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ㅎㅈ선생님은 자신을 연구자로 정체화한 적 없다고 했다. 비정규직 노동자(예전엔 지식노동자)로 정체화 한다고 했던가. 이 부분은 확실하지 않다. 아무려나 자신을 연구자로 정체화한 적 없고 그렇게 정체화하지 않는다는 말씀이 인상적이었다.
나 역시 나를 연구자로 동일시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공부하는 학생으로 정체화 하는 경우는 있지만 연구자인가? 그건 잘 모르겠다. 그럼에도 나는 매우 자주 나를 연구활동가로 소개한다. 연구자도 아니고 활동가도 아니란 얘기기도 하고, 활동으로 연구를 한다는 얘기기도 하고, 연구자면서 활동가이기도 하단 뜻이기도 할 텐데. 나로선 연구자에도 못 미치고 활동가에도 못 미치는 부족한 인간이란 뜻에 더 가깝지만… 아무려나 이런 표현을 종종 사용하는데 이것은 매우 전략적 표현이다. 트랜스젠더 이슈를 연예기사로는 다뤄도, 특이 사례나 사건으로는 다뤄도 지식 체계로 논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트랜스젠더 인식론으로 작업하는 사람은 한국에 극소수고 트랜스젠더를 논하는 대다수의 글은 그저 연구 대상으로 삼을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내가 취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는, 트랜스젠더 연구자/연구활동가라는 명명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이 좋은 방법이라곤 여기지 않는다. 내가 의도하는 방식으로 유통되지도 않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트랜스젠더인 연구자로 독해할 것이고, 어떤 사람은 트랜스젠더를 연구하는 비트랜스젠더 연구자로 이해할 것이다. 아무래도 상관없다. 원하는 것은 트랜스젠더 이슈를 연구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 트랜스젠더 이슈가 연예기사로 소비되고 말 주제가 아니란 사실을 환기하는 것이다. 이것이 반드시 성공하지 않더라도 지금 내겐 이런 전략이 필요하다.
이런 전략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트랜스젠더 이슈를 끊임없이 환기하기 위해 트랜스젠더란 용어, 연구자란 용어를 계속해서 얘기해야 한다. 이 두 용어의 접합을 조금이라도 낯설게 느끼는 사람이 있기를 바라면서, 그리고 더 많은 트랜스젠더 연구자가 등장하길 바라면서.
사실 고작 나 같은 사람이 연구자랍시고 떠드는 것,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그냥 ‘트랜스젠더 학생’이라고 소개할 수 있다면 정말 좋을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