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블로깅에서 잠깐 언급한, 삐라 2호에 투고할 글과 연결해서…
글을 쓸 때면 종종, 이 글이 출판되면 나는 이 바닥에서 퇴출될 거야,라고 중얼거리곤 한다. 물론 퇴출이란 불가능하다. 퇴출은 한국 사회의 퀴어를 대표할 누군가가 있어야 한다는 뜻인데 그런 존재는 없으니까. 아울러 각 단체의 성명서를 야기할 수준의 글은 또 아니니까. 그럼에도 나는 이 글이 출판되면 온갖 욕을 먹을 거고 더 이상 이 바닥에서 활동하거나 돌아다니기 힘들겠지,라고 중얼거린다.
아직은 이런 일이 없었다. 그리고 지금 쓰고 있는 원고에 다시 그 희망을 건다. 으하하. ㅠㅠㅠ
(사실 사람들이 내 글을 읽어주시느냐부터가 관건! ㅠㅠㅠ)
내가 가장 쓰고 싶은 글은 읽는 사람을 불편하게 만드는 글이다. 그러니까 혐오발화나 뭔가 애매하게 혐오의 뉘앙스로 불편함을 야기하는 글이 아니라 사유와 인식론이란 측면에서 불편을 야기하는 글. 하지만 지금까지 내가 쓴 글은 언제나 다른 많은 글처럼 그냥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 사실 내 글을 읽어주는 분이 별로 없기도 하거니와 읽어주시는 분은 인식론을 공유하는 분이 많아서..;; 그렇지 않은 분이 내 글을 읽을 이유는 없기도 하고… 하하… 이것을 달리 말하면 나는 언제나 지금 쓰는 글이 나를 이 바닥에서 퇴출 시킬 글이길 바라지만 정작 내가 쓰는 글은 매우 얌전하고 조신한 글이란 뜻이다. 누구도 위협하지 않고 누구도 불편하게 하지 않고 누구도 흔들지 않는 그런 얌전한 글. 하지만 또 고민하면, 지금 나 따위가 무슨 능력이 있다고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거나 흔들 수 있으랴. 하지만 또 고민하면, 지금이 아니면 언제 이런 도발적인 글을 쓸 수 있을까? 그냥 막 지를 수 있는 건 바로 지금인데, 지금이 아니면 언제 도발할 수 있을까. 지금도 못 하면 나중에도 못 하는 게 아닐까?
(퀴어트랜스 이슈에 무관심한 사람에겐 관련 이슈로 어떤 이야기를 해도 도발이기에 그런 사람은 여기서 제외하고..;;; )
지금까지 내가 읽은 글 중, 정말 도발적이고 나를 뒤흔든 글은 내공 가득한 상태로 쓴 글이더라. 유명한 책,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도 학자로선 신진일 때 썼지만 내용 자체는 내공 가득하다. 하지만 난 일단 내공이 없잖아? 그러니 안 되겠지? 언제나 어정쩡하고 어설프게 끄적거리다 말겠지? 아무렴 어때. 글을 쓸 수 있다면 이것만으로 충분하니까.
암튼 이번에 쓰고 있는 글의 소재는 죽음과 범주입니다. 다 쓰고 나니 진부한 소리더라고요. 아하하하하하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루인, 오랜만에 댓글 쓰네요.^^ 댓글을 안 쓸 수가 없는 글이라. ㅎㅎ정말 저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학위 논문을 쓴다면, 고만고만 그저그렇게 잘 쓴 논문보다는 ‘논쟁적인’ 그런 글을 쓰고 싶었죠. 공감과 칭찬만으로 ‘잘 쓴’ 글 보다는, 학계와 사회에서의 논쟁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그런 글. 읽으면서 편안해 지는 게 아니라 마구 내 가슴이 쿵쾅대는, 내가 좋아하던 그런 글이기를. 물론 쓰면서는 ‘못 쓴다고 논란이나 안 일도록 해야겠지?’로 욕심은 축소(현실화)되고… 아하하하ㅏ… 루인이 갖는 그 글쓰기에 대한 욕망, 글 쓰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사회과학과 마이너리티의 ‘인식론’으로 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분명,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댓글로는 정말 오랜 만이네요.. 흐흐.
그쵸? 글쓰기로 어떤 도발을 일으키고 싶은 욕망, 뭔가 인식론적 지축을 흔들지는 못 해도 약간의 흔들거림이라도 일으키고 싶은 바람이 간절하지만.. 현실은.. 흠.. 그저 정숙한 글을 미덕으로 삼고 있으니.. 끄응…
하지만 이번이 마지막은 아니니까요.. 하하. ㅠㅠㅠ
뭐뭐 하려했지만 결국 뭐뭐에 그쳤다…로 끝나는 글들이 많아져요. 중요한게 마무리인지, 독창성인지 헷갈리는 요즘입니다. 마무리를 지었다는건 완결된 형태로 매듭졌다는 것이고, 독창적이라는 것은 누구도 알아차리지 못했던 것을 찌르는 것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이 두 가치에서 방황하는 마음을 달래고자, 저는 요즘 애자일..ㅋㅋ에 빠졌습니다. 다른 글에 루인님이 ‘성실’과 관련해서 쓴 글이 있지요. 매일매일 측정가능할 만큼의 뭔가를 하고, 거기서 만족감을 느끼려고 하고 있어요. 중요한 것은 매일 무언가를 했다는것. 그것이 모여서 크게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요.
저는 사실 방향을 잃었습니다. 매일 성취를 확인하지 않고는 견디기 힘든 삶이에요. 루인님 말처럼 이번이 끝이 아니니까, 언제든 새로운 모색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기존의 지식에 안주하지 않고 매번 새로운 걸 배우신다니 정말 멋저요!
두 가치에서 방황하다 찾은 것이 애자일이라니.. 흐흐. 분명 잘 하시겠죠? 🙂
전 이번 학기 들어서 처음으로 제가 반 발짝 나아갔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무려 학교에 입학한지 네 학기, 2년이 되어서야 처음으로. 그 동안 계속 정체된다는 느낌, 매일 무언가를 하고 있다면서도 한 자리에 머물고 있는데 이번 학기에야 비로소 뭔가 조금 나아갔구나 싶더라고요. 그래서 뭔가를 꾸준히 한다면, 성실하게 한다면 잘 되지 않을까라고, 오만하게 기대하려고요. 헤헤.
비공개 님도 잘 될 거예요!