는, 선생과 학생, 어른과 아이처럼 권력의 위계질서가 너무도 강력한 상황에서 그 권위를 무시하고(인정하지 않고) 권력에 도전하며 목소리를 드러내는 방식이다. “대드”는 것 역시 그 표현 자체에 나이 혹은 권위 등에 의한 권력에 대항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론 “어른”들에게서 욕먹기 딱 좋고 심지어 “저래서 사회생활 어떻게 할지 걱정이다”란 소리를 몸에 달고 살게 되지만 그런들 어떠랴. 툭툭 던지는 말대꾸가 상당히 유쾌한 걸.
그냥 드는 생각인데 ‘받아치기’는 어떨지..ㅋㅋ 루인 블로그 글씨 이름이 뭐예요? 무지하게 귀엽고 예뻐요♡
“받아치기”는 왠지 권력적으로 대등한 관계같기도 해서 멈칫하면서도 그럴듯 한 것 같아요..크크. 왠지 더 재밌고 좋은 것 같기도 하고요. 흐흐흐
글씨는 굴림이네요. 이제야 알았는데, 글자 색이 검은색이 아니라서 예쁜 것 같기도 해요. 헤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