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2의 증명> 관련 발제문을 쓰면서 짧게 언급하고 넘어갔지만 강조하고 싶은 구절 중 하나는 다음이었다.
홍유정 씨는 혹은 나를 비롯한 트랜스젠더는 애써 저항하려는 것도 아니고 위반하려는 것도 아니다. 딱히 규범에 더 열심히 순응하려는 것도 아니다. 그냥 살려고 애쓸 뿐이다. 그런데 그냥 사는 것이 어렵다(홍유정 씨가 특별히 운이 나쁜 게 아니다). 그냥 사는 것이 반드시 규범적으로 사는 건 아니다. 반드시 규범에 부합하지 않으며 살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홍유정 씨는(혹은 일부 트랜스젠더는) 평범하게/규범적으로 살고 싶어도 규범적으로 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만히 있어도 규범을 위반한다. 홍유정 씨는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기 위해 신분증을 회복했지만 이것은 삶을 더 어렵게 했다. 여성으로 살고자 했지만 사회는 이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주변 사람들은 홍유정 씨의 어려운 상황을 알고 악용한다. 그냥 산다는 건 거의 불가능한 욕망일 뿐만 아니라 규범적으로 살고자 하는 노력 자체가 삶을 참으로 고단하게 만든다. <2의 증명>은 바로 이 찰나를 그려낸다.
퀴어 실천에 있어 내가 가장 주목하는 지점은 누구나 알 수 있는 그런 분명한 저항이나 전복 행위가 아니다. 이를 테면 수염에 치마를 입고 거리를 걷는 것과 같은 일, 어디서 공공연하게 나는 변태라고 말하는 일은 분명 흥미로운 일이다. 하지만 난 어떤 행동이 기존 질서에 순응하는지 위반하는지 모호한 상태, 혹은 순응하고 있는데 그 순응이 기존 질서를 자꾸만 불안하게 만드는 그런 행동에 더 매력을 느낀다. 그래서 위반으로 분석해도, 순응으로 분석해도 논쟁적일 주제를 얘기하는 게 더 좋다. 그것이 기존 규범을 더 날것으로 탐문할 수 있도록 하고, 규범의 다른 얼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혹은 어쩌면 내 삶이 그렇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애매함이 내 삶과 닮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나는 많은 곳에서 내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통하고 이것은 내게 많은 긴장을 야기한다. 나의 긴장과 무관하게 나란 존재는 기존 질서에 쉽게 편입되고 또 빗겨난다. 바로 이 찰나가 내 촉이 가장 민감한 지점이다. 물론 이렇게 사는 건 참 피곤한 일이지만 피곤하지 않은 삶이 어딨으랴… 그냥 다들 이렇게 사는 걸..
루인 블로그 가끔 오다보면 맘 편히 감동하며 읽고 갈 수가 없음.
이것도 저것도 다 논문에 큰따옴표 넣고 인용할만한 글들이라
어느샌가 인용자료를 발견한 연구자의 심정(?)으로 바라보게 되거든요;
음..이거 칭찬이어요..;; 글구 나중에 어디든 인용해야겠다 생각 +ㅆ+
부.. 부끄럽네요.. 많이 부족한, 그냥 끼적거리는 글인데… 흐흐흐.
좋게 읽어주니 고마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