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엔 유입검색어를 확인하는 기능이 있다. 추출할 수 있는 검색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지금도 블로그 유입 검색어 상위에 한무지가 있다. 어떤 땐 1위를 차지하기도 하고 또 어떤 땐 상위권을 차지하기도 한다. 1년도 더 지났지만 여전히 찾는 사람이 있는 삶, 1년도 더 지났지만 여전히 기억하고 애도하는 사람이 있는 삶, 이런 삶을 살았던 사람이 한무지인지도 모르겠다. 사후라서 가능한 넉넉한 평가가 아니다. 살아 생전의 삶이 그렇기도 했다. 적어도 가시적 차원에서, 방송에 출연하고 글을 쓰고 강의를 하고 다양한 활동을 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 그는 정말 열심히 움직였고 많은 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줬다. 그래서 그가 이 세상을 떠났다는 얘기를 했을 때 정말 많은 사람이 충격받았다.
그를, 그의 삶을 애도하고 기억하는 흔적을 내 블로그에서 확인하며, 나는 한무지처럼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고, 아는 사람도 별로 없다는 게 참 다행이라고 중얼거렸다. 그토록 열심히 움직인 무지니까, 1년이 지난 지금도 애도하는 사람이 존재하는 거다. 별볼일 없이 살고 있고 아는 사람도 별로 없는 나 같은 존재야, 지금 갑자기 사라진다고 해서 무슨 상관이랴.. 주변의 친밀한 사람, 소중한 사람을 제외하면 나의 사라짐이 누구에게 무슨 영향을 줄 수나 있으랴. 사실 이런 얘기를 하는 것 자체가 웃기다. 그냥 당연한 얘기기 때문이다. 나 하나 사라지는 게 소중한 사람을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 무슨 상관있으랴. 나의 사라짐이 내가 모르는 이들, 단 한 번도 조우한 적 없는 이들에게도 어떤 식으로건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 이것은 얼마나 많은 책임감을 요구할까. 그러니 이런 책임감이 없는 내 삶이 참 다행이라고 중얼거렸다.
오해하기 쉬운 말이긴 하다. 오해는 말아줬으면 한다. 어떤 존재에게 부여되는 사회적 책임감을 말하고 싶은 것 뿐이다. 사회적 책임감이라는 게 때론 삶을 정말 고단하게 만들고, 삶에 많은 제약을 준다. 누구나 그 삶을 재단할 수 있다는 착각을 주기도 한다. 그래서 잘 모르는 사람이 ‘네가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라며 재단하기도 한다. 책임감이란 것, 의무라는 것, 나는 원하지 않았는데 타인은 내게 부여한 이 속성. 이것이 주는 삶의 무게를 종종 떠올린다(이와 비슷한 얘기를 언젠가 무지가 한 적 있다). 가벼운 삶, 언제든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삶의 방향을 선택해도 큰 문제가 없는 삶…
아. 동감..
아는 사람 별로 없어서 조용히 하지만 자기가 원하는대로 살 수 있는 삶이 정말 좋다고 믿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